또 하나의 K-브랜드 ‘천의 얼굴’ 조선백자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또 하나의 K-브랜드 ‘천의 얼굴’ 조선백자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영향으로 한국문화의 인기가 뜨겁다. 영화 속에 나온 실제 장소를 찾아가기 위해 한국을 찾는 외국인도 늘고 있다고 한다. 한국관광공사는 올 상반기 외래관광객 수가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K-컬처의 시대, 이젠 우리 스스로가 우리 문화의 가치를 찾아내서 의미 부여를 할 때가 됐다.
세계인들에게 내놓을 수 있는 우리 문화의 자랑거리 중에 백자를 들 수 있다. 우리는 고려시대였던 10세기에 이미 뛰어난 청자를 제작했다. 그 시기에 도자기를 만들었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다. 12~13세기에도 전 세계에서 청자를 만들 수 있는 나라는 중국과 한국뿐이었다.
한국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 도자기를 만들었지만 상감청자와 분청사기는 한국이 유일하다. 조선시대에는 청자보다 백자를 선호했다. 세종대에 이미 왕실에서 백자를 상용해서 1467년 경기 광주에 백자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분원을 만들었다. 그만큼 백자 수요가 많았음을 의미한다. 광주 분원이 생기기 전에도 전국에 자기소(磁器所) 136곳, 도기소(陶器所) 185곳이 흩어져 있을 정도로 백자 생산이 활발했다. 왕실과 중앙 관청용 백자 제작을 전담한 분원은 1883년에 민영화될 때까지 400여 년 동안 지속됐다. 유럽에서는 1709년이 돼서야 독일 마이센에서 최초의 백자를 제작했다. 한국 도자기가 얼마나 앞섰는지 알 수 있다. 임진왜란을 ‘도자기 전쟁’이라고 부르듯 일본의 백자는 조선에서 끌려간 도공들에 의해 처음으로 제작됐다.
찻잔은 우리가 생활 속에서 가장 흔히 발견할 수 있는 도자기다. 얼마 전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서 차를 마실 기회가 있었는데 찻잔이 무척 인상적이었다. 바닥 안쪽에 물고기가 한 마리 그려진 찻잔에 녹차를 따르자 마치 물고기가 헤엄치고 다니는 것 같았다. 이런 아이디어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백자다명제기(白磁茶銘祭器)’와 같은 찻잔에서 영감을 얻었을 것이다. 이 찻잔의 안쪽 바닥에는 ‘茶’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 제기 중에서도 차를 담는 용도임을 밝히고 있다. 꼭 제기가 아니더라도 그릇 안팎에 ‘수(壽)’, ‘복(福)’ 등의 문자를 새겨 축수를 기원하는 방법은 조선시대 찻잔이나 그릇에서 가끔씩 볼 수 있다.
‘백자다명제기’처럼 백자에 문자를 새겨넣은 찻잔도 있지만 대부분의 조선백자찻잔은 문양이 거의 없거나 풀꽃이 간략하게 그려진 경우가 많다. 한국백자는 화려한 중국백자, 정교한 일본백자와 달리 은은하면서도 소박한 자연미가 우러나오는 것이 특징이다. 백자의 색깔 또한 단순히 흰색이 아니라 우윳빛인 유백색, 눈 같은 설백색, 회색빛인 회백색, 푸른빛인 청백색 등 다양하다. 그래서 ‘두 귀 달린 잔’처럼 똑같은 형태의 찻잔이라도 전부 다른 백색을 띠고 있다. 이런 다양성은 각자의 개성을 존중하는 현대사회의 트렌드와도 부합된다. 백자뿐만 아니라 우리가 현재 누리고 있는 삶의 문화에도 그 가치를 재평가하는 노력들이 필요할 것이다. ‘케데헌’이 외국인들에게 한국문화의 독창성을 알려준 계기가 됐듯이 말이다.







조정육 미술평론가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