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거리 운전·음식 장만으로 다리에 ‘쥐’가 난다면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신경가동술
고향길 장거리 운전과 음식 준비 등으로 다리에 무리가 가기 쉬운 추석 연휴. 종아리나 발바닥에 ‘쥐’가 찾아온다면 대개 피로나 혈액순환 저하, 마그네슘·칼륨 같은 미네랄 부족을 먼저 떠올리기 마련입니다. 실제로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면 근육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어려워지고 근육수축과 이완에 필요한 미네랄이 부족해져 경련이 일어나기 쉬우니까요. 그러나 영양제를 챙기고 스트레칭을 해도 증상이 계속된다면 ‘신경 압박’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근육을 지배하고 감각을 전달하는 신경이 특정 부위에서 눌리거나 원활히 미끄러지지 못하면 근육이 비정상적인 신호를 받아 경련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 다리에는 허리에서 시작해 발끝까지 이어지는 신경 가닥이 여럿 있습니다. 그중 종아리 뒤쪽과 발바닥 경련과 깊이 관련된 것이 ‘경골신경’입니다. 이 신경은 좌골신경에서 갈라져 무릎 뒤 오금을 지나 종아리근육 사이를 따라 내려오며 발목 안쪽 복숭아뼈 뒤편을 통과해 발바닥까지 이어집니다. 종아리근육을 움직이게 하고 발바닥의 감각을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죠. 그런데 경골신경이 지나가는 길목에서 주변 조직에 눌리거나 유착이 생기면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발목 안쪽 복숭아뼈 뒤의 좁은 통로인 ‘족근관’을 지날 때 압박을 받기 쉬운데 이를 ‘족근관 증후군’이라고 부릅니다. 발바닥에 통증이 나타나 족저근막염으로 착각하기도 하는 질환입니다.
경골신경 압박, 근육 풀기만으로는 부족하다
경골신경을 압박할 수 있는 요인은 다양합니다. 반복적인 발목 사용이나 과사용, 과거 발목 염좌·골절, 발목 주변의 물혹이나 종양, 꽉 끼는 신발이나 부츠 착용, 평발이나 지나치게 높은 아치(요족) 모두가 신경 압박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단순히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신경이 부드럽게 미끄러지며 움직일 수 있어야 하는데요. 이를 돕는 방법이 바로 ‘신경가동술’ 또는 ‘신경 스트레칭’입니다.
집이나 사무실에서 손쉽게 실천할 수 있는 운동입니다. 신경이 눌리는 부위의 압박을 줄이고 주변 조직과의 유착을 풀어 혈류를 개선해주는 원리입니다. 이렇게 하면 통증·저림·경련이 완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추석 연휴 내내 장거리 운전이나 집안일로 다리가 무겁고 쥐가 자주 난다면 피로나 혈액순환 탓만 하기보다 경골신경의 건강을 함께 살펴보세요. 작은 스트레칭과 꾸준한 관리만으로도 긴 연휴를 훨씬 편안하고 가볍게 보낼 수 있습니다.
정용인
물리치료사로 유튜브 채널 ‘안아파연구소’를 운영 중이다.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