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음하는 ‘고위험 음주자’ 남성 줄고 여성은 늘었다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2012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10년간 ‘고위험 음주’를 하는 남성은 줄어든 반면 여성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위험 음주자는 남성은 50대, 여성은 30대에서 특히 많았다. 고위험 음주자는 소주나 양주 등을 기준으로 1회 평균 음주량이 남성은 7잔 이상, 여성은 5잔 이상을 주 2회 이상 마시는 사람이다. 맥주의 경우 350㏄를 1.5잔으로 계산했다. 질병관리청은 10월 30일 ‘국민건강영양조사 기반의 음주 심층보고서’를 발표했다. 음주행태와 그 변화 추세에 대한 다각적 분석 및 정책적 제언을 통해 국가 건강정책 수립의 근거자료를 만들기 위해서다.
남성의 고위험 음주율은 2012년 25.1%에서 2021년 23.6%로 떨어졌으나 같은 기간 여성은 7.9%에서 8.9%로 올랐다. 연령대별로 보면 남성은 50대(29.8%), 여성은 30대(13.2%)가 가장 높게 집계됐다.
한 달에 1회 이상 남성은 7잔 이상, 여성은 5잔 이상 술을 마시는 비율인 ‘월간 폭음률’의 변화도 성별에 따라 달랐다. 남성의 경우 2012년 61.7%에서 2021년 56.0%로 유의미하게 하락했으나 여성은 31.0%에서 31.1%로 큰 변화가 없었다. 남성은 5잔 이상, 여성은 3잔 이상을 주 4회 이상 마시는 ‘지속적 위험 음주율’은 남성은 10%, 여성은 3% 안팎에서 증감을 반복했다.
흡연과 음주(월간 기준)를 모두 하는 남성 비율은 2012년 36.2%에서 2021년 28.1%로 하락했다. 여성은 2012년 5.4%에서 2018년 6.1%로 올랐다가 2021년 5.5%로 떨어졌다. 매일 흡연하면서 고위험 수준으로 음주하는 비율은 최근 10년간 큰 변화 없이 남성 10명 중 1명(2021년 10.6%)꼴이었다.
소량의 음주에도 금세 얼굴이 빨개지는 알코올 홍조증을 경험한 사람은 10명 중 4명(2021년 기준 남성 38.9%, 여성 36.4%) 수준이었다. 이 중 고위험 음주를 하는 경우는 남성 14.0%, 여성 4.3%로 남성이 여성보다 약 3배 높았다. 알코올 홍조증은 알코올 분해효소가 부족해 생기는 증상이다. 질병청이 인용한 연구에 따르면 알코올 홍조증을 가진 사람이 많은 술을 자주 마시면 식도암 등 암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
만성질환 치료약(고혈압·당뇨병·이상지질혈증·천식 치료약 중 1개 이상)을 먹는 만 30세 이상의 고위험 음주율은 남성은 24.1%에서 20.4%로 줄었으나 여성은 0.9%에서 9.0%로 확연히 늘었다.
음주행태 관련 요인을 분석하면 여성보다 남성이 고위험 음주 3.04배, 월간 폭음 3.58배, 지속적 위험 음주가 5.07배 높았다. 70대 이상보다는 낮은 연령의 고위험 음주 비율이 높았다. 특히 40대의 경우 고위험 음주 2.44배, 월간 폭음 2.85배, 지속적 위험 음주 1.52배로 높게 나타났다. 또 운동 같은 건강행동을 실천하는 점수가 낮을수록 음주 위험이 컸다. 예를 들어 7점 만점 중 0~3점대는 고위험 음주 33.62배, 월간 폭음 3.12배, 지속적 위험 음주가 8.33배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한 김광기 인제대 교수는 “20~30대 여성 음주율이 높은 것은 도수가 낮은 술이나 과실주 같은 주류상품이 개발되고 음주에 대한 사회·문화적 수용성이 높아진 영향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음주조장 환경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을 당부했다. 지 청장은 “음주행태 감시와 근거 강화를 위한 국가건강 조사를 지속하고 취약집단별 맞춤형 예방 정책 등 음주 폐해 감소 및 국민건강 증진을 위해 관계부처가 적극 협력하겠다”고 전했다.
이근하 기자
[자료제공 :(www.korea.kr)]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