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치페이, 어디까지 해봤니?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더치페이, 어디까지 해봤니?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가까운 사이일수록 돈 이야기는 조심스럽죠. 예상치 못한 갈등이 생기기도 하고요. 친구·동료와 밥을 먹거나 차를 마실 때 10원 단위까지 계산해서 돈을 나눠 내는 것을 선호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대충 번갈아가며 내는 방식을 편하게 여기는 사람도 있어요. 서로 공금을 모아서 데이트통장이나 모임통장을 활용하는 경우도 있어요.
그래도 문제는 남아요. 서로 먹는 양이 다르거나 나이, 경제력에 큰 차이가 있을 때 동일한 기준으로 비용을 부담하는 것이 공평한 방법인지 의문을 가지는 사람도 있거든요. 더치페이, 어디까지 해봤는지 MZ세대의 솔직한 이야기를 들어봤어요.

참가자
울보(33세, 회사원)
채리(28세, 회사원)
말차는녹차(32세, 프리랜서)
소금빵에티코(27세, 회사원)
텅장대변인(32세, 회사원)
수달(33세, 회사원)
개울(26세, 회사원)
뽀삐(30세, 회사원)

Q. 친구들 모임 비용이나 데이트 비용 나누는 방식을 어떻게 정하나요?

울보
친구들과 모임할 때는 인원수대로 나눠서 내는 편이에요. 한 명이 먼저 카드로 결제하고 나중에 정산받는 방식이고 이때 적립되는 카드 포인트는 결제하는 사람이 챙기죠. 데이트할 때는 여자친구와 7대 3 정도 비율로 제가 더 쓰는 편입니다. 보통 3만 원 이하는 여자친구가 계산하고 그 이상은 제가 계산하는 식으로 저만의 기준을 정해뒀죠.

말차는녹차
친구별로 스타일이 다른데요. 보통 인원수대로 나눠서 내는데 한 명이 먼저 계산하고 나중에 정산해요. 여행을 갈 때는 아예 모임통장을 만들어서 쓰니까 편하더라고요. 연인과는 번갈아가며 냈던 것 같아요. 상대에 따라 다른데 제가 좀 잘 벌 땐 제가 많이 사고 상대가 잘 벌면 상대가 더 부담하는 식으로요.

수달
기본적으로 친구들과 나눠 내요. 기분 좋은 날이나 연봉이 올라서 한턱내고 싶을 때는 그냥 제가 다 내고요. 데이트할 때는 커피나 영화표 같은 소소한 비용은 제가 내고 밥값·여행비 등 큰 건 남자친구가 내는 경우가 많아요.

뽀삐
저는 남자친구랑 데이트통장을 만들었어요. 월급날마다 일정 금액을 같이 넣고 거기서 데이트 비용을 쓰니까 편하더라고요. 가끔은 개인 돈으로 서로 사주기도 하는데 남자친구가 본인이 먹는 양이 더 많다고 생각해서인지 자주 내더라고요.

Q. 더치페이를 하거나 한쪽이 돈을 더 내는 상황이 반복돼 서운했던 경험이 있나요?

채리
친구들은 기본적으로 똑같이 나눠 내는 편이에요. 그런데 여자친구들이랑 먹을 땐 밥값이 많이 나오지 않는데 남자들의 경우는 비용이 두 배 이상 나오더라고요. 먹는 양이 차이가 나니까요. 그럴 땐 좀 억울하게 느껴지기도 했어요.

말차는녹차
연애할 때 상대가 데이트통장을 만들자고 해서 엄청 서운했어요. 이미 서로 번갈아가면서 비슷한 수준으로 부담을 하고 있었거든요. 그 이야기를 듣자마자 ‘100원도 손해보기 싫나? 번갈아가면서 챙기는 것도 귀찮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 관계에 대한 회의감까지 들었어요. 결국 오래 못 가고 헤어졌어요.

소금빵에티코
처음 들어간 회사에서 직장 상사들이 돈을 칼같이 나눠 내더라고요. 저보다 직급도 훨씬 높고 나이도 많은데 많이 서운했어요. 반대로 제가 서운하게 한 경험도 있는데요. 취업준비생일 때 취업하는 사람이 한턱 내기로 했는데 막상 제 차례가 됐을 때 사정이 좋지 못해 한발 뺐더니 친구가 한 소리 하더라고요.
제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아서 속상했어요.

울보
누가 돈을 더 냈는지 따지기보다 태도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제가 많이 냈을 때 상대방이 그걸 당연하게 여기면 엄청 서운한데 말 한마디라도 고맙다고 해주면 괜찮거든요.

Q. 더치페이를 둘러싼 갈등을 줄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울보
연인끼리는 돈 문제를 흘려 넘기면 나중에 꼭 서운한 일이 생기더라구요. 처음엔 그냥 내다가도 나중에 눈치 주면 서로 기분이 상하잖아요. 그래서 아예 처음부터 경제적인 부분을 확실하게 얘기해두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채리
저는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어서 데이트할 때 협찬을 받아서 가는 편이라 데이트 비용이 많이 나오지 않아요. 협찬 없이 밥을 먹으러 갈 때나 협찬 받은 식당에서 추가금이 나올 때는 남자친구가 다 내는 편이에요.

개울
저는 친구나 연인 사이에 정산하듯이 계산하는 게 싫더라고요. 그래서 보통은 “밥은 내가 살게, 커피는 네가 사” 이런 식으로 하는 게 편했어요. 연애할 때도 서로 돈을 모으거나 돈이 오가는 과정이 불편하게 느껴져요. 상황 봐서 자연스럽게 맞추는 게 이상적이라고 생각해요.

텅장대변인
연애 초반 또는 연애 시작 전에 데이트 비용에 대해 먼저 조율하는 편이에요. 20대 때는 이런 대화를 꺼내는 게 조금 어려웠는데 30대가 되니 편하게 제 생각을 말할 수 있는 여유가 생겼어요. 돈 이야기도 처음이 어렵지 하다보면 편하게 말할 수 있게 되더라고요.

*어피티는 MZ 맞춤형 경제 콘텐츠를 뉴스레터에 담아 매일 아침 50만 구독자에게 보내는 MZ세대 대표 경제 미디어입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