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 쌓기 vs 잦은 이직 어느 것이 정답일까?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이 사라진 요즘, 더 나은 연봉 조건과 커리어에 도움이 되는 성장 기회를 찾아 잦은 이직을 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어요. 하지만 어떤 회사에서는 너무 잦은 이직, 짧은 재직 기간을 좋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보기도 해요. 끈기가 부족하거나 조직에 적응하지 못하는 건 아닐지 우려하는 거죠. 여기에 더해 최근 채용 과정에서 이전 직장에 평판조회(레퍼런스 체크)를 하는 기업이 늘어나면서 이직자들의 고민이 더욱 깊어지고 있어요.
한 회사에 얼마나 오래 다녀야 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까요? 또 이직 주기는 어느 정도가 적당할까요? 이직 경험이 있는 MZ 직장인들의 솔직한 이야기를 들어봤어요.
참가자
원두생두(32세, 회사원·프리랜서 경력 포함)
매씰(33세, 회사원)
이직메뚜기(34세, 회사원)
아구(31세, 회사원)
보수적자유영혼(42세, 회사원)
Q. 한 회사에 최소 몇 년은 다녀야 경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나요?
매씰
사회초년생일 때에는 첫 회사에 최소 2년 이상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1년은 업무 적응을 위한 최소한의 재직 기간이고 실무 경험은 부족하다고 여겨져서 이직할 때 문제가 되더라고요. 실제로 1년 채우고 퇴사해서 이직 면접을 보러 갔는데 면접관들이 1년밖에 안다닌 이유를 꼭 묻더라고요. 저도 만약 면접관이 된다면 1년 경력 지원자는 채용을 고민할 것 같아요.
아구
저는 재직기간이 1년이 지난 경력만 이력서에 적고 있어요. 2~3개월 정도 다니고 그만둔 회사는 경력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요. 그리고 채용 담당자들이 ‘한 분야에서 확실한 경험을 쌓았구나’라고 인정하는 기간은 2년 이상이라고 생각해요.
이직메뚜기
업계에서 보편적으로 경력으로 인정해주는 기준은 3년인 것 같아요. 저 역시 첫 회사에서 3년 일했는데 다음 회사로 이직할 때 3년 동안 배운 경험과 노하우를 많이 활용할 수 있었어요.
보수적자유영혼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최소 3년 이상은 다녀야 업무 태도나 숙련도 면에서 경력으로 인정받는 것 같아요. 이직이 너무 잦으면 인내심이 부족하다고 여겨져 좋은 인상은 못 주는 것 같아요.
Q. 잦은 이직이 커리어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이직메뚜기
잦은 이직이 꼭 나쁘다고 보진 않아요. 다만 요즘 채용 과정이 너무 어렵고 다양한 역량을 요구하니까 쉽게 이직을 마음먹기 어렵더라고요. 잦은 이직보다 시대가 요구하는 직무 역량을 같이 키우는 게 중요하다는 걸 체감하고 있어요.
매씰
이직을 자주 했는데 대부분 연봉 때문이었어요. 이직할 때마다 연봉이 올라가니까요. 사실 저는 입사한 지 6개월이 지나면 이직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편인데요. 요즘엔 채용이 줄어서 이직이 쉽지 않아 당분간은 버티기로 마음먹었어요.
아구
잦은 이직이 커리어에 도움을 주지는 못할 것 같아요. 저도 1년 일하고 옮긴 적이 있는데 이직할 때 면접관에게 당당하게 말하기 어렵더라고요. 그래도 공백기를 안 만들기 위해서 어떤 일이든 하면서 시간을 보냈기 때문에 해당 경력을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면접관들에게 최대한 설명하려고 노력해요.
원두생두
싱가포르에 사는 친구 말로는 그곳은 이직을 자주 하면 오히려 능력자로 보기 때문에 6개월에 한 번씩 이직하는 사람이 많다고 해요. 그런데 우리나라는 잦은 이직을 좋게 보지 않는 것 같아요. 대기업에 다니는 친구들은 대부분 10년 가까이 한 회사에 다니던데 안정적이어서 그런 것 같아 부럽기도 해요.
Q. 이직할 때 이전 회사에 평판조회를 하는 것이 당연한 절차라고 느끼나요?
원두생두
이직을 준비하는 지인이 저한테 추천서를 써달라고 한 적이 있어요. 나중에 회사 측에서 전화도 올 수 있다고 해서 놀랐는데 실제로 전화는 오지 않았어요. 만약에 제가 평판조회를 당하는 입장이 된다면 주변에 피해를 주는 것 같아 기분이 좋진 않을 것 같아요. 이직하는 걸 주변에 알리고 싶지도 않고요.
이직메뚜기
요즘 평판조회는 구체적으로 진행되더라고요. 저도 지난 이직 때 세 명에게 평판조회를 요청했고 미안해서 선물까지 보냈어요. 굳이 여러 사람 불편하게 평판조회 할 필요 없이 면접 때 제대로 평가하면 좋겠어요.
보수적자유로운영혼
회사에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평판조회를 하는 건 당연하다고 생각해요. 다만 기업이 이 정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봐요. 절대적인 평가 기준으로 삼기보다 참고자료로만 활용하고 조회 대상자에게 그 내용을
공유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아구
평판조회를 당하는 사람은 불편하겠지만 만약 제가 채용하는 입장이라면 체크하고 싶을 것 같아요. 그리고 면접관에게 솔직하게 이직 사유를 말했다면 평판조회가 부담스럽지는 않겠죠? 다만 채용 후 회사 측에서 평판조회 내용을 공유해주면 좋겠어요.
*어피티는 MZ 맞춤형 경제 콘텐츠를 뉴스레터에 담아 매일 아침 50만 구독자에게 보내는 MZ세대 대표 경제 미디어입니다.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