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조 경보 당일 발령 녹조 관리체계 전면 개편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녹조 경보 당일 발령 녹조 관리체계 전면 개편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조류경보제 27년 만에 개선
취수구 50m 이내서 강물 채취
연내 녹조 종합대책 마련

환경부가 조류경보제의 채수 위치를 조정하고 경보발령 일자를 채수 당일로 앞당기는 등 녹조 문제 해결을 위한 제도 개선에 착수했다. 2025년 말까지 녹조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이재명정부 임기 내에 해결 기반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1998년 도입된 조류경보제는 낙동강 등 전국 하천·하소 상수원 28개 지점에서 주 1~2회 채수한 뒤 1㎖당 유해 남조류 세포수를 기준으로 ‘관심’, ‘경계’, ‘대발생’ 등의 경보가 발령된다. 현재 낙동강 하천 4개 지점(해평, 강정·고령, 칠서, 물금·매리)에서 운영 중인 조류경보제는 취수구 상류 2~4㎞에서 시료를 채취하기 때문에 실제 취수구로 유입되는 녹조 상황과 차이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시료 채수부터 분석, 경보 발령까지 3.5일이 소요돼 녹조 발생에 선제적인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에 환경부는 채수 지점을 원수 취수구 인근 50m 이내로 조정한다. 취수구 인근의 정확한 녹조 정보를 취·정수장에 제공해 정수처리 강화와 같이 녹조 대응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 채수 후 즉시 남조류 세포수 분석이 가능하도록 경보발령 기준을 채수 당일로 전환한다. 이를 위해 해평취수장과 칠서취수장에 이동형 수질분석차량을 1대씩 배치하고 매곡취수장과 매리취수장은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센터 등을 활용하도록 한다.
환경부는 강가 및 고농도 녹조 구역 등에 대한 감시도 병행한다. 해당 분석 결과를 모든 국민이 언제든 찾아볼 수 있도록 물환경정보시스템에 알림창(팝업) 등의 형태로 공개할 예정이다. 개선된 조류경보체계는 녹조가 심한 낙동강 하천 구간에 우선 적용한 뒤 전국으로 확대한다.
아울러 환경부는 ‘먹는물’, ‘공기중’, ‘농산물’ 등 분야별 녹조 관리 조치를 다각적으로 이행할 예정이다. 먼저 먹는물 안전 관리를 위해 조류경보 감시체계를 고도화한다. 현행 조류경보제는 남조류 세포수 단일 기준을 기반으로 발령 단계를 결정하고 있으나 앞으로는 조류독소(마이크로시스틴) 농도까지 고려해 경보를 발령한다. 정부와 시민사회의 조사 결과가 엇갈려 주민 혼란을 낳았던 공기중 조류독소 조사는 하반기부터 시료 채취 단계부터 투명하게 공개한다. 공기중 조류독소의 위해성 연구도 하반기부터 추진할 계획이며 녹조가 극심한 지역에서 재배된 농산물에 대한 녹조 감시를 실시한다.
이밖에 가축분뇨 등 녹조 오염원을 원천 차단하며 기후위기로 심화되는 녹조 문제의 실질적인 해결을 위한 대책을 올해 안으로 수립한다. 환경부는 4대강 재자연화 대책도 추후 별도로 마련할 계획이다.

이근하 기자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