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기준 중위소득 역대 최대 인상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2026년 기준 중위소득 역대 최대 인상 6.51%
생계급여 선정기준 76만 5444원 → 82만 556원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이 4인가구 기준 6.51% 인상돼 역대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올해 4인가구 기준 중위소득은 609만 7773원이었는데 내년부터 649만 4738원으로 결정돼 약 40만 원 올랐다. 보건복지부는 7월 31일 제77차 중앙생활보장위원회를 개최하고 2026년도 기준 중위소득과 기초생활보장 급여별 선정기준 및 최저보장수준을 심의 및 의결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1인가구의 기준 중위소득은 올해 239만 2013원에서 내년 256만 4238원으로 7.20% 올랐다. 복지부에 따르면 기초생활보장 수급가구 중 74.4%, 생계급여 수급가구 중 80%가 1인가구다.
기준 중위소득은 국민 가구소득의 중간값으로 국민의 기초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각종 복지급여의 선정기준이 된다. 따라서 이듬해 기준 중위소득을 전년도에 미리 정해놓는 것이다. 예컨대 생계급여를 받으려면 기준 중위소득의 32% 이하여야 하고 의료급여 40% 이하, 주거급여 48% 이하, 교육급여 50% 이하, 교육부 국가장학금 300% 이하, 문화체육관광부 예술활동준비금 지원 120% 이하에 해당해야 한다. 고용부 국민취업제도를 이용하려면 기준 중위소득의 60% 또는 100% 이하, 여성가족부 아이돌봄서비스는 200% 이하를 기준으로 한다.
복지부는 생계급여 선정기준도 함께 올렸다. 1인가구 기준 올해 76만 5444원에서 내년 82만 556원으로, 4인가구 기준 195만 1287원에서 207만 8316원으로 인상했다. 기준 중위소득과 각종 급여 선정기준이 높아지면 복지정책의 수혜자도 늘어나는 셈이다.
국내 건설사 시공능력평가 보니
2025년 총 시공능력평가액 299조 627억 원
국내 토목건축업체들의 시공능력평가액 합계가 2023년 273조 5624억 원, 2024년 294조 771억 원에 이어 올해 299조 627억 원으로 집계돼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7월 31일 7만 3657개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5년도 시공능력평가’ 결과를 공시했다.
토목건축업체별 시공능력평가액 총액은 삼성물산 34조 7219억 원, 현대건설 17조 2485억 원, 대우건설 11조 8969억 원으로 1~3등 순위가 지난해와 같다. 공사실적평가액은 삼성물산 9조 1504억 원, 현대건설 7조 3568억 원, 대우건설 5조 8957억 원을 기록했다. 기술능력평가액으로는 현대건설 1조 9992억 원, 대우건설 1조 5985억 원, 현대엔지니어링 1조 5920억 원 순의 성적표를 받았다.
이번 시공능력평가 결과는 8월 1일부터 적용됐다. 이는 공사를 발주할 때 입찰자격 제한 및 시공사 선정 등에 활용되며 그 외 신용평가, 보증심사 등에도 활용된다. 자세한 평가 결과는 대한건설협회(cak.or.kr), 대한전문건설협회(kosca.or.kr), 대한기계설비건설협회(kmcca.or.kr) 등 업종별 건설 관련 협회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문화가족 자녀 대학 취학률 늘었다
대학 취학률 61.9% 평균소득 300만 원 이상 65.8%
2024년 국내 다문화가족 자녀의 대학 취학률이 61.9%를 기록해 40.5%였던 2021년보다 21.4%포인트(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가 전국 다문화가족 1만 6014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다문화가족 자녀와 일반 국민의 대학 취학률 격차가 2021년 31.0%P에서 2024년 13.0%P로 좁혀졌다. 4년제 이상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만 9~24세 다문화가족 자녀 비율도 71.6%로, 60.7%였던 2021년 대비 눈에 띄게 늘었다. 최근 1년간 학교폭력을 경험한 비율은 2021년 2.3%에서 2024년 1.9%로 하락했다. 이에 대해 여가부는 “2000년대 초중반 출생한 다문화가족 자녀들이 정부의 정책과 지원제도 확대 효과를 체감하는 시기와 맞물린 결과”라고 분석했다.
다문화가구의 소득수준도 전반적으로 향상됐다. 지난해 월평균 소득이 300만 원 이상인 다문화가구 비율은 65.8%로 집계됐다. 2021년 50.8%에서 15.0%P 상승한 수치다. 300만~400만 원 소득 구간이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고 여가부는 부연했다. 주택 점유 형태도 자가 비율이 56.2%로 가장 높았다. 이어 보증금이 있는 월세가 20.2%, 전세가 19.3%로 뒤를 이었다. 다문화가구의 정착 기간도 길어졌다. 15년 이상 거주자는 52.6%로 2021년 대비 12.7%P 상승했다.
놀고 있는 사유림 국가가 삽니다
여의도 면적 14배 올 예산 582억 원
서울 여의도 면적의 14배에 달하는 사유림 4162헥타르(㏊)를 국가가 사들인다. 산림청은 이를 위해 올해 582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고 밝혔다. 개인이 보유만 하고 놀리고 있는 사유림을 국가가 매수해 산림 사업 등의 관리를 거쳐 국민에게 공익적 혜택을 제공하겠다는 취지다.
사유림 보유자는 ‘일시형’과 ‘연금형’ 방식으로 국가에 사유림을 팔 수 있다. 일시형은 국가가 개인의 산림을 매입하고 그 매매 대금을 일시에 지급하며 연금형의 경우엔 매매 대금을 10년간 매월 일정 금액으로 분할해 지급한다. 이때 분할 지급금은 매매 대금과 이자액, 지가 상승 보상액으로 지급되며 매매 대금의 40% 이내에 해당하는 금액을 먼저 지급하고 나머지 60% 이상의 매매 대금과 이자액, 지가 상승 보상액을 120회차로 나눠 매월 지급한다. 산림청은 연금형 매매에 대해 “안정적인 생활자금을 원하는 산주들의 관심이 높아 올해 9월 중으로 예산 100억 원이 소진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강조했다.
매도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산림청 누리집(forest.go.kr)에 올라온 공고나 ‘사유림을 삽니다’ 공고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김광주 기자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