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 내 괴롭힘’으로 상처받은 적이 있나요?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직장 내 괴롭힘’으로 상처받은 적이 있나요?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은 마음을 다치는 순간을 맞닥뜨리곤 하죠. 상사의 부당한 대우, 선배들의 텃세, 동료들의 따돌림, 불필요한 신체 접촉이나 성적 발언까지. 고용노동부 통계에 따르면 ‘직장 내 괴롭힘’ 신고 건수는 매년 증가하는 추세지만 여전히 많은 직장인이 신고를 망설이거나 제대로 된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해요. 이번 생생 MZ 톡에서는 직장 내 괴롭힘을 직접 겪은 MZ세대 직장인들의 이야기를 들어봤어요.

참가자
요술공주 현영(27세, 마케터)
수잔(29세, 취준생)
양양(30세, 직장인)
두부좋아(32세, 개발자)
기쁜 사자(39세, 직장인)
키키(34세, 디자이너)
비트(35세, 마케터)
깡총(30세, 데이터 엔지니어)

Q. 직장에서 부당한 대우를 경험한 적이 있나요?

두부좋아
첫 회사에서 상사의 관심을 많이 받게 됐어요. 그런데 제가 선을 긋자 갑자기 무시하기 시작했어요. 회의에서 쫓겨나고 업무에서도 배제되고 성희롱까지 당했지만 대표는 제가 살갑게 굴지 않아서 그렇다고 했어요. 매일 밤 울면서 잠이 들었어요.

기쁜 사자
회사 대표가 저를 괴롭혔어요. 투자와 영업에 대한 제 의견을 이야기하면 ‘대표를 바꾸려고 하지 말고 네가 회사를 나가’라고 했어요. 폭언을 하고 업무 지원도 전혀 안해주더니 결국 퇴사를 강요했어요.

비트
회사의 옆 팀 이야기예요. 상사로부터 폭언과 괴롭힘(윽박, 말도 안되는 업무 강요, 야근시키기 등)에 시달리던 팀장이 뇌경색으로 쓰러졌어요. 복귀하고도 괴롭힘이 계속돼 결국 휴직을 했어요. 아이러니하게도 회사는 매월 ‘직장 내 괴롭힘’ 교육을 하고 있답니다.

요술공주
전 직장 상사에게 멱살을 잡혔어요. 원래 습관적으로 손찌검을 일삼는 사람이었어요. 이런 일이 반복돼서 녹음을 하고 인사팀에 신고했지만 저만 다른 부서로 이동 조치되고 가해자는 원래 자리에서 계속 근무했어요.

키키
사내에서 특정 여성 직원들에게 성희롱과 성추행을 일삼는 간부가 있었어요. ‘나랑 호텔 갈래?’ 같은 망언을 사무실에서 아무렇지 않게 내뱉으며 손을 잡는다거나 팔꿈치로 가슴을 누르기도 했어요. 피해자들 모두 불이익을 당할까봐 신고를 포기해 가해자는 아무 처벌도 받지 않았어요.

Q. 피해 사실을 신고하거나 도움을 요청한 적이 있나요?

두부좋아
고용노동부에 알아보니 신고 접수를 해도 시정명령을 할 뿐 법적 혹은 강제적 조치 권한은 없더라고요. 그래서 결국 신고도 못하고 쫓겨나듯이 퇴사했습니다. 제 모든 정보를 알고 있고 혹여나 동종업계 취업에 나쁜 영향이 있을까봐서요.

수잔
‘일당백’을 해야 굴러가는 중소기업에서는 일에 지장을 줄까봐 신고하기가 쉽지 않아요. 다들 고생하는 거 아는데 괜히 개인적인 이유로 귀찮게 하기 미안하잖아요.

키키
현재 회사에서 따돌림을 당하고 있어요. 너무 사소해서 법적으로 제재를 가할 수도 없는 종류의 정신적인 괴롭힘이랄까요? 저만 빼고 식사를 하러 가고 제 인사만 안받아주는 식이에요. 사정상 회사를 그만둘 수 없어 버티고 있는데 딱히 신고할 수도 없어서 우울해요.

깡총
선배가 괴롭혀서 회사에 알렸어요. 그런데 원래 사회생활이 그렇다면서 그냥 넘어가라고 하더라고요. 결국 퇴사를 결심하고 사유에 그 선배 이름을 적겠다고 했더니 그것마저 회사 측에서 막더라고요. 결국 아무것도 못했어요.

Q. ‘직장 내 괴롭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제도적 보완이 필요할까요?

두부좋아
큰 기업과 달리 소규모 기업은 법·제도적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요. 제가 피해를 겪었던 곳도 마찬가지였어요. 고용부에서는 회사 대표에게 조사를 일임한다는데 대표가 사건을 모른 척하니 저는 도움청할 곳이 전혀 없었어요. 신고가 접수되면 기업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직접 조사하면 좋겠어요.

기쁜 사자
과다한 업무 지시는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정되지 않는다고 하더라고요. 이것도 법적으로 제재했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고용부 누리집에서 ‘직장 내 괴롭힘’이 신고된 기업을 조회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양양
가해자와 피해자를 즉시 분리 조치하고 2차 가해를 막아야 해요. 주로 상급자가 하급자를 괴롭히는 경우가 많으니 회사가 피해자 편에서 적극적으로 관여해야 해요. 특히 고용부가 괴롭힘이나 성 문제에 관해 적극적으로 개입하면 좋겠어요.

요술공주
‘직장 내 괴롭힘’으로 신고된 사건을 회사 인사팀에만 맡기지 말고 신고 경위와 결과 등에 대해 고용부에서 감독해야 한다고 봅니다. 그리고 잡코리아 등 취업 플랫폼 채용 페이지에도 ‘직장 내 괴롭힘’ 신고 횟수를 의무적으로 공개하면 좋겠어요. 개인이 회사에 지원할 때 범죄 경력이 있으면 불리하게 작용하는데 회사도 이런 경력을 숨기면 안된다고 생각해요.

*어피티는 MZ 맞춤형 경제 콘텐츠를 뉴스레터에 담아 매일 아침 50만 구독자에게 보내는 MZ세대 대표 경제 미디어입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