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덱스 관계 : 붙였다 뗐다… 관계를 분류하고 관리하고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인덱스 관계 : 붙였다 뗐다… 관계를 분류하고 관리하고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휴대폰을 꺼내 연락처를 살펴보자. 자주 연락하는 번호가 있을 것이다. 가족이나 친구·동료일 수도 있고 업무상 필요한 사람일 수도 있다. 그 사람들과 친하다고 할 수 있는가? 친함의 기준은 무엇일까? 예전에는 자주 연락하고 만나는 횟수가 잦으면 친함의 범주에 쉽게 들었다. 반면 요즘은 그 기준이 모호하다. 친밀함은 잦은 접촉으로 가르는 이분법이 아니다. 관계의 범위가 넓어졌기 때문이다.
관계의 밀도보다 스펙트럼이 중요시되는 세상이다. 오프라인 만남, 전화·메시지 연락의 횟수가 관계를 규정짓지 못한다. 서로 연락처를 몰라도 관계 맺기가 가능해졌다. 사람을 만나는 경로가 다양해지며 관계를 분류하고 정리하는 모습이 양산되면서다. 단적인 예가 누리소통망(SNS)과 커뮤니티다. 선망하는 대상인 인친(인스타그램 친구), 팬 활동을 함께하는 트친(트위터 친구), 최신 뉴스를 알려주는 페친(페이스북 친구), 만나서 함께 노는 실친(실제 친구)에 이르기까지 친구라는 단어 안에도 다채로운 스펙트럼이 생겼다.
요즘의 관계 맺기는 목적을 기반으로 형성된 수많은 인간관계의 효용성을 극대화하는 관리에 가깝다. 소통 매체가 진화하며 관계 형성의 본질을 바꾸고 있다.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가 집필한 <트렌드 코리아 2023>은 이를 ‘인덱스 관계’로 정의했다. 인덱스(색인)를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는 모습에 비유한 것이다.



‘첫눈에 반했다’보다 연애 목적 플랫폼 선호
인덱스 관계는 3가지 단계로 나뉜다. 시작은 ‘만들기’ 단계다. 온라인 플랫폼으로 자신의 목적에 맞는 새로운 인간관계를 동시다발적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분류하기’ 단계에서는 형성된 관계에 라벨을 붙인다. ‘친함’의 정도를 분류하고 소통하는 방법을 구분 짓는다. 마지막 ‘관리하기’ 단계에서는 친밀한 관계에는 노력을 덧붙이고 불필요한 관계를 정리하면서 라벨을 반복해서 떼고 붙이며 관리한다.
흥미로운 건 ‘만들기’ 단계다. 목적 지향 의도가 다분하다. 과거에는 학교·회사를 같이 다니거나 동아리·모임을 나가면서 일상의 모임이 자연스럽게 이뤄졌다. 요즘은 관계 형성에 목적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러한 현상은 연애 시장에서 두드러진다. 최근 경기 성남시가 주최한 미혼남녀 소개팅 행사 ‘솔로몬의 선택’에서 39쌍의 커플이 탄생하며 화제를 모았다. 남녀 100쌍 중 39%의 매칭률이 나타난 것이다. 지방자치단체가 주선하는 소개팅이 이처럼 성행한 까닭은 무엇일까?
‘연애’라는 자발적 목적을 가진 남녀만 참여한 것이 크게 작용했다. 코로나19 이후 이성을 만날 기회가 줄어들기도 했고 요즘 세대는 결혼정보회사, 데이팅 애플리케이션(앱)을 활용하는 데 거부감이 없다. 더욱이 지자체가 혼인관계증명서, 재직증명서 등을 통해 기본적인 신원 조회를 해주니 믿고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이다. “첫눈에 반했다”며 호감을 표하던 로맨스는 부모 세대에서나 어색하지 않았다. 타인에 대한 경계심이 높아진 데다 자칫 스토커로 오해받을 수도 있어 요즘에는 어려운 일이 됐다.
목적 관계는 관심사에도 적용된다. 조기축구회를 떠올리면 쉽다. 과거에는 가까운 곳에 사는 동네 형·동생과 모여 축구를 했지만 이제는 플랫폼을 이용한다. 잘 모르는 사이여도 괜찮다. 공통의 목적을 통해 서로 알아가면 그만이다. 등산·전시·공연 등 관심 있는 주제를 중심으로 만나는 행위는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발달하고 있다. ‘문토’, ‘소모임’ 등의 앱이 인기 있는 이유다.
만들기를 통해 형성된 관계는 ‘친함’의 정도에 따라 분류로 이어진다. 좀 더 친숙해지고 싶은 상대에게는 노력을 더한다. 여기까지는 보통의 관계 맺기와 유사하나 목적에 따라서는 인덱스를 붙이는 데로 나아간다. SNS마다 다른 역할을 부여하는 것도 그 일환이다. 가령 카카오톡은 조별 과제나 업무 용도로 사용하고 인스타그램 DM(쪽지)은 친한 친구와 대화할 때 사용한다. 퇴근하거나 내가 원하지 않을 때는 카카오톡 알림을 꺼두면 된다. 관계가 전무한 경우에는 문자메시지를 사용한다.

연락처는 몰라도 친밀한 비대면 관계
이와 같은 관계는 전략적으로 관리를 한다. 마치 인덱스를 붙였다 뗐다 하듯. 트친으로 시작한 관계가 실친으로 발전할 수도 있고 실친으로 시작한 관계가 인친으로 옅어질 수 있다. SNS로 맺은 관계가 스트레스로 다가오면 계정을 폭파하기도 한다. 일종의 리셋이다.
다양한 소통 매체의 발달로 인덱스 관계의 출현은 필연적이었다. 온라인으로 관계를 맺고 교류하는 건 이미 있는 현상이었다. 코로나19가 이를 심화시켰을 뿐이다. ‘직접 만남’이 중요하던 과거와 달리 다양한 방식으로 관계를 지속해나가는 요즘 ‘대면’은 여러 방법 중 하나일 뿐이다. 서로 연락처를 모를지언정 SNS로 자주 소통하는 관계가 1년에 1~2번 직접 만나는 관계보다 친밀할 수 있다.
생애주기가 다양해진 점도 한몫했다. 과거에는 또래 친구들이 유사한 시기에 입학·취업·결혼·출산을 겪었다. 하지만 결혼 적령기가 모호해지고 비혼도 늘어나는 추세다. 결혼 전 친했던 친구가 육아 고민을 나눌 상대로 적당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럴 때면 오히려 커뮤니티가 유용하다. 고민을 적어 올리면 회원들이 댓글로 정보를 제공해준다. ‘육아’라는 공통의 관심사로 실친보다 더 깊어지는 관계 맺기도 가능하다.
또한 모든 관계에서 자기중심성이 강조되고 있다. 관계의 지속성을 내가 선택할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나를 불편하게 만드는 관계와도 ‘좋은 게 좋은 것’이라고 잘 지내는 게 미덕이었지만 요즘은 그런 관계는 차라리 없는 편이 낫다고 여긴다. 물론 이런 관계는 휘발성이 높다. 수백 명의 인친과 트친 중 실제로 신뢰하고 교류하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는가? 그렇지만 관계의 방점이 밀도보다 스펙트럼에 있는 걸 고려하면 적절한 선택지다. 소수와의 강한 연결보다 다수와의 약한 연결이 삶에 유용한 양질의 정보를 더 많이 제공한다니 합리적인 선택일지도 모른다.

조이현 객원기자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