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갸날’을 아시나요?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제576돌 ‘한글날’
10월 9일은 제576돌 ‘한글날’이었습니다. 한글날은 ‘삼일절’ ‘제헌절’ ‘광복절’ ‘개천절’과 함께 5대 국경일 중 하나로 한글의 독창성 및 과학성과 우수성을 국내외에 널리 알리고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반포한 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하지만 10월 9일이 한글날이라는 이름으로 법정공휴일이 되기까지 우여곡절도 있었는데요.
‘가갸날’에서 ‘한글날’이 된 이유
한글날은 1926년 음력 9월 29일로 ‘가갸날’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됐습니다. 당시는 아직 한글이 보편화되지 않았고 한글을 처음 배울 때 ‘가갸거겨…’라고 하는 것에 착안해 ‘가갸날’이라고 불렀는데요. 가갸날은 1928년 ‘한글날’로 이름을 바꾸었고 1945년부터는 1940년에 발견된 훈민정음 원본 말문에 적힌 날짜에 근거해 지금의 10월 9일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한글은 훈민정음을 20세기 이후 달리 부르는 명칭인데요. ‘가갸글’ ‘언문(諺文)’ ‘정음(正音)’ ‘국문(國文)’ 등으로 불린 훈민정음을 1910년대에 주시경 선생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연구가들이 ‘한글’이라는 이름을 붙여 명칭이 달라졌습니다. 한글의 의미는 ‘으뜸가는 글’ ‘하나밖에 없는 글’ ‘한국인의 글자’라는 의미를 지녔는데요. 달라진 점이라면 훈민정음은 창제 당시엔 자음 17자, 모음 11자로 총 28자모(字母)로 구성됐지만 현행 한글 맞춤법에선 24자모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글날은 1949년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 따라 1990년까지 법정공휴일로 지정됐는데요. 하지만 1991년 한글날은 국군의 날(10월 1일)과 함께 공휴일에서 제외됐습니다. 10월에 공휴일이 많아 경제활동에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것이 주된 이유였는데요. 이에 한글학회 등 한글 관련 단체들이 꾸준히 문제 제기를 한 결과 2006년 한글날을 국경일로 승격시키는 내용의 ‘국경일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통과돼 한글날은 국경일의 지위를 회복했습니다.
다만 주5일제 시행 등 공휴일이 너무 많다는 지적에 따라 법정공휴일로 지정하는 대통령령은 시행되지 않았는데요. 한글날이 법정공휴일로 다시 지정된 것은 2012년이었습니다. 2012년 12월 국무회의를 통해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 일부 개정령안’이 통과돼 다음 해인 2013년부터 한글날이 다시 법정공휴일로 지정됐는데요. 이는 한글날이 법정공휴일에서 제외된 지 22년 만입니다.
덜 알려진 한글 이야기
현대 국어에서는 글의 뜻을 더욱 분명하게 해주는 띄어쓰기를 중요하게 여기지만 한자를 쓴 관습에 따라 한글이 창제된 이후에도 오랫동안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는데요. 한글 문헌에서 처음 띄어쓰기를 한 사람이 영국인이라는 사실 아셨나요?
지금까지 알려진 것 중 처음으로 띄어쓰기를 한 문헌은 1877년 영국인 목사 존 로스가 쓴 입니다. 중국에서 선교사로 활동하다 압록강을 건너온 한약 장수 이응찬에게 한국어를 배운 것으로 알려진 존 로스 목사는 한글 문장을 영어식으로 띄어 쓰고 여기에 영어 단어로 발음을 표기했는데요.
이후 1896년 서재필, 주시경, 미국인 선교사 헐버트 등이 만든 이 간행물로는 최초로 띄어쓰기를 한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물론 최초 순한글 신문이기도 한데요. 창간호인 4월 7일자 1면 논설(사설)을 보면 이와 관련된 부분이 나옵니다. “모두 언문으로 쓰는 것은 남녀 상하귀천이 모두 보게 함이오, 또 구절을 띄어쓰는 것은 알아보기 쉽도록 함이다.” 이후 1933년 조선어학회가 만든 ‘한글맞춤법통일안’이 나오면서 띄어쓰기가 보편화됐습니다.
그렇다면 가로쓰기는 언제 시작됐을까요? 한국인이 쓴 책 중 최초의 가로쓰기를 한 문헌은 1895년에 나온 입니다. 이 책은 우리나라 최초의 국어 대역사전(한글 단어를 다른 나라 말로 설명한 것)으로 2012년 문화재로 지정됐는데요. 광복이 된 1945년에는 미 군정청 학무국(學務局)의 조선교육심의회에서 일본식 세로쓰기 대신 가로쓰기를 하기로 결정하며 가로쓰기가 정착됐습니다.
독일의 철학자 마르틴 하이데거는 ‘언어는 존재의 집’이라고 했습니다. 우리는 한글을 통해 존재를 드러내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며 세계를 이해하죠. 한글이 없었다면 사람들이 서로 소통하고 이해하는 방식이 훨씬 복잡하고 어려웠을 텐데요. 한글날을 맞아 바른말 고운말 사용으로 한글의 소중함을 되새겨보는 것은 어떨까요?
백미현 기자
[자료제공 :(www.korea.kr)]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