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 후 업무 연락, 어디까지 받아야 할까요?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퇴근 후 가벼운 마음으로 집에 돌아왔는데 갑자기 울리는 카톡 소리, 혹시나 확인해보니 팀장이 보낸 업무 관련 메시지. 이럴 때는 갑자기 사무실로 다시 소환된 듯한 느낌이 들죠. 친구들과의 저녁 자리에서 갑자기 걸려온 회사 전화 때문에 수저를 내려놓고 일 얘기를 해야 했던 경험도 있을 겁니다. 단톡방 공지 등 퇴근 후 이어지는 업무 연락, 어디까지 받아줘야 할까요? MZ세대의 생각을 들어봤어요.
참가자
촉촉한귤락쿠키(31세, 건축사)
바닐라웨이퍼(32세, 프리랜서)
조이(33세, 회사원)
원제시(30세, 회사원)
새까만스팸(32세, 개발자)
양양(35세, 회사원)
화난사자(31세, 구직자)
산영(28세, 회사원)
Q. 퇴근 후 메시지나 전화로 업무 관련 연락을 받은 적 있나요?
촉촉한귤락쿠키
지금 일하고 있는 건축 관련 업종에서는 현장 상황 등 외부 변수가 많아서 업무시간을 딱 정하기가 어려워요. 당연히 퇴근 후 연락도 많고요. 업계 특성상 어느 정도 감당해야 하는 부분은 있다고 생각해요. 다만 퇴근 후 업무 연락이 더 괴롭게 느껴지는 이유는 ‘카톡’ 때문인 것 같아요. 즉각 답을 해야 하니 더 부담스러워요.
양양
24시간 운영되는 카페에서 일한 적이 있는데 쉬는 날 단톡방 확인을 안했더니 메시지가 350개나 쌓였더라고요. 출근해서 실수라도 하면 “단톡에 공지내용 다 올려놨는데 왜 확인을 안했냐”며 혼났어요. 명절 당일 전화가 온 적도 있어요. 직원 중에는 휴가 때 휴대전화를 일부러 회사 서랍 안에 두고 간다고 하더라고요. 깜박한 척하고요!
바닐라웨이퍼, 산영
방송국에서 일한 적이 있는데 휴일, 퇴근 후 상관없이 연락이 왔어요. 연락을 안 받으면 방송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어서 퇴근 후에도 휴대폰을 달고 살아야 했어요. 급하게 답을 해줘야 하는 경우가 많아서 정신적 스트레스가 컸고요. 결국 일을 그만뒀어요.
원제시
퇴근 후 업무 연락을 경험해보지 않은 회사원이 있을까요? 저는 회사가 제 퇴근 시간을 침해하는 게 일상이에요. 업무용 메신저보다 주로 카톡으로 소통이 이뤄지는 편이라서 휴가 때는 아예 애플리케이션을 삭제하기도 하는데 어떻게든 연락이 오더라고요.
Q. 퇴근 후 회식, 단톡 공지, 업무 연락도 ‘근무’에 포함된다고 생각하나요?
조이
업무 연락은 당연히 근무로 포함돼야 한다고 생각해요. 회식도 강제성이 있다면 업무로 봐야 해요. 친목 도모와 단합이 목적이라지만 점심 회식 또는 티타임으로도 충분할 거 같아요.
산영
연락하는 것만으로는 업무로 보기 애매하지만 일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업무라고 보고 보상을 해야겠지요.
새까만스팸
회사와 관련된 일은 모두 근무라고 생각해요. 회식도 업무의 연장선이죠. 업무 관련 내용이 논의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수습 기간엔 퇴근 후뿐만 아니라 시도 때도 없이 전화가 왔는데, 해외 출장 간 상사가 국제전화를 시켜서 전화 요금까지 부담한 경우도 있었어요. 결국 수습 기간이 끝나자마자 병원비가 200만 원 가까이 나올 정도로 몸이 아팠어요.
원제시
무조건 근무로 포함시켜야 해요. 24시간 돌아가는 업계에서 일하다 보니 상사가 주말에도 전화해서 업무 진행을 확인한 경우가 있었어요. 포괄임금제라서 그냥 넘어가지만 포괄임금제가 아닌 회사들은 퇴근 후 업무 연락 시간도 수당으로 계산해서 줘야 해요. 그런데 현실적으로 그렇게 해줄 회사가 있을지는 의문이에요.
Q. 근무 외 시간이 침해받는 것에 대해 제도나 보상이 필요하다고 느낀 적 있나요?
조이
근무 시간 외 업무 연락을 하면 페널티를 주는 제도가 있으면 좋겠어요. 그래야 정말 필요할 때만 연락하지 않을까요? 물론 일이 늘 예측 가능한 건 아니라서 꼭 연락이 필요한 경우도 있겠죠. 그래도 어느 정도 경계를 명확히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어떤 회사는 노트북 없이 PC만 지급해 회사 밖에서는 아예 일을 할 수 없는 시스템이더라고요.
산영
보상이나 제도도 필요하지만 기업 문화가 제일 중요하다고 뼈저리게 느꼈어요. 야근이나 잔업을 일삼는 분위기면 어떻게든 시간 외 근무를 할 수밖에 없더라고요. 연락을 안 받으면 저만 이상한 사람이 되고요.
화난사자
사회적으로 퇴근 후 연락을 아예 금지시켜야 조직 문화가 완전히 바뀔 수 있을 것 같아요. 하지만 업종마다 특성이 달라 모든 직업에 똑같은 기준을 적용하는 게 현실적으로 어려워보이긴 해요.
원제시
보상을 더 주기보다는 퇴근 후 시간을 침해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제도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우리나라는 직원들의 집 주소, 전화번호를 개인정보라고 생각하지 않는 거 같아요. 프랑스의 경우 직원의 개인정보를 알 수 없게 한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거든요.
*어피티는 MZ 맞춤형 경제 콘텐츠를 뉴스레터에 담아 매일 아침 50만 구독자에게 보내는 MZ세대 대표 경제 미디어입니다.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