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12월 한우·돼지 도매가격 안정화 전망, 소비자 물가 부담 완화를 위해 적극 노력 > 소식통 | 정보모아
 
소식통

11~12월 한우·돼지 도매가격 안정화 전망, 소비자 물가 부담 완화를 위해 적극 노력

작성자 정보

  • 사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보도 주요 내용>

 

  1020() 한국경제 돼지·소고기 작년보다 비싸 수입산도 올라 장바구니 부담기사에서 "한우 도매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18.2% 뛰었고 돼지고기는 12.6% 급등했다" 등의 내용을 보도하였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설명>

 

  10월 평균 한우(거세우) 도매가격은 평년 동기 대비 소폭(2.9%) 상승하였으나, 소비자가격은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한우 등의 도매가격은 요일별로 차이가 큰 특성이 있으므로 특정 시기 가격의 동향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특정 일자가 아닌 월 또는 순기(10) 평균 가격을 비교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10월 현재 한우(거세우)의 월평균 도매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5% 상승하였으나, 이는 지난해 공급 과잉에 따라 가격이 낮았던 기저효과에 따른 것으로 평년 동기 대비 상승률은 2.9% 수준입니다. 10월 평균 소비자가격은 구이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등심(1등급)의 경우 평년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불고기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설도는 전·평년보다 가격이 낮은 상황입니다.

  * 도매가격(10p): 거세우 21,000/kg(평년비 2.9%, 전년비 13.5%)

    소매가격(10p): 등심 10,130/100g(평년비 0.7%, 전년비 8.7%),
설도 3,979(평년비 11.1%, 전년비 4.9%)

 

  한우 공급 과잉 상태가 지속되고 있으며, 추석 이후 수요 감소, 누적 도축 물량 증가 등으로 연말까지 한우 도·소매가격은 평년과 유사하거나 그보다 소폭 낮은 수준에서 형성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10돼지고기 평균 도매가격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 높은 수준으로 가격이 안정화되고 있습니다.

 

  제주의 경우 지역적 특성상 내륙과 가격이 흐름이 달라 생산자 및 유통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제주를 제외한 도매가격을 기준가격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9월 도축량 증가에 따른 재고 회복 등으로 돼지고기 도매가격은 안정화되고 있습니다. 11~12월 돼지고기 도매가격도 추석 이후 수요 감소와 재고 회복 등으로 전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도매가격: (8) 6,602/kg (9) 6,499 (10p) 5,862 (전월비 9.8%, 전년비 2.8%)

  * 도매가격: ('24.10월 중순) 5,789/kg ('25.9월 중순) 6,532 ('25.10.17.) 5,816

             (전월비 11.0%, 전년비 0.5%)

 

  소비자 장바구니 물가 부담 완화를 위해 생산자단체, 대형마트, 농협 등과 협업하여 연말까지 한우·한돈 할인 행사를 지속해 나겠습니다.

 

  대한민국 한우먹는날(11.1.)을 맞아 1028일부터 1110일까지 주요 유통업체에서 한우 할인 행사(30~50%)를 실시하고, 11월부터는 김장철을 맞아 수육용 돼지고기에 대한 할인행사도 추진하겠습니다. 아울러, 12월에는 연말을 맞아 한우 할인행사도 추가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앞으로도 농식품부는 한우·돼지고기 등 축산물 수급 상황을 면밀히 관리하고 소비자 장바구니 물가 부담 완화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습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