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비축 밀 품종별 단가 조정은 갑자기 결정된 것이 아닌 지속 협의된 개편방안입니다.
작성자 정보
- 사실 작성
- 작성일
본문

< 주요 보도내용 >
9월 3일(수) 농민신문 「정부, 밀 매입단가 조정검토... 제빵용 더, 제면용 덜주나」 기사에서 정부가 '26년산 밀 매입단가 조정을 갑자기 추진하여 농가의 불만이 크다고 보도하였습니다.
< 농림축산식품부 설명 >
매입가격을 갑자기 결정하여 농가불만이 크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릅니다.
정부는 밀 품종별 수요-공급의 불일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용도별(제면용·제빵용) 정부 매입 단가 차이를 확대할 계획임을 과거부터 밝혀왔고, '24년부터 용도별 매입단가 차등 조정을 시작하였습니다. 아울러, 올해 4월에 발표한 「'24/'25 국산 밀 비축계획」에서는 용도별 가격차 지속 확대방향을 예고하고, 농업인 대상으로 밀 비축설명회(5.27, 나주)에서도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기존에는 밀 파종이후 비축계획을 수립(익년 4월)하였으나, 금년에는 농가 요청에 따라(2.20. 생산자 간담회) 농가들이 파종 전에 비축단가 등을 확인하여 품종을 선택할 수 있도록 비축계획을 파종 전 미리 발표한 것입니다.
* 단가 : ('19~23) 제빵·제면 동일 975원/kg → ('24부터 단가 조정 시작) 제빵 1,000, 제면 975 → ('25년) 제빵 1,000, 제면 950 → ('26년) 제빵 1,015, 제면 900
'갑자기 추진한 매입단가 조정으로 농가 불만이 크다'는 문제제기와 관련하여 단가가 낮아지는 제면용 재배를 선호하는 일부 농가의 불만은 있을 수 있겠으나, 농식품부가 주최한 생산자·가공업계 간담회(8.26.)에서는 대부분의 참석자가 수요중심의 품종전환을 위한 단가조정에 공감대를 형성하였고, 정부의 정책방향에 동의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정부는 농업인·가공업체 등 현장의견을 적극 경청하여 국산 밀 수요확대를 유도하고, 품질경쟁력 강화를 위해 품질관리 지속 및 품질균일화를 위한 밀 블렌딩(교반) 추진, 국산 밀 활용업체 대상 제품개발 지원, 초·중·고 대상 국산밀 먹는날 운영 등 국산 밀 자급률 제고와 소비기반 확대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습니다.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