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비축 밀 품종별 단가 조정은 갑자기 결정된 것이 아닌 지속 협의된 개편방안입니다. > 소식통 | 정보모아
 
소식통

정부의 비축 밀 품종별 단가 조정은 갑자기 결정된 것이 아닌 지속 협의된 개편방안입니다.

작성자 정보

  • 사실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 주요 보도내용 >

 

  93() 농민신문 정부, 밀 매입단가 조정검토... 제빵용 더, 제면용 덜주나기사에서 정부가 '26년산 밀 매입단가 조정을 갑자기 추진하여 가의 불만이 크다고 보도하였습니.

 

< 농림축산식품부 설명 >

 

매입가격을 갑자기 결정하여 농가불만이 크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릅니다.

 

  정부는 밀 품종별 수요-공급의 불일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용도별(제면용·제빵용) 정부 매입 단가 차이를 확대할 계획임을 과거부터 밝혀왔고, '24년부터 용도별 매입단가 차등 조정을 시작하였습니다. 아울러, 올해 4월에 발표한 '24/'25 국산 밀 비축계획에서는 용도별 가격차 지속 확대방향을 예고하고, 농업인 대상으로 밀 비축설명회(5.27, 나주)에서도 설명하였습니.

 

  또한, 기존에는 밀 파종이후 비축계획을 수립(익년 4)하였으나, 금년에는 농가 요청에 따라(2.20. 생산자 간담회) 농가들이 파종 전에 비축단가 등을 인하여 품종을 선택할 수 있도록 비축계획을 파종 전 미리 발표한 것입니다.

 

   * 단가 : ('19~23) 제빵·제면 동일 975/kg ('24부터 단가 조정 시작) 제빵 1,000, 제면 975 ('25) 제빵 1,000, 제면 950 ('26) 제빵 1,015, 제면 900

  '갑자기 추진한 매입단가 조정으로 농가 불만이 크다'는 문제제기와 관련하여 단가가 낮아지는 제면용 재배를 선호하는 일부 농가의 불만은 있을 있겠으나, 농식품부가 주최한 생산자·가공업계 간담회(8.26.)에서는 대부분의 참석자수요중심의 품종전환을 위한 단가조정에 공감대를 형성하였고, 정부의 책방향에 동의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정부는 농업인·가공업체 등 현장의견을 적극 경청하여 국산 밀 수요확대를 유도하고, 품질경쟁력 강화를 위해 품질관리 지속 및 품질일화를 위한 밀 블렌딩(교반) 추진, 국산 밀 활용업체 대상 제품개발 지, ··고 대상 국산밀 먹는날 운 등 국산 밀 자급률 제고와 소비기반 확대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습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