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혁신바우처’ 기업 모집 중기 1곳당 최대 5000만 원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내년 ‘혁신바우처’ 기업 모집 중기 1곳당 최대 5000만 원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컨설팅·기술지원·마케팅 등 묶음 지원
비수도권 기업 우대
신청서 작성 항목 최소화

지역 중소기업의 혁신성장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중소기업 혁신바우처’ 사업의 2026년도 수요기업 1차 공고가 12월 2일까지 진행된다. 이번 공고에서는 비수도권 기업 우대와 서류 전달체계 개선 등이 반영됐다.
중소기업 혁신바우처는 제조 중소기업이 상담(컨설팅)·기술지원·마케팅 서비스를 묶음 형태로 지원받는 사업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기업의 특성과 필요에 따라 ▲일반 ▲탄소중립 ▲중대재해예방 ▲재기컨설팅 등 유형을 구분해 세 가지 서비스를 바우처 방식으로 지원한다.
지원예산은 2025년보다 38억 원 늘어난 652억 원(정부안 기준)이다. 선정된 기업은 최대 5000만 원 한도 내에서 바우처를 지원받을 수 있으며 최근 3개년 평균 매출 규모에 따라 보조율이 차등(40~85%) 적용된다. 사업 관련 세부 사항은 중소기업 통합콜센터(국번없이 1357) 또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안내 콜센터(1811-3655)로 문의할 수 있다.
먼저 ‘일반’ 유형은 성장 가능성이 높은 제조 소기업을 대상으로 전문가 진단을 거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탄소중립’ 유형은 탄소저감 가능성이 큰 제조 중소기업에 탄소중립 경영혁신 등을 지원한다. ‘중대재해예방’은 제조 중소기업의 중대재해예방을 위한 컨설팅 및 기술지원을, ‘재기컨설팅’은 경영위기 중소기업의 원활한 회생과 재기를 목표로 구조개선, 회생, 재창업, 사업정리 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올해 달라진 점으로는 먼저 비수도권 기업에 대한 우대 강화가 꼽힌다. 인구감소지역 중 광역시 자치구를 제외한 농어촌 지역을 균형발전·낙후도에 따라 구분한 특별·우대지원지역 및 비수도권 일반지역에 대해 정부지원 보조율을 우대한다. 또한 수요기업의 신청서 작성 항목을 16개에서 6개로 간소화하고 ‘원클릭 시스템’을 도입해 서류 제출 부담을 줄였다. 원클릭 시스템은 바우처 플랫폼 내 국세청, 한국특허정보원과 연결된 것으로 기존 재무제표, 납세증명서 등에서 지식재산권 및 인증 증빙서류를 추가 연계할 수 있다.
아울러 정부는 수요기업의 서비스 활용도가 낮은 항목을 정비하고 공급기업을 대상으로 성과평과를 실시해 등급별 인센티브와 페널티를 부여할 계획이다.
권순재 중기부 지역기업정책관은 “지방의 제조 중소기업은 지역경제의 뿌리이자 산업생태계의 기초”라며 “이번 혁신바우처 사업을 통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경영·기술·마케팅 역량을 강화하고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어나가겠다”고 전했다.

이근하 기자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