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푸드 열풍 타고 K-전통주도 떴다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K-푸드 열풍 타고 K-전통주도 떴다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서울 종로구 북촌. 한복을 입고 한옥마을과 궁궐을 방문하며 K-문화를 즐기는 외국인 관광객으로 붐비는 이곳에 요즘 뜨는 ‘핫플레이스’가 있다. 한국의 전통주를 체험할 수 있는 ‘전통주갤러리’다. 전통주갤러리는 한국 전통주의 맛과 멋, 문화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자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설립한 전통주 소통 공간이다. 전통주갤러리는 매달 ‘이달의 시음주’ 주제를 정해 탁주, 약주, 증류주, 과실주, 기타 주류 등 총 5가지 전통주를 소개하고 시음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K-푸드의 세계적 인기와 함께 K-전통주에 대한 관심이 덩달아 커지면서 한국의 전통주를 체험할 수 있는 전통주갤러리가 외국인 관광객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전통주갤러리 이상민 팀장은 “최근 방문객 중 40%가 외국인일 정도로 전통주갤러리에 대한 관심이 높다”며 “북촌을 관광하다 호기심에 들어오는 관광객도 많아졌고 단체 방문 예약도 늘었다”고 말했다. 전통주갤러리는 외국인 관광객이 늘면서 하루 7회 운영하는 시음 프로그램 중 2회는 외국인에 한해 영어로 진행한다. 글로벌 예약 플랫폼 ‘캐치테이블’을 통한 글로벌 예약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이곳을 찾은 미국인 올리비아 씨는 “한국 드라마를 보면 파전과 막걸리를 함께 먹는 장면이 많은데 내가 좋아하는 떡볶이나 불고기와 어울리는 K-술을 찾고 싶었다”며 “한국의 전통주가 이렇게 다양하고 색다른 맛을 갖고 있는지 몰랐다. 놀랍다”고 했다.



K-전통주만의 다양한 매력
이런 다양성은 K-전통주의 강점이다. 전통주 하면 막걸리를 먼저 떠올리지만 종류도 맛도 다양하다. 전통주는 크게 탁주와 약·청주, 증류주로 나뉜다. 전통주를 만들 땐 먼저 쌀이나 밀, 보리 등의 원료에 누룩과 물을 섞고 일정한 온도에서 발효시켜 술덧(발효액)을 만든다. 다 익은 술덧을 어떻게 거르느냐에 따라 종류가 달라진다.
술덧에 용수(술이나 장 등을 거를 때 쓰는 둥글고 긴 통)를 박아두면 맑은 술이 고이는데 이 맑은 술을 떠낸 게 청주다. 청주를 떠내고 남은 지게미를 거른 것이 탁주다. 색이 탁하다고 해서 탁주, 막 거른 술이라고 해서 막걸리라고도 한다. 청주를 술 고리에 담고 불을 때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액체를 받으면 증류주가 된다. 다만 일제강점기에 시행된 주세정책에 따라 일본식으로 만든 맑은 술을 청주라고 부르게 되면서 우리 전통방식으로 만든 청주는 약주라고 부르고 있다.
탁주는 도수가 낮고 부드러운 맛이 특징인데 최근에는 다양한 부재료를 활용해 색다른 맛을 낸다. 약주는 도수가 15~16도 정도로 높은 편이지만 쌀의 구수함, 농축된 풍미가 특징이다. 감칠맛이 있어서 한식과 잘 어울린다. 이밖에 국산 포도, 딸기, 키위 등 다양한 과일로 만든 과실주도 있다.
초록색병의 일반 희석식 소주와 다른 증류식 소주도 있다. 희석식 소주는 물에 주정과 첨가물을 넣어 만들지만 증류식 소주는 곡물 등 원료를 발효해 원액을 얻은 후 이를 숙성해 만든다. 한국인도 정확히 알지 못할 만큼 전통주의 스펙트럼은 넓다.

외교무대서도 활약, 수출 확대 목표
시장에 출시되는 전통주 역시 다양해지고 있다. 국세청주류면허지원센터에 따르면 국내 전통주 제조면허는 2023년 1812건으로 2019년 1163건에 비해 56% 증가했다.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내국인은 물론 외국인에게도 선택의 폭이 넓어졌고 각자 취향에 딱 맞는 K-전통주를 맛볼 수 있게 됐다.
전통주 인기는 수출액 증가로도 확인된다. 관세청에 따르면 전통주 수출액은 2023년 2400만 달러로 2019년 1497만 달러 대비 60% 증가했다. 정부는 2027년까지 전통주 수출액을 5000만 달러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외교무대에서도 K-전통주가 특별한 멋을 더한다. 8월 9일 인천 송도에서 열린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식량안보 장관회의’ 환영 만찬에서는 우리술의 매력을 알리는 전통주 칵테일 코너가 운영됐다. 21개 회원국 200명이 넘는 참가자들은 소주와 탁주, 과실주로 만든 칵테일을 시음하며 K-전통주를 즐겼다. 이날 만찬주로 등장한 ‘천비향 약주 15도(㈜좋은술)’도 많은 관심을 받았다. 이 술은 ‘2025년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에서 최고상(대통령상)을 받은 제품으로 자가 누룩과 국산 쌀만을 사용해 오양주(다섯번 빚어 만든 술) 방식으로 빚은 약주로 은은한 과일 향과 섬세한 단맛, 부드러운 목 넘김이 특징이다.
8월 27일 경주 힐튼호텔에서 열린 ‘2025 APEC 문화산업 고위급대화’ 환송 만찬에서는 10월 31일~11월 1일 양일간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서 만찬주로 선정될 가능성이 있는 지역의 전통주 4종을 시음하는 ‘미리 만나보는 정상 만찬주’ 행사를 진행했다.
경주 최씨 가양주로 궁중의 양조법으로 인간문화재가 손수 빚는 350년 역사의 ‘교동법주(경주교동법주·약주)’, 지역 유기농 산머루로 빚은 미디엄 드라이 과실주로 2023년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 대통령상을 수상한 ‘크라테 미디엄 드라이(김천 수도산와이너리·과실주)’를 내놨다. 또 경주 최씨 가양주로 찹쌀을 직접 재배해 사용하고 저온에서 100일간 숙성해 매월 300병만 생산하는 ‘대몽재 1779(경주교촌도가·약주)’, 안동 반남박씨 가양주로 증류한 술을 100일 이상 숙성 발효하는 500년 전통의 ‘안동소주(명인안동소주·증류식 소주)’를 선보였다. 이날 참가자들은 “한국 술의 색다른 맛과 향에 반했다”, “한국만의 개성과 스토리가 담긴 술에 매료됐다”는 찬사를 쏟아냈다.

강정미 기자



2025년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 수상작
246개 양조장 참여
대통령상에 ‘천비향 약주 15도’
우리 전통술의 품질 향상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10년부터 시작된 대한민국 우리술 품평회는 국내 유일의 정부 주관 전통주 경연대회다. 매년 수상작을 선정해 최고의 전통주를 소개하고 있다.
올해는 전국 246개 양조장에서 총 402개 제품이 출품됐다. 우수한 전통주 선정을 위해 주류 전문가와 국민위원으로 구성된 평가단의 엄격한 심사를 통해 부문별로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 각 3개 제품(6개 주종 총 18개)이 수상작으로 최종 선정됐다.
농업회사법인 ㈜좋은술의 ‘천비향 약주 15도’는 약·청주 부문 대상과 최고상인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자가 누룩과 국내산 쌀만을 사용해 오양주 방식으로 빚은 약주로, 탁월한 맛과 지속적인 품질 개선 노력을 인정받아 평가위원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저도 탁주 부문 대상은 ㈜배혜정도가의 ‘호랑이 유자 생막걸리’가, 고도 탁주 부문 대상은 발효공방1991의 ‘은하수별헤는밤’이 선정됐다. 과실주 부문 대상은 금용농산의 ‘미르아토샤인머스켓 화이트 스파클링’이, 증류주 부문 대상은 농업회사법인 ㈜다농바이오의 ‘가무치소주 25도’, 기타 주류 부문 대상은 아이비영농조합법인의 ‘허니문’이 각각 수상했다.
시상은 11월 14~16일 열리는 ‘2025 대한민국 우리술 대축제’ 개막식에서 이뤄진다. 수상 제품은 상금과 함께 바이어 초청 시음회, 보틀숍·주점 입점 지원, 온라인 홍보 등 다양한 프로모션 혜택이 주어진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