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바지에 크록스, 출근 복장 괜찮을까요?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뜨거운 여름, 긴 정장 바지를 입고 출근하려면 마음부터 더워지죠. 억수로 비가 쏟아지는 날 구두는 더 망설여지고요. 폭우와 폭염이 오락가락하는 요즘, 출근 복장을 어디까지 허용해야 할지 직장인들 사이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많은 대기업이 자율 복장제를 속속 도입하고 있지만 슬리퍼나 크록스, 반바지 차림의 출근을 예의 없는 행동으로 보는 시선도 여전한데요.
출근 복장, 어디까지 허용돼야 할까요? 다양한 조직 문화를 경험한 MZ세대 직장인들의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참가자
무로(32세, 회사원)
무지(25세, 회사원)
양양(35세, 회사원)
키키(31세, 스타트업 대표)
보더콜리너마저(30세, 회사원)
보수적자유로운영혼(42세, 회사원)
강릉(29세, 회사원)
치카옹(32세, 회사원)
돌돌(32세, 회사원)
Q. 지금 다니는 회사의 복장 규정은 자유로운 편인가요?
무지
기본적으로 비즈니스 캐주얼이에요.
화려한 무늬가 그려진 그래픽 티셔츠나 반바지는 괜찮은데 노출이 많은 크롭톱(복부가 드러나는 민소매 티) 같은 옷은 피하는 분위기죠. 저는 외근이 있거나 미팅이 있을 때만 차려입고 평소에는 사람들이 입는 스타일을 참고해서 눈치껏 입어요. 너무 튀고 싶지 않아서요.
양양
지금 회사는 꽤 자유로운 편이에요. 발가락이 보이는 슬리퍼나 과한 노출이 있는 옷만 아니면 괜찮아요. 예전 서비스직에 근무했을 땐 유니폼이 구겨져도 안되고 흰 운동화도 금지했어요. 검정 바지와 양말만 허용하고 염색·파마 금지 등 제약 사항이 너무 많았어요.
심지어는 속눈썹에 대한 메이크업 규정까지 있었어요.
키키
저희 회사는 복장에 전혀 간섭하지 않아요. 규정도 없고 서로 복장에 대해 지적하거나 부정적인 언급을 하지 말자는 것이 원칙이에요.
면접이나 외부 미팅이 있을 땐 바지를 입고 오는 것을 권유하긴 해요.
프릴 달린 원피스를 좋아하는데 현재 대표로 있다보니 이미지를 위해 옷장에 고이 보관하고 있어요.
보수적자유로운영혼
물류회사에서 사무직으로 일하고 있어서 정장이 기본이에요. 예전엔 넥타이까지 매야 했는데 요즘은 금요일에 한해 자율 복장이 허용돼요. 그런데 40대 이하 직원들은 좋아하는데 50대 이상 임원들은 썩 내켜 하지 않는 것 같아요.
Q. 최근 본 가장 충격적인 출근 복장은?
치카옹
최근에 얇은 새틴 재질의 슬립 민소매 옷을 입고 출근한 직원이 있어 사무실에서 화제가 됐어요. 남자 직원도 민소매 옷을 입고 오기도 하는데 어울리면 괜찮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이전 회사에서 ‘앞머리 헤어롤’이 논란이 된 적이 있어요. 많은 사람이 머리에 헤어롤을 한 채 일하는 건 예의가 아니라고 생각하더라고요.
강릉
저희 회사에서는 짧은 치마, 크롭톱을 입고 오는 건 흔하고 크록스를 신어도 괜찮아요. 하지만 모자를 쓰고 오는 건 말이 나오더라고요.
무로
복장 규정이 없는 회사에 다녔지만 직원 한 명이 크롭톱에 레깅스를 입고 왔을 땐 솔직히 당황했어요. 체형도 드러나고 맨살이 보이니 민망하더라고요.
무지
여름철에 샌들이나 슬리퍼를 신는 직원이 많은데 양말을 안 신어서 발냄새로 곤욕을 치른 기억이 있어요. 복장도 중요하지만 개인위생을 챙기는 게 더 기본적인 예의라는 것을 그때 느꼈어요.
Q. 출근 복장에서 지켜야 할 기본 예의는 어디까지라고 생각하나요?
치카옹
복장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다면 사규에 명확히 명시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단정한 복장 착용’ 정도만 규정해도 직원들이 알아서 적절히 판단할 수 있을 거예요. 처음에는 복장에 자유로운 회사라고 해놓고 나중에 복장을 지적하는 건 일관성이 없어 보여요. 사규에도 없는 자신들만의 규칙을 적용해 “규칙을 안 지켰네”, “요즘 MZ 무섭네” 하면 좀 황당합니다.
보더콜리너마저
저는 자율 복장을 추구해요. 다른 직원의 복장이 저의 업무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모두 편하게 입고 싶은 대로 입으면 좋겠어요. 외부 고객과 만나는 자리가 아니라면요. 개인적으로는 축구 유니폼을 입고 출근하고 싶어요.
돌돌
저희 회사는 딱히 복장에 규정을 두진 않지만 암묵적으로 ‘언제든 출장을 나가도 괜찮을 복장’이어야 한다는 인식이 있어서 다들 비즈니스 캐주얼과 정장 사이 정도로 입어요. 동료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선이면 괜찮지만 위생적인 부분이나 지나친 노출은 조심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보수적자유로운영혼
저희 회사는 보수적이다보니 너무 갖춰 입는 것 같아요. 공식적인 미팅 자리만 아니면 자유 복장으로 입고 다닐 수 있게 해주면 좋을 것 같아요. 업종 특성상 어느 정도 격식은 필요하지만 지나치게 경직된 복장 문화가 오히려 업무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것 같거든요.
*어피티는 MZ 맞춤형 경제 콘텐츠를 뉴스레터에 담아 매일 아침 50만 구독자에게 보내는 MZ세대 대표 경제 미디어입니다.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