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 소비쿠폰 효과 83.5% “먹거리 소비” 과일·과채류, 육류 순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민생회복 소비쿠폰 효과 83.5% “먹거리 소비” 과일·과채류, 육류 순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올해 민생 안정과 소비 촉진을 위해 정부가 추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농식품 소비 진작에 실질적 영향을 준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농촌진흥청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8월 11일 공개했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3.5%가 먹거리 구매에 소비쿠폰을 사용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에 대해 농촌진흥청은 “코로나19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약 60.0%)보다 20.0%포인트 이상 증가한 수치”라며 “코로나19 당시 지급된 재난지원금과 비교해 ‘먹거리 소비’에 더 많이 사용된 특징을 보였다”고 부연했다.
먹거리 중에서도 과일 및 과채류(70.7%)와 육류(66.4%) 소비를 늘린다는 답변이 많았다. 육류 소비를 늘리겠다는 이들은 한우(40.2%), 돼지고기(34.3%), 수입 쇠고기(11.6%) 순으로 선호도를 보였다. 다만 연령대에 따라 50대 이하는 한우, 60대 이상은 돼지고기를 선호했다. 곡물류의 경우 쌀(42.0%), 콩류(31.2%), 옥수수(12.6%) 순으로 소비가 늘어날 것으로 조사됐다. 채소류는 오이(21.0%), 상추(14.0%), 배추(11.9%) 순으로 나타났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지급받은 주소지 시·군 지역 내 연매출 30억 원 이하인 소상공인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처에 제한이 걸린 데 대해 응답자의 51.4%는 ‘지역 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되어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불편하지만 취지에 공감한다’는 응답은 30.4%, ‘상관없다’는 의견은 4.1%로 집계됐다. 이를 합하면 정책 수용도는 85.9%에 달한다고 농촌진흥청은 평가했다.
한편 소상공인연합회·전국상인연합회는 8월 12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효과성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8월 5~7일 일반 골목상권(1347명), 전통시장(688명) 등 소상공인 총 203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온라인 설문조사에서 소상공인의 70.3%가 소비쿠폰 정책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또 소상공인의 75.5%가 ‘소비쿠폰이 전통시장과 골목상권 이용을 유도하는 데 효과적이었다’고 답변했다. 63.0%는 ‘소비쿠폰 사용이 소비 진작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김광주 기자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