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신혼부부· 고령자 맞춤형 ‘특화주택’ 공급 전국 14곳 1786호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청년·신혼부부· 고령자 맞춤형 ‘특화주택’ 공급 전국 14곳 1786호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청년·신혼부부·고령자 맞춤형
‘특화주택’ 공급 전국 14곳 1786호
청년, 신혼부부, 고령자 등 특정 수요자 맞춤형 ‘특화주택’이 전국 14곳에 1786호가 공급된다. 국토교통부는 4월부터 2개월 동안 공모를 거쳐 ▲고령자복지주택 368호 ▲일자리연계형 지원 주택 159호 ▲청년특화주택 176호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1083호를 선정했다고 8월 6일 밝혔다. 특화주택은 특정 수요자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시설, 돌봄공간, 특화시설이 복합된 맞춤형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이다.
가장 많은 지역제안형 특화주택은 경기 부천시 부천대장 3기 신도시 내 부모·자녀 세대가 함께 입주해 세대 간 돌봄이 가능한 특화주택 741호를 포함해 경기 동두천시 청년·신혼부부 대상 210호 등이다. 고령자복지주택은 65세 이상 무주택 고령자를 대상으로 안전 손잡이 등 주거 약자용 편의시설이 적용된 임대주택으로 울산, 제주 서귀포시, 경기 부천시에 들어설 예정이다. 경기 광명시와 울산에 들어서는 일자리연계형 지원 주택에는 청년 창업가와 중소기업 근로자 등을 대상으로 창업 센터와 공동 업무 공간 등의 다양한 지원 시설이 마련돼 있다. 청년특화주택은 저렴한 임대료에 공유 오피스 등 청년층이 선호하는 특화 서비스가 제공된다. 전북 고창군과 부안군, 그리고 울산에 공급한다.

사이버 침해사고 주의보
올 상반기 1034건 전년 대비 15%
올 상반기 사이버 침해사고 신고 건수가 1034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 8월 8일 발표한 ‘2025년도 상반기 국내 사이버위협 동향’에 따르면 ▲서버 해킹 신고 531건 ▲분산 서비스 거부(DDoS) 공격 신고 238건 ▲악성 코드 신고 115건 ▲기타 침해 신고는 150건 접수됐다.
업종별로는 정보통신 분야가 390건으로 전체 발생 비중의 37.7%를 차지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한 수치다. 제조업에선 157건, 도매업과 소매업은 132건, 각종 협회는 59건, 기타 업종에선 296건 발생했다.
2023년 하반기 613건이었던 전체 신고 건수는 이듬해 상반기 899건, 하반기 988건에 이어 올 상반기 1034건을 기록해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 중엔 지난 4월 발생한 국내 1위 이동통신사 SK텔레콤의 고객 유심(USIM) 정보 유출 사건 등이 포함돼 있다. 지난 2월엔 가상자산 거래소 위믹스가 협력사 우회 침투를 통한 해킹에 뚫렸고 6월과 7월에도 온라인 서점 예스24와 SGI서울보증이 연이어 랜섬웨어(금품 요구 악성 프로그램)에 감염됐다.
과기정통부는 “정부는 갈수록 지능화·고도화되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이버 보안에 특화된 인공지능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며 “침해 사고의 선제적 탐지 및 대응을 통해 개인정보 유출 등 국민과 기업의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2025년 상반기 사이버 위협 동향 보고서는 한국인터넷진흥원 보호나라 누리집(boho.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민 건강정보이해능력 어느 정도?
적절 60.4% 여성 62.2% > 남성 58.6%
국민 10명 중 6명은 적절한 수준의 건강정보이해능력을 갖춘 것으로 파악됐다. 질병관리청은 2023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5906명의 설문 조사 자료를 토대로 실시한 연구 결과를 8월 7일 발표했다. 설문 조사는 질병 예방 등 총 10개 문항으로 구성됐으며 40점 만점을 기준으로 30점 이상의 경우를 ‘적절’ 수준으로 평가했다고 질병청은 설명했다.
이에 따르면 적절한 건강정보이해능력을 갖춘 비율은 여성이 62.2%로 남성(58.6%)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 연령이 낮을수록, 소득과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정보이해능력 수준도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30점 이상인 20대의 비율은 70.5%인 반면 70대 이상의 경우 36.0%에 그쳐 두 배 가까운 격차를 보였다. 소득수준이 높은 계층은 66.3%, 낮은 계층에선 54.4%를 기록했다. 19~64세 기준으로 대학교 졸업 이상은 71.9%가, 고등학교 졸업 이하는 57.0%가 ‘적절’ 수준이었다. 65세 이상의 경우 교육 수준에 따른 건강정보이해능력 격차는 더 벌어져 고등학교 졸업 이상이59.7%인 반면 중학교 졸업 이하는 32.2%에 불과했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고령자나 교육 수준이 낮은 건강정보 취약계층을 포함한 모든 국민이 건강정보에 쉽게 접근해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건강정보포털’ 개편 및 맞춤형 건강정보 개발 추진을 통해 국민의 건강 수준 향상과 건강 형평성 제고에 힘쓸 것”이라고 약속했다.

신노년이 계속 일할 수 있게!
고령자친화기업 17곳 신규 선정
1곳당 평균 1억 4000만 원 지원
보건복지부는 올해 2분기 ‘고령자친화기업’ 공모 결과 17개 기업을 새로 지정했다고 8월 8일 밝혔다. 이번 공모에는 기업 34곳이 신청했고 심사를 거쳐 노인 친화기업·기관 16곳, 노인 채용기업 1곳을 선정했다.
복지부는 60세 이상 고령자 고용을 장려하기 위해 이번에 선정된 기업을 포함해 2011년부터 총 457곳을 고령자친화기업으로 지정하고 인건비·관리 운영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복지부는 이번에 선정된 고령자친화기업들에 향후 3년간 총 23억 5000만 원을 지원한다. 이들 기업은 올해 말까지 고령친화 환경을 조성하고 내년부터 5년간 60세 이상 근로자 555명을 고용하기로 했다.
고령자친화기업은 노인일자리법에 따라 ‘노인 채용 기업’과 ‘노인 친화기업·기관’으로 구분된다. 노인 채용기업은 60세 이상 5명 이상을 고용하는 기업을 설립하려는 비영리법인·협동조합이 신청 대상이다. 노인 친화기업·기관은 60세 이상을 고용하고 있으면서 신규로 고령자를 고용할 계획이 있는 공공기관·비영리법인·협동조합 등이다.
복지부는 “신노년세대의 근로 욕구와 기업의 일자리 수요를 고려해 다양한 분야에서 고령자친화기업을 지속 발굴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광주 기자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