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의홍상’ 신부를 닮은 꽃, 협죽도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요즘 도심을 걷다 보면 가끔 큼지막한 화분에 잎은 댓잎(대나무 잎)처럼 생겼고 꽃은 붉게 핀 나무를 볼 수 있다.
협죽도 꽃이 피기 시작한 것이다.
협죽도는 인도와 유럽 동부가 원산지인 협죽도과 상록관목이다. 제주도와 남해안에서는 노지에 관상수로 심어 이국적인
정취를 연출하는 나무다. 우리나라에는 1920년쯤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협죽도 꽃은 여름에 주로 붉은색으로 피지만 품종에 따라 흰색이나 연한 노란색으로 피는 것도 있다. 녹색 잎은 세 개씩 돌려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밑에서 많은 줄기가 올라와 울타리 같은 수형을 이루는데 높이가 약 3m까지 자란다.
협죽도(夾竹桃)라는 이름은 잎은 댓잎처럼 생겼고 꽃은 복사꽃처럼 붉다고 해 붙여진 이름이다. 잎이 버드나무 잎 같다고
해서 유도화(柳桃花)라고도 부르는데 실제로 보면 댓잎보다는 버드나무 잎에 더 가까운 것 같다.
협죽도는 비교적 아무 데서나 잘 자라는 편이고 공해에도 매우 강하다. 꽃도 오래가고 대기오염을 정화하는 능력이 뛰어나다고 하니 가로수로 심기에 적격이다. 실제로 베트남 등 아열대 지역이나 지중해 연안, 우리나라에서도 제주도와 남해안 도시에 가면 가로수로 심어놓은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니 우리 문학작품에도 적지 않게 등장한다. 성석제의 단편소설 ‘협죽도 그늘 아래’에는 ‘한 여자가 앉아 있다. 가시리로
가는 길목, 협죽도 그늘 아래’라는 문장이 열 번 넘게 나온다. 스무 살에 결혼하자마자 6·25전쟁이 나서 학병으로 입대한
남편을 여전히 기다리는 70세 할머니의 애절한 이야기다. 협죽도의 꽃과 잎은 신부들이 흔히 입는 한복, 녹의홍상(綠衣紅裳) 그대로다. 할머니는 잠시나마 남편과 함께한 신부 시절을 그리워하며 협죽도 그늘 아래 앉아 있었을 것이다.
글·사진 김민철
야생화와 문학을 사랑하는 일간지 기자. 저서로 ‘꽃으로 박완서를 읽다’, ‘문학 속에 핀 꽃들’, ‘꽃을 사랑한 젊은 작가들’ 등 다수가 있다.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