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트폼 전성시대, 우리는 왜 점점 짧은 콘텐츠에 중독될까?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하루에 쇼트폼을 얼마나 보나요?
틱톡,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까지 15초에서 1분 남짓한 이 짧은 영상들이 사람들의 집중력을 앗아가는 주범으로 지목받고 있어요. 쇼트폼의 진짜 문제는 짧고 재밌고 자극적인 콘텐츠가 알고리즘에 의해 끊임없이 이어진다는 거예요.
‘하나만 더 봐야지’라는 생각으로 보다 보면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계속 들여다보게 되죠.
쇼트폼의 영향력 또한 대단합니다. 최근 K-팝 음원도 2분대로 짧아지는 추세예요. 쇼트폼 트렌드에 맞춘 1~3분짜리 드라마까지 등장하고 있다고 하고요.
모든 것이 쇼트폼에 맞춰 짧아지고 있는 시대, 쇼트폼은 과연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요? MZ세대의 생각을 들어봤어요.
참가자
달달(32세, 마케터)
크리스탈(35세, 회사원)
꼬똥(27세, 회사원)
빈이(21세, 대학생)
Cory(33세, 직장인)
링링(35세, 직장인)
으니(29세, 사무직)
해적왕(26세, 취준생)
팥빙수(33세, 회사원)
로마일(25세, 회사원)
Q. 틱톡, 릴스, 쇼츠 등 짧고 자극적인 영상들, 하루 평균 얼마나 시청하나요?
달달
휴대전화 사용 시간을 측정하는 스크린 타임을 확인해보니 인스타그램만 하루에 2시간 이상 봤다고 나오더라고요. 일하다가도 자꾸 릴스에 손이 가고 친구들이 재밌는 릴스를 메시지(DM)로 보내주면 그걸 계기로 또 보게 되고 점점 더 늘어나는 것 같아요.
꼬똥
체감상으로 하루 1시간 반 정도 보는 것 같은데 넋 놓고 보면 2~3시간도 시청하게 돼요. 그리고 쇼트폼에 중독되면서 지갑이 자주 열리네요. 알고리즘을 타고 인플루언서들의 물건 리뷰 영상이 계속 뜨다 보니 자꾸 사고 싶어져요.
로마일
하루 평균 3시간은 시청하는 것 같아요. 주말이나 공휴일에는 4~5시간도 보고요. 특히 잠들기 전 1시간씩은 루틴처럼 꼭 쇼트폼을 봐요.
업무 중에도 일이 좀 막힌다 싶으면 나도 모르게 스마트폰을 찾아서 쇼트폼을 보기도 해요.
팥빙수
한동안 열심히 봤는데 한 번 보면 시간 가는 줄 모르겠더라고요. 요즘엔 쇼트폼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아예 안 보려고 노력해요.
알고리즘에 의해 쇼트폼이 떠도 ‘관심 없음’ 버튼을 눌러서 피하고 있어요.
대신 긴 영상을 빠른 속도로 봐요.
Q. 쇼트폼 때문에 긴 영상이나 책에 집중하기 더 어려워졌다고 느끼나요?
크리스탈
쇼트폼을 틀어놓고 일을 하다보니 무엇 하나에 집중하지 못하게 됐어요. 긴 영상을 보면서 같이 쇼트폼을 보거나, 책을 읽다가도 수시로 메신저를 확인하고, 날씨를 확인하겠다고 마음먹고는 인스타그램을 켜기도 해요. 원래 내가 하려던 것에 집중을 못하고 자꾸 다른 것을 하게 돼요.
링링
대학 교재를 읽는 게 어렵더라고요. 쇼트폼 때문에 뇌세포가 파괴된 건지 기억력이 감퇴하는 기분이에요.
Cory
3년 전만 해도 30분 정도의 영상을 끝까지 집중해서 볼 수 있었는데 쇼트폼 영상을 본 이후로는 1분 길이도 길게 느껴져요. 아예 길어보이는 영상은 다음으로 넘기게 돼요. 책을 읽을 때도 시선이 너무 빨리 움직이다보니 내용이 이해가 안돼서 다시 읽는 일이 빈번해졌어요.
달달
긴 영상은 아예 안 보게 되고 쇼트폼으로 알고리즘에 뜨는 영상만 봐요. 직업 특성상 유튜브 채널을 봐야 하는데 점점 긴 영상을 보는 것이 힘들어요. 그래서 자막 추출 프로그램으로 영상 내용을 텍스트화한 다음에 인공지능(AI)에 요약시킬 때도 있어요.
Q. 나를 위해 어떤 콘텐츠를 소비해야 한다고 생각하나요?
Cory
최근 두 가지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요. 자극적인 콘텐츠를 계속 보면 알고리즘도 그 주제에 맞게 설정되기 때문에 일부러 동물·자연 관련 콘텐츠를 클릭해서 내 누리소통망 알고리즘을 정화하고 있어요. 그리고 아날로그와 디지털 콘텐츠를 각각 5대 5로 균형있게 볼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있어요. 스마트폰을 일부러 꺼 두거나 멀리둬서 찾아보기 불편하게 만드는 거죠.
빈이
인문학이나 사회적 이슈를 다루는 경우 영상이 글보다 쉽고 재밌어서 도움이 돼요. 하지만 나도 모르게 시청 중간에 영상을 꺼버리고 흥미로운 쇼트폼 영상을 찾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나와의 약속을 해야겠어요. 유익한 영상은 길더라도 끝까지 집중해서 보기로!
으니
영상을 볼 때 자연 다큐멘터리나 경제 관련 콘텐츠를 찾아보려고 노력해요. 쇼트폼과 멀어지기 위해서 한동안 얇은 책을 한 권씩 들고 다니면서 출퇴근 때 읽었는데 주변을 돌아보면 모두 휴대폰만 보고 있더라고요. 나도 책이 없었다면 저런 모습이었겠구나 싶었어요.
해적왕
의무적으로라도 글을 읽고 어떤 일을 하든 끝을 보는 습관을 들이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쇼트폼에 익숙해지면서 긴 시간 집중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느꼈거든요. 요즘은 쇼트폼뿐만 아니라 AI 때문에 스스로 생각하고 고민하는 과정이 줄어들고 있어요. 깊게 사고하는 시간을 만들려고 하는데 독서가 도움이 돼요.
*어피티는 MZ 맞춤형 경제 콘텐츠를 뉴스레터에 담아 매일 아침 50만 구독자에게 보내는 MZ세대 대표 경제 미디어입니다.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