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빗길 교통사고 조심하세요! 5년 평균 3029건 오후 9시대 13%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7월 빗길 교통사고 조심하세요! 5년 평균 3029건 오후 9시대 13%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7월 빗길 교통사고 조심하세요!
5년 평균 3029건 오후 9시대 13%
연중 비가 가장 자주 내리는 7월에 들어서면서 정부가 빗길 안전운전을 당부했다. 기상청과 한국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5년간 강수일수는 7월이 15.8일로 가장 많았다. 한 달의 절반이 넘는 기간 동안 비가 내린 셈이다. 빗길 교통사고도 3029건으로 7월이 가장 많았다. 시간대별로 살펴보면 오전 10시부터 사고가 점차 증가해 오후 9시 전후로는 하루 중 가장 많은 사고(13%)가 발생했다. 법규 위반별 주요 사고 원인으로는 전방주시 태만 등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이 55%로 가장 많았고 신호위반(13%), 안전거리 미확보(10%) 순이다.
빗길에는 안전운전에 특히 유의해야 한다. 소나기 등으로 도로가 젖어 있을 땐 제한속도의 20%를 가시거리 100m 이내에 달할 정도로 폭우가 쏟아질 땐 50%를 감속해 운전해야 한다. 빗길에선 노면 위 얇은 수막이 생겨 차량이 미끄러지기 쉽고 제동거리도 평소보다 길어지며 빗물과 유리창 김서림으로 인해 운전자의 시야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농어촌 인력난 해소 위해!
하반기 외국인 계절근로자 추가 배정 2만 2731명
일손 부족에 시달리는 국내 농어촌을 위해 정부가 올 하반기 전국 100개 지방자치단체에 외국인 계절근로자 2만 2731명을 추가 배정한다. 법무부와 농림축산식품부 및 해양수산부 등 관계부처는 6월 24일 ‘외국인 계절근로자 배정심사협의회’를 열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번 배정심사협의회에선 올해 상반기 배정인원 외 추가로 인력이 필요한 농어촌 배정에 중점을 뒀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앞서 올 상반기에 외국인 계절근로자는 7만 2698명이 배정된 바 있지만 이번 추가 배정에 예비 탄력분 인력 271명까지 더해지면서 총 9만 5700명에 달하게 됐다. 이는 6만 7778명이었던 지난해 대비 41% 증가한 규모다. 올해 배정되는 외국인 계절근로자는 농업 8만 6633명, 어업 8796명이다.
한편 농식품부는 올 하반기부터 농식품부 승인을 받은 경우 지방비 사업으로 공공형 계절근로 사업도 운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공공형 계절근로제는 농협과 수협이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직접 고용한 뒤 하루 단위로 농어촌에 노동력을 제공하는 제도다. 해수부는 전남 해남군에서 최초로 공공형 계절근로 사업을 추진해 김과 굴을 양식하는 어촌에 도움을 줄 계획이다. 정부는 또 지자체 수요에 맞춰 해외에서 언어소통 도우미를 초청할 수 있도록 인원 배정 정책을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검단연장선
6월 28일 개통 검단~서울역 38분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검단연장선이 6월 28일 정식 개통됐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새벽 5시 30분 첫차 운행이 시작됐다고 밝혔다. 사업비 7조 9000억 원이 들어간 이번 연장사업으로 구간 길이는 6.8㎞가 늘었고 3개 정거장(아라·신검단중앙·검단호수공원역)이 더 생겼다. 그간 검단호수공원역에서 서울역까지는 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해 70분이 걸렸으나 검단연장선을 이용하면 38분 만에 이동할 수 있다. 그동안 검단에서 계양역까지는 버스로 40분, 승용차로 20분이 걸렸으나 검단연장선으로는 8분이면 충분하다.
요금은 다른 도시철도와 같이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한다. 수도권 전철과 시내버스 등을 이용할 때 수단과 횟수에 상관없이 총 이동거리만큼 운임을 낸다. 역간 평균 거리는 2.26㎞, 평균 속도는 48㎞/h다. 검단연장선을 운행하는 열차는 1인 유인 운전 형태의 중전철이다. 여덟 칸이 한 편성을 이루며 정원은 970명, 혼잡도 150% 기준으로 1455명까지 탈 수 있다.
출퇴근 시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계양역 등 주요 역사에 안전관리인력 34명을 배치했고 환승 이용객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계양역엔 환승 개찰구를 두 대 증설했다.

7월 개인 투자용 국채 발행
1400억 원 규모
기획재정부가 7월 개인투자용 국채를 1400억 원 규모로 발행한다고 6월 27일 밝혔다. 종목별 발행한도는 5년물 900억 원, 10년물 400억 원, 20년물 100억 원이다. 청약 기간은 7월 9일부터 7월 15일까지며 시간은 영업일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다. 구입이나 환매를 희망하는 개인 투자자는 이 기간에 판매대행기관(미래에셋증권) 영업점을 방문하거나 온라인(누리집·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7월 발행 개인투자용 국채의 만기 보유 시 세전 수익률은 5년물 약 16%(연평균 수익률 3.2%), 10년물 약 40%(연평균 수익률 4.0%), 20년물 약 99%(연평균 수익률 4.9%)다. 배정 금액은 청약 총액이 월간 종목별 발행한도 이내일 경우 전액 배정된다. 청약 총액이 월간 종목별 발행한도를 초과하면 기준금액(300만 원)까지 일괄 배정한 후 잔여 물량은 청약액에 비례해서 배정된다. 배정 결과는 청약 기간 종료일의 다음 영업일에 고지된다.
한편 7월부터는 발행일로부터 1년이 경과한 개인투자용 국채에 대한 중도환매가 시작된다. 2024년 6월 발행한 개인투자용 국채(총 2000억 원)를 매입한 투자자는 중도환매를 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원금과 매입 시 적용된 표면금리에 따른 이자만 돌려받을 수 있으며 가산금리를 더한 복리 이자, 이자소득 분리과세 혜택 등은 받을 수 없다.

김광주 기자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