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스마트도시는 어디? 거점형 스마트도시 등 4가지 유형 공모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스마트도시 특화단지 조성 올해 첫 공모
4개 유형 총 10곳 이내 선정
거점형은 3년간 국비 최대 160억 원 지원
국토교통부가 ‘2025년 스마트도시 조성·확산사업’ 공모를 3월 17일 시작했다. 이 사업은 인공지능(AI) 등 스마트 기술을 도시에 접목해 다양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고 스마트도시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마련됐다. 정부가 지방자치단체, 기업 등과 함께 추진한다.
사업 유형은 ▲거점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강소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스마트도시 솔루션 확산사업 ▲스마트도시 특화단지 조성사업 등 네 가지다. 이 중 스마트도시 특화단지 조성사업은 올해 처음 공모한다. 스마트도시산업 육성에 적합한 지역을 선정해 스마트 서비스를 개발·실증하는 선도 지역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각 사업 추진에 필요한 비용은 국비와 지방비 1대 1 매칭 방식으로 마련한다.
거점형 스마트도시는 스마트 서비스 종합 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1곳을 선정해 3년간 국비 최대 160억 원을 지원한다.
강소형 스마트도시는 중·소도시가 기후위기, 지역소멸 등에 대응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특화 솔루션이 집중된 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기후위기 대응형’, ‘지역소멸 대응형’ 등 두 개 유형이 있다. 정부는 인구 100만 명 이하 도시 중 3곳 이내를 선정해 3년간 국비 최대 80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스마트도시 솔루션 확산사업은 스마트도시 사업을 통해 발굴된 우수한 기술들을 소도시에 보급하는 사업이다. 더 많은 국민이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선정된 지자체에는 보급 솔루션을 제공하는 동시에 특화 솔루션을 자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지원 대상은 인구 30만 명 미만 도시다. 정부는 5곳 이내를 골라 1년간 국비 12억 원을 지원한다.
스마트도시 특화단지로 선정될 경우 규제완화, 혁신기술 실증공간 제공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특히 2025년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온디바이스(On-Device) AI 서비스 실증·확산사업’과 협업해 진행한다. AI 반도체를 활용한 모빌리티, 로봇 등 특화분야 스마트서비스를 도시에 적용함으로써 서비스를 더 발전시켜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총 1곳을 선정하며 3년간 최대 80억 원을 지원한다.
네 가지 사업 유형 가운데 스마트도시 솔루션 확산사업은 4월 14~16일 접수하며 관련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의 심사 등을 거쳐 5월 중 최종 선정한다. 나머지 유형의 사업은 5월 19~21일 접수를 받아 6월 중 최종 선정할 계획이다. 자세한 사항은 국토부 또는 스마트시티 종합포털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유선 기자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