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리앗 물리친 전북의 대이변, 올림픽 개최 기적까지 쓸까?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대이변이 일어났다.”
2월 28일 대한체육회 대의원총회가 열린 서울 송파구 서울올림픽파크텔은 충격과 흥분의 도가니였다. 2036 하계올림픽 유치 국내 후보 도시 투표에서 ‘다윗’ 전라북도가 ‘골리앗’ 서울시를 물리쳤기 때문이다. 그것도 49표 대 11표라는 압도적인 승리였다. 이런 결과를 예상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투표 결과가 발표되자 전북캠프는 김관영 전북지사를 비롯해 일제히 기쁨의 함성을 내질렀다. 전북이 대반전을 연출할 수 있었던 원동력은 뭘까? 전북은 본선에서도 더 큰 기적을 만들어내며 1988 서울올림픽 이후 48년 만에 하계올림픽을 대한민국에 선사할 수 있을까?
서울의 승리는 일찌감치 기정사실처럼 보였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몇 년 전부터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을 여러 차례 만나는 등 공을 들였고 1988 서울올림픽의 성공 개최 경험과 흑자·친환경 올림픽을 대대적으로 홍보했기 때문이다. 이와 대조적으로 전북은 지난해 11월에야 뒤늦게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국제적 지명도와 인프라 등 종합적인 평가에서 전북은 서울의 상대가 되지 못했다. 새만금 잼버리 파행이란 아픈 기억도 감점 요인이었다.
하지만 전북은 절박한 마음으로 몸을 던졌다. 지난해 말부터 투표권을 갖고 있는 대한체육회 올림픽 종목 단체 대의원들의 여론 흐름을 주시하며 반전을 모색했다. 특히 김 지사와 2024 파리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장을 역임했던 정강선 전북체육회장이 대의원들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올림픽 유치의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호소했다.
간절했던 전북과 달리 서울은 막판에 방심했다. 투표 당일 김 지사는 개량한복을 입은 채 몇 시간 전부터 현장에 도착해 만나는 사람마다 고개를 숙이며 ‘한 표’를 부탁한 반면 오 시장은 프레젠테이션 시작 20분 전에야 투표장에 도착했다.
전북의 필승 카드는 ‘지방 연대’
막판 뒤집기에 성공한 전북의 필승 카드는 ‘지방도시 연대’였다. 올림픽을 통해 지역 불균형을 해소해야 하고 이런 측면에서 전북 유치가 꼭 필요하다는 논리를 집중적으로 폈다.
김 지사와 정 회장은 “서울은 1988년 올림픽을 통해 국제적인 도시로 도약했고 경제성장을 이뤘다”며 “지방소멸 위기 상황에서 국가균형발전을 위해서라도 이제는 비수도권에도 기회를 줘야 한다”고 설득했다. 김 지사는 프레젠테이션에서 “우리나라 전국단위 스포츠 경기의 88.5%가 수도권 외의 지역에서 열리고 있다. 호주가 멜버른, 시드니, 브리즈번(2032년 예정)으로 옮겨가면서 세 차례 올림픽을 개최한 것도 나라의 균형 발전을 꾀한 것”이라며 대의원들에게 지지를 호소했다.
전북은 올림픽을 유치하면 육상 경기를 대구스타디움에서 개최하고 광주(국제양궁장·남부대시립국제수영장), 충남 홍성(충남 국제테니스장), 충북 청주(청주다목적실내체육관), 전남 고흥(남열해돋이해수욕장) 등에서 경기를 분산 개최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는 IOC가 지향하는 인접 도시 연대를 통한 비용 절감 요구에 부합하고 수도권에 집중된 인프라·경제력의 분산으로 균형 발전에 새로운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열정만으로 5성급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 전북이 서울을 제치는 이변을 일으키자 대한체육회 관계자가 내뱉은 말이다. 전북이 열정과 집요함을 바탕으로 국내 후보 도시가 됐지만 숙박 등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해 국제 경쟁력에서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가장 먼저 거론되는 것이 선수촌이다. 올림픽에 참가하는 전 세계 선수단은 ‘테러’ 문제 때문에 일반 호텔에서 잘 수 없다. 철통 안전이 보장된 선수촌이 반드시 마련돼야 해 대규모 아파트를 신축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또 올림픽 주요 관계자들이 머무를 5성급 호텔도 다수 지어야 한다. 문제는 인구가 많은 서울과 달리 전북에 이런 대규모 고급 시설을 지었을 때 사후 활용이 사실상 어렵다는 점이다. 다른 시·도와 분산 개최를 한다고 해도 올림픽을 치를 만한 수준의 경기장이 현재 적다는 것도 해결해야 할 과제다. 각종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결국 엄청난 비용이 수반돼야 하는데 중앙정부의 자금 지원이 어느 정도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서울에 비해 국제적 지명도가 크게 떨어지는 점도 보완해야 한다.
인도·카타르 꺾어야 올림픽 개최
전북이 올림픽 유치 의향서를 IOC에 공식 제출하면 치열한 본선 경쟁이 시작된다. 2036 하계올림픽 유치전에는 인도와 인도네시아, 카타르, 튀르키예 등 약 10개국이 뛰어들 전망이다. 이 가운데 강력한 후보로는 인도와 카타르가 꼽힌다.
인도는 개최 후보 도시로 나렌드라 모디 총리가 2014년 연방정부 총리로 취임하기 전 오랫동안 주 총리를 지냈던 서부 구자라트주의 아마다바드 또는 뉴델리를 검토하고 있다. 2022년 축구 월드컵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던 카타르는 수도 도하를 앞세워 도전할 계획이다. 풍부한 ‘오일머니’와 탄탄한 인프라가 강점이다. 이 밖에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 국가 최초의 올림픽 개최 명분을 내세우고 있다.
2036 하계올림픽 개최지는 IOC 총회에서 결정되는데 시기는 미정이다. 3월 18일에 개막하는 IOC 총회에서 선출되는 새 위원장도 변수로 꼽힌다. 현재 세계육상연맹 회장인 세바스찬 코와 사마란치 주니어 IOC 위원이 유력한 신임 IOC 위원장 후보인데 ‘친한파’로 유명했던 후안 안토니오 사마란치 전 IOC 위원장의 아들인 사마란치 주니어가 당선되는 게 전북에 더 유리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권종오 SBS 기자
1991년 SBS에 입사해 30년 넘게 축구, 야구, 농구, 골프 등 모든 종목의 스포츠 경기 현장을 누볐다. SBS 유튜브 채널인 ‘스포츠머그’에서 ‘별별스포츠’ 코너를 진행하고 있다.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