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집 마련, MZ세대의 전략은?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집값은 치솟고 대출 문턱은 높아지는 상황에서 청년들에게 내 집 마련은 점점 이루기 어려운 꿈이 돼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정부는 청년 주거안정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내놓고 있는데요. 저축부터 청약, 대출까지 한 번에 연계되는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은 우대금리, 비과세, 소득공제 등 다양한 혜택을 담아 청년층의 자산 형성과 내 집 마련을 돕겠다는 취지로 출시됐죠. 이런 정책들이 실제로 MZ세대의 주거안정에 얼마나 도움이 될까요? 주택 청약에 도전 중이거나 내 집 마련에 성공한 MZ세대의 솔직한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참가자
자몽대원군(35세, 사무직)
어피치(31세, 교사)
수만(24세, 마케터)
복숭아(28세, 사무직)
헤이미(32세, 사무직&자영업)
Q. 청년주택드림대출 등의 제도가 내 집 마련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자몽대원군
청약통장만 14년째 유지 중인데 현실적으로 미혼 청년은 청약에서 기회가 거의 없어요. 작은 평수는 공공임대로 빠지는 경우가 많고 분양 가능성이 높은 59㎡형 이상은 경쟁이 치열하죠. 1인가구이기 때문에 가점제가 적용될 경우 점수도 낮고 생애 최초 특별공급도 신혼부부 위주라 미혼은 오로지 추첨만 기대해야 하니까요. 분양가 6억 원 이하 아파트 청약에만 해당되는 청년주택드림대출도 서울에서는 실효성이 거의 없다고 봐요. 최근 3개월 추세를 보면 서울 기준 최저 분양가가 6억 8000만 원이라 대출 조건과 차이가 크거든요.
헤이미
“운 좋게 2022년 9월 생애 최초 특별공급으로 1인가구 미혼인 상태에서 청약에 당첨돼 지난해 말 입주했어요. 청약 혜택을 직접 경험한 덕분에 현재 제도에 대만족하고 있어요. 대학생 때부터 들었던 일반 주택청약통장도 큰 도움이 됐거든요. 특히 지금 바뀐 청년주택드림통장은 제가 본 어떤 통장보다 혜택이 좋아서 주변에도 적극 추천하고 있어요. 아쉬운 점이라면 디딤돌 대출이에요. 1인가구 미혼이면 아예 받을 수 없는 조건인 데다 최근 시중 금리가 낮아지면서 디딤돌 대출과 같은 서민형 대출부터 장벽을 높이고 축소하더라고요. 또 청년 우대금리가 0.1%포인트밖에 안된다는 점도 아쉬워요.”
복숭아
“청약통장을 만들어두긴 했는데 실질적인 도움은 안되는 것 같아요. 주변에서도 혜택을 받는 사람이 너무 적어요. 당첨 확률도 낮고 대출 이자, 분양가 등 부담이 크다보니 당첨되더라도 실제로 내 집 마련으로 이어지기가 쉽지 않은 것 같아요.”
어피치
청년주택드림대출을 일반 주택 구매에도 활용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또 요즘은 당첨이 돼도 분양가가 너무 비싸요. 저도 주택 청약에 당첨된 적이 있는데 실거주 메리트를 따져보니 큰 이점이 없어서 취소하는 바람에 5년 청약 제한에 걸렸어요. 이런 부분도 좀 더 유연했으면 좋겠어요.
Q. 청약 제도 외에 내 집 마련을 위해 어떤 준비를 하고 있나요?
수만
“청약 경쟁률이 너무 높아서 내 집 마련의 동기가 많이 사라진 것 같아요. 대신 부동산 뉴스를 꾸준히 보면서 리츠 같은 파생상품에 투자하고 있어요. 사회초년생이기 때문에 내 집 마련은 10년 후에나 가능할 것 같아서 우선 자산을 불리는 데 집중하고 있어요.”
자몽대원군
“독립하고 나서 원룸에서 시작해 1.5룸, 투룸, 이제는 방 세 개짜리 집까지 단계적으로 주거공간을 넓혀왔어요. 10년 안에 내 집을 마련하고 싶어서 계획을 세우고 있어요. 청약도 계속 신청 중이긴 한데 기혼 가정에 더 유리한 청약 구조상 저 같은 1인가구는 다른 대안을 찾는 게 더 현실적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헤이미
서울 원룸에서 6년 넘게 살다가 인천으로 이사 왔어요. 청약이 워낙 복잡해서 강의도 듣고 공부해서 인천에 청약을 넣었어요. 서울은 계약금부터 부담돼서 처음부터 수도권으로 방향을 잡았고요. ‘집은 집으로 산다’는 말이 인상 깊었거든요. 제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집부터 마련한 후 점차 더 좋은 집으로 업그레이드해보려고 해요. 청약은 아파트마다 조건이 다르고 어려워서 정말 열심히 공부해야 해요. 저도 포기하지 않은 덕분에 생애 최초 특별공급 추첨제 할당이 있는 인천을 찾았답니다.
Q. 내 집 마련을 고민할 때 가장 중요한 조건은 무엇인가요?
어피치
결혼 후 남편과 지방에 거주하고 있는데 가장 부족하다고 느끼는 건 학군이랑 교통인 것 같아요. 그래서 조건이 맞는 곳으로 이사 가려고 생각하고 있어요.
헤이미
가격이 제일 중요해요. 요즘은 청약에 당첨돼도 분양가와 입주 시 감정가가 크게 차이나지 않아요. 예전처럼 청약에 들어가자마자 큰 수익을 기대하긴 어려워졌죠. 그래서 청년형 청약에 해당하는 6억 원 이하의 집들을 찾아보려고 해요.
복숭아, 자몽대원군, 수만
“미혼 입장에서는 학군보다는 역세권인지, 회사와의 거리가 가까운지가 가장 중요해요. 물론 가격, 위치, 교통, 학군, 신축 여부 등이 모두 중요한 조건이지만 현실적으로 이 모든 걸 다 만족하기는 어려운 것 같아요. 조건이 좋으면 그만큼 가격도 올라가더라고요.”
*어피티는 MZ 맞춤형 경제 콘텐츠를 뉴스레터에 담아 매일 아침 50만 구독자에게 보내는 MZ세대 대표 경제 미디어입니다.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