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괴·산사태 등 해빙기 안전사고 요주의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4월 2일까지 사고 취약시설 점검
주민점검신청제로 점검 사각지대 해소
점검 결과 따라 즉시 시정
해빙기(2~4월) 안전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해빙기 안전점검 관계기간 대책회의’가 2월 14일 행정안전부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열렸다.
해빙기는 겨울철 얼었던 지표면이 녹아 지반이 약해지는 시기로 시설물 및 공사현장의 붕괴·전도나 사면 및 급경사지의 산사태, 도로 포트홀과 같은 안전사고 발생 위험성이 높다. 이에 행안부는 기관별 취약시설을 중심으로 안전관리 방안을 논의하고 이를 토대로 관계기관과 함께 4월 2일까지 사면·급경사지, 공사현장, 도로, 저수지·하천의 제방 등 취약시설 안전점검을 실시하기로 했다. 점검 결과에 따른 위험요인은 신속하게 보수 및 보강한다는 방침이다.
점검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도 병행된다. 행안부는 지역 주민이 주변 시설물의 안전점검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한 ‘주민점검신청제’를 1월 23일 시작해 3월 14일까지 운영한다. 주민점검신청제는 안전신문고 누리집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신청 가능하다.
정부는 2024년에도 해빙기 안전점검을 통해 위험요인을 발굴하고 보수 및 보강 조치한 바 있다. 사면 2만 8393곳, 급경사지 2만 5409곳, 도로·옹벽·석축 5274곳, 건설현장 5218곳 등 중 8856곳에서 위험 요인이 발굴됐다.
경미한 사항이 확인된 4195곳에 대해선 즉시 시정이 이뤄졌고 위험성 때문에 즉시 시정이 어려운 4403곳에는 예산을 확보해 보수·보강을 추진했다. 결함이 필요한 곳에는 정밀안전진단 또는 중장기 검토가 이뤄졌다.
일례로 정부는 A지역에서 운영 중인 레저시설(집라인 타워) 일부가 기울어진 것을 확인해 즉시 통제하고 철거조치를 내렸으며 B지역 산 경사면에서 돌이 떨어지는 경우를 고려해 방지망을 설치하도록 했다.
이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해빙기에는 작은 부주의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정부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취약시설을 꼼꼼히 점검하고 보완하겠다”며 “국민께서도 주변에 위험 요소를 발견하면 안전신문고를 통해 적극 신고해줄 것을 부탁드린다. 안전사고 예방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당부했다.
이근하 기자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