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장려금 신청 시 소득기준(맞벌이가구) 연 3800만 원→연 4400만 원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근로장려금 신청 시 소득기준(맞벌이가구)
연 3800만 원 → 연 4400만 원
2025년부터 혼인에 대한 세액공제가 신설된다. 또 근로장려금 신청을 위한 맞벌이가구의 총소득 기준금액도 상향된다. 2024년부터 2026년 사이에 혼인신고를 한 경우 1인당 1회에 한해 혼인신고를 한 날이 속하는 과세기간의 종합소득 산출세액에서 50만 원을 공제한다.
또 단독가구가 혼인으로 인해 근로장려금 신청에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신청기준을 맞벌이가구의 경우 총소득 연 3800만 원에서 연 4400만 원으로 상향한다. 이는 단독가구 총소득 기준금액의 두 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또한 무주택가구의 주택 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주택청약종합저축 납입액에 대한 소득공제 및 청년우대형 주택청약종합저축의 이자소득 비과세 적용 대상을 무주택세대주에서 그 배우자까지 확대한다.
지역산업활력펀드 2.0 2025년부터 투자 시작
1080억 원 투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지역기업의 기술사업화를 지원하는 ‘지역산업활력펀드 2.0’을 총 1080억 원 규모로 최종 결성해 2025년부터 투자를 시작한다. 이번에 결성한 지역산업활력펀드 2.0은 2020년 11월부터 2024년 11월까지 투자를 진행한 260억 원 규모의 지역산업활력펀드 후속 펀드다.
이번 펀드는 기존 펀드에는 없었던 지자체의 공동출자 등을 통해 기존보다 네 배 이상으로 규모를 확대해 조성했다. 비수도권 시·도에 위치한 중소·중견기업에 펀드의 60% 이상을 의무적으로 투자하며 특히 공동출자자로 참여한 지자체가 지정한 첨단산업에 우선적으로 투자한다.
2025년부터 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 확대
수익 효과 연 9.54%
누적 가입자 157만 명
2024년 말 누적 기준 157만 명이 가입한 청년도약계좌에 지원하는 정부 기여금이 2025년부터 월 최대 3만 3000원으로 늘어난다. 지금까지는 개인 소득수준에 따라 월 최대 2만 1000~2만 4000원의 기여금을 지원했으나 연소득(총급여 기준)이 4800만 원 이하인 경우 매칭 한도를 초과하는 납입분에 대해서는 기여금을 지급받지 못했다. 청년도약계좌의 매칭 한도는 연소득 2400만 원 이하 40만 원, 3600만 원 이하 50만 원, 4800만 원 이하 60만 원으로 한도가 정해져 있었다. 그러나 앞으로는 모든 가입자가 실제 납입한 만큼 기여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모든 소득구간에서 납입한도(월 70만 원)까지 확대한다. 확대된 구간에는 매칭 비율 3%를 적용한 기여금을 지급한다.
산·연 기술협력의 모범 모델
연구소기업 2000호 탄생
우리나라에서 2000번째 연구소기업이 탄생했다. 이는 2006년 제1호 연구소기업으로 설립된 ‘콜마BNH’ 이후 19년 만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우리나라 공공연구성과 기반 창업 및 기술사업화의 대표 사례인 연구소기업의 2000번째 주인공이 탄생했다고 밝혔다. 연구소기업은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을 직접 사업화하기 위해 연구개발특구 내에 설립된 기업이다. 공공연구기관이 기술만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사업화에도 책임 있게 참여하는 것으로 산·연 기술협력의 모범 모델이다. 2000호 연구소기업은 울주강소특구의 ‘딥아이’로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비파괴 검사 솔루션 전문기업이다.
3년 내 유통 AI 활용률 3%→30%로!
AI 활용률 30% 이상
침체된 유통산업을 살리기 위해 정부가 소비자 판매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공지능(AI) 활용률을 30% 이상으로 높인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수요 예측 및 지능형 재고 관리, 디지털 마케팅 자동화 등에 AI를 활용해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4년 12월 27일 관련 업계 및 전문가와 함께 간담회를 개최하고 ‘유통산업 AI 활용 전략’을 공개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전체 도소매업 기업 1684개 중 AI 활용기업은 44개로 3% 미만에 불과했다.
강정미 기자
[자료제공 :(www.korea.kr)]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