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학당 2027년까지 350곳 한국어로 세계 미래세대 잇는다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2023 세계한국어교육자대회’ 열고 한국어 세계화 전략 발표
방탄소년단(BTS), <오징어 게임> 등 K-컬처의 인기가 전 세계로 확산하고 있다. K-컬처에 반해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했다는 외국인의 사연은 더 이상 낯설지 않다.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보급하기 위해 해외에 설립되는 세종학당의 수강생이 2007년 740명에서 2022년 11만 명으로 급격히 늘어난 점은 괄목할 만하다.
문화체육관광부는 8월 7일 인터컨티넨탈 서울 코엑스에서 ‘2023 세계한국어교육자대회’ 개막식에서 ‘세계 미래세대를 잇는 한국어 세계화 전략(2023~2027)’을 발표했다. 한국어가 문화매력국가의 위상과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강력한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한국어 세계화 전략을 짜임새 있게 뒷받침한 것이다.
이를 위해 ▲촘촘한 한국어 공급망 ▲한국어 교육 전문성 강화 ▲K-컬처로 체득하는 한국어 ▲언제 어디서나 배우는 한국어 ▲현지 한국어 확산 기반 구축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MZ 예비교원 파견, ‘메타버스 세종학당’ 강화
한국어 전문교육기관인 세종학당은 2027년까지 350곳으로 확대한다. 2007년 3개국 13곳에 불과했던 세종학당은 2023년 85개국 248곳으로 늘었다. 그러나 여전히 절반 이상의 국가에는 한국어 세종학당이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신규 세종학당 심사 때 세종학당이 없는 국가를 우선 지정할 수 있도록 제도화하고 신청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재외공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과 협업해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올해는 중동권 아랍에미리트(UAE) 거점 세종학당을 시작으로 중남미 등 한국어 학습 잠재 지역에 세종학당을 전략적으로 확충할 방침이다.
제2언어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의 교육 목표와 방법, 성취기준을 정한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하도록 유학·취업·이주 등 학습 목적, 연령별·언어문화별 차이를 둔 교육 과정과 교재를 개발하고 재외 한국어 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한 표준 교재와 자료 지원을 확대한다.
한국어 파견 교원도 2027년까지 350명으로 확대한다. 한국어 교원을 준비하는 젊은 청년들이 해외 현지에서 실습 경험을 쌓아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MZ청년 예비교원도 2024년부터 파견한다.
K-팝, K-드라마 등을 활용한 한국어 학습 콘텐츠를 확대하고, 찾아가는 세종 한국어·한국문화 교실도 운영한다. 국내 문화예술 전공 대학생들을 문화인턴으로 파견하는 방식이다. 또 전통문화와 K-팝 중심의 ‘세종문화아카데미’ 프로그램을 확대한다.
시공간 제약 없이 한국어를 배울 기회도 더 많아진다. 지난 2월부터 정식 운영하고 있는 ‘메타버스 세종학당’의 수업 과정과 학습 콘텐츠를 확대하고 실시간 한국어 학습, 장소·상황별 한국어 수업 지원을 강화하기 때문이다. 인공지능(AI) 한국어 선생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유 대화형, 글쓰기 등 특수목적 학습 서비스도 고도화한다.
아울러 정부는 한국어 학습자 출신 교원을 양성하고 현지 교원의 한국어 교수법, 발음 교육 등 교육 컨설팅을 지원한다. 세종학당 학습자들 간 교류와 연대를 위한 온라인 세종학당 동창회 커뮤니티도 구축할 예정이다.
새로운 꿈 가져다준 한국어
이날 대회에서는 ‘한국어로 빚는 미래세대의 꿈’을 주제로 한국어 학습자와 교육자들이 대화를 나누는 시간이 이어졌다. 세종학당 학습자에서 한국어 교원으로 성장한 케냐 출신 필리스 은디안구이 씨, 브라질에서 한국어 공부를 시작해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석사 과정에 진학한 리아 마우러 씨, 6·25전쟁 참전용사였던 할아버지의 영향으로 한국에 호감을 갖고 한국어 공부를 시작한 독일 출신 일라이다 아심길 씨 등이 한국어를 배우며 꿈을 키우게 된 사연을 소개했다. 이들은 세종학당에서 한국어를 배워 새로운 꿈을 이루고 한국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박보균 문체부 장관은 “베트남과 폴란드에서 각국의 미래세대들을 만났을 때 우리말의 힘, 언어의 영향력을 인상 깊게 경험했다”며 “K-컬처를 향한 열망과 꿈을 유창한 한국어로 표현해내는 한 사람, 한 사람의 이야기를 들으며 글로벌 무대에서 한국과 한국어의 위상과 영향력이 얼마나 높아졌는지 실감했다”고 밝혔다.
선수현 기자
[자료제공 :(www.korea.kr)]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