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별이의 밤은 별이 빛나는 밤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찬별이의 밤은 별이 빛나는 밤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작가 박찬별 ‘어느날 밤’
박찬별 작가는 무홍채증으로 녹내장, 백내장, 안구진탕증(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눈이 빠르게 움직이는 상태)이 있다. 그는 빛이 강한 낮에는 사물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어렸을 때는 여느 아이들처럼 일반 학교에 입학해 미술학원도 다녔다. 초등학교 1, 2학년은 철이 없던 시절이라서 그런대로 지낼 수 있었지만 학년이 올라갈수록 저시력으로 수업을 받을 수 없어 점점 소외됐다.
그래서 초등학교 3학년 때 시각장애 특수학교인 한빛맹학교로 전학을 갔다. 특수학교 미술 수업을 받으면서 호기심이 생겼다. 그 미술 수업은 시각장애인 미술교육 사업을 하는 ‘우리들의 눈’ 대표 엄정순 작가가 진행했다. 어린 찬별은 미술 시간이 기다려졌다. 커다란 테이블 두 개 중 한쪽 테이블에는 미세한 흙이 쌓여 있어 흙을 갖고 놀면서 만든 것이 작품이 됐다. 다른 한쪽 테이블에는 다양한 미술 재료가 놓여 있어 그것으로 원하는 그림을 그릴 수 있었다. 일종의 물감놀이였지만 손으로 느껴지는 물감의 촉감이 알 수 없는 쾌감을 주었다.
학창 시절은 미술 수업이 큰 즐거움이었다. 고등학교 2학년이 돼 진로를 정해야 했는데 시각장애 학생의 진로는 매우 제한적이다. 진학과 취업 두 갈래 길에서 진학을 선택한다 해도 갈 수 있는 학과는 사회복지나 특수교육 전공이 대부분이었다.
그는 진로상담을 받으면서 미술 공부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맹학교 학생으로 음대에 가는 경우는 종종 있으나 미대에 진학한 사례는 없어 진로상담교사는 적지 않게 당황했지만 그의 뜻이 확고해 미술 수업을 진행했던 ‘우리들의 눈’ 엄정순 작가와 의논했다.
엄 작가는 1초의 망설임도 없이 “저희가 할게요”라고 대답했다. 엄 작가는 화가이자 디렉터이며 현재는 ‘우리들의 눈’ 대표로 우리나라에서 시각장애인 미술교육을 처음 시작했다.
엄 작가는 미술 수업을 하며 “너희 꿈이 뭐니?”라고 물었을 때 순간 흘렀던 침묵에 가슴이 아팠다. 꿈이란 것을 생각해보지 못할 정도로 우리 사회가 시각장애 청소년들에게 희망을 주지 못하고 있었던 것이다.
진로상담교사 얘기를 듣고 엄 작가가 찬별과 미대 진학에 대한 상담을 했을 때 찬별은 아무도 가지 않은 길을 간다는 것에 대해 두려움을 갖고 있었다. 그때 엄 작가가 그에게 한 얘기는 바로 이것이었다.
“찬별아, 네 눈을 믿어.”



시각장애인 최초로 미대 도전해 입학
시각장애는 사회적으로 만든 장애이지 당사자들은 자신만의 지각(知覺) 방식으로 세상을 보기 때문에 시각장애 때문에 미술을 못한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미술은 자신을 표현하는 도구인데 장애가 자신을 표현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엄 작가와 함께 ‘박찬별 미대 진학 프로젝트’를 진행해나갔다. 대학입시를 위해 고3 때부터 입시학원에 다녔는데 아무리 노력해도 시각장애 때문에 할 수 없는 실기가 있었다. 바로 정밀 묘사였다. 주위에는 시각장애인이 무슨 미대에 진학하느냐는 부정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도 있었다. 그도 그런 소리를 들으면 의기소침해졌지만 그럴 때마다 엄 작가가 용기를 주었다. 찬별 부모도 시작한 일이니 끝까지 가보자고 지원해주었다. 장애인에 대한 이해가 있는 대학을 찾아 대구까지 가게 됐다.
주위의 걱정과 걱정을 넘어선 비난을 이겨내고 그는 시각장애인 최초로 미대에 도전했고 결국 2015년 대구대 현대미술학과에 입학했다. 그는 미대 수업의 대부분을 이루는 실기를 즐겼다. 그동안 안 보이는 상태에서 그림을 발견하고 그림을 어떻게 그릴 것인지를 찾아가는 과정이었다면 대학 생활을 하면서부터 무엇을 그림으로 표현할 것인지를 고민하게 됐다.
사람들은 그가 시각장애 속에서 어떻게 그림을 그리는지 궁금해하는데 그는 아주 작은 캔버스를 왼손으로 들어 눈에 바싹 대고 오른손에는 붓을 들고 캔버스를 거의 얼굴에 대고 그림을 그린다. 조금 큰 작품을 그릴 때는 허리를 잔뜩 굽혀 캔버스에 얼굴을 갖다 대고 작업한다.
그는 4년 후인 2019년 졸업을 했다. 졸업 후 2020년 잠실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가 돼 작업실이 생기자 작품 활동을 제대로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중앙대 학생 동아리에서 실시한 시각장애예술인을 지원하는 크라우드펀딩(대중투자)에 참여해 시각장애인도 미술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왔고 ‘우리들의 눈’에서 실시하는 맹학교 학생들이 코끼리를 직접 만지고 이를 작품으로 만들 수 있게 돕는 ‘코끼리 프로젝트’의 일원으로 참여했다.
학교에 다니면서 눈을 너무 혹사해 2020년 각막이식 수술을 했다. 의사는 눈을 피곤하지 않게 하라고 하지만 사람이 어떻게 아무것도 안 하고 가만히 있을 수 있겠는가. 요즘은 뭐 하냐고 물으면 취준생이라고 말하지만 그는 그림을 평생 그리고 싶다. 현재 부모와 떨어져 자립생활을 하고 있는데 그는 이야기를 그림으로 그리며 자신의 꿈을 얼마든지 확장시켜나갈 수 있는 1995년생 27세 젊은 작가다.
박 작가는 밤을 좋아한다. 왜냐하면 어두워지면 별이 흐릿하게 보이기 때문이다. 밤하늘을 한없이 보다 보면 어느 순간 별이 달처럼 커진다. 별이 번져나가는 느낌이다. ‘어느날 밤’은 바로 그런 느낌을 화폭에 옮긴 것이다.
하늘이 멀리 있듯 그의 눈에 비친 땅 위의 세상도 멀리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가 보는 세상은 많은 것이 생략돼 고즈넉한 한가로움이 있다. 땅 위의 나무, 강물, 나지막한 산 그리고 건물이 덩그러니 있다. 이런 단순함이 박찬별 작가의 작품을 꽉 채우고 있다.

방귀희 한국장애예술인협회 대표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