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연하면서도 강한 생명력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처연하면서도 강한 생명력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작가 이정옥 ‘나팔꽃’
이정옥 작가는 고향인 광주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0년 넘게 그날이 그날 같은 날들을 보냈다. 서울올림픽으로 전국의 시선이 서울로 모였던 1988년 그는 용기를 내어 서울로 무작정 올라왔다. 그리고 복장학원에 등록했다. 당시 그의 나이 31세, 무엇을 배우기에는 늦은 나이였다. 1년 교육과정을 수료하고 학원 추천으로 의류 회사로서는 대기업에 취업했다.
그는 남들보다 더 많이 노력하며 더 많은 일을 했다. 디자인, 재단, 봉제 과정을 거쳐 옷이 완성되는데 그는 재단사 즉 모델리스트(디자이너가 고안한 디자인을 가지고 실제 견본을 만드는 사람)였다. 어려운 일이었지만 악착같이 했다. 장애인에 대한 차별이 노골적이던 시절이라서 일을 제대로 해내지 못하면 바로 해고되는 분위기였다.
32세에 입사해 55세에 정년퇴직할 때까지 정말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혹독한 직장 생활을 했다. 남들은 한 번 할 때 그는 두세 번씩 야근을 했다. 무엇보다 견딜 수 없는 것은 진급에 대한 차별이었다. 상사마다 절뚝거리며 걸어다니는 장애인을 보는 것조차 싫어 모욕적인 직급으로 그가 스스로 사표를 던지길 기다렸지만 그는 버텨냈다. 그 덕에 결국 부장 직함을 달고 명예롭게 정년퇴직했다.
회사를 가지 않으니까 삶이 너무 지루했다. 우연히 지역신문에서 장애인 미술교육을 실시하는 소울음아트센터가 있다는 것을 알고 망설임 없이 찾아가서 면담을 하고 바로 그 자리에서 회원 등록을 했다. 그림에 대한 동경 같은 게 있어서 그런지 그림 그리는 것이 너무 재미있었다. 소울음아트센터에 다니면서 예술의전당에서 하는 강의를 수강하고 백화점 문화센터 그림 수업 등에 참여해 기초 공부를 했다. 소울음아트센터 그림 지도 교수 말을 이해하지 못해 자꾸 되물어보게 되니까 미안하기도 하고 부끄럽기도 해서 3년 동안 기초 교육을 받는 일에 몰두했다.
그가 처음 완성한 그림, 자신이 생각하기에 유치하기 짝이 없는 그림을 보고 소울음아트센터 원장이 칭찬을 했다. 그는 너무 좋아서 그날 밤에 잠을 설쳤다. 그림 지도 교수도 긍정적으로 평가해줘 더욱 고무됐다. 그래서 정말 열심히 그리고 또 그렸다. 3년 정도 지났을 때 공모전에 응모할 준비를 하라고 해서 1년 동안 정성을 들인 작품으로 대한민국장애인미술대전에 출품했는데 장려상을 받았다. 그에게는 대박 사건이었다. 그 뒤로 장애인 미술전, 일반 미술전 등에 꾸준히 응모했다. 낙방이든 당선이든 상관없이 그는 준비하는 과정이 즐거웠다. 기회가 되면 그룹전에도 열심히 참여했다.
“직장 생활을 할 때는 별을 보고 나가서 별을 보고 들어왔기 때문에 해가 뜨는 것이 싫었는데 그림을 그리면서부터는 빨리 날이 새기만을 기다렸어요. 화실에 가고 싶어서요. 수업이 없는 날은 인사동에 가서 전시회를 관람했지요. 다른 사람 작품을 보는 것이 큰 공부가 되거든요.”


대한민국장애인미술대전 대상 수상
이정옥 작가는 5년 전 첫 번째 개인전을 인사동에서 열었다. 쑥스러워서 연락을 안 하려고 했는데 첫 번째 개인전은 화가가 됐다는 신고식이니 지인들한테 알려야 한다고 선배 화가들이 조언해 용기를 내어 전시회에 초대했더니 많은 사람이 찾아와주었다. 전시 작품의 60% 정도가 팔렸다. 그동안 만나지 못했던 직장 동료들이 그를 보고 깜짝 놀랐다. 그가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됐다고 입을 모았다. 회사에 있을 때는 항상 여전사 같았는데 지금은 너무너무 부드러워졌다고 말했다.
1세 때 소아마비를 앓아 지체장애 4급인 그는 보행은 가능하지만 지나가던 사람이 스치기만 해도 휘청거렸다. 초등학교 때는 아이들이 그것을 알고 그가 지나가면 툭 밀어 넘어지기 일쑤였고 가만히 앉아 있으면 뒤에서 머리카락을 잡아당기고 도망가는 등 1960년대는 지금과 달라서 아이들이 그에게 돌을 던지기도 했다. 그래서 사람들을 경계하며 고슴도치처럼 가시를 세우고 있었다. 그런데 화가 이정옥은 인간에 대한 사랑이 넘쳤다.
2021년 제31회 대한민국장애인미술대전에서 이 작가는 대상을 차지했다. 그림을 그린 지 10년 만의 성과였다. 이 작가 작품의 주제는 심오하기보다 주변에서 흔하게 만날 수 있는 소재들을 표현한다. 시간의 손때가 묻은 고가구, 친구 같은 고양이, 이름 모를 잡풀, 나비와 텃새 등 소박하고 꾸밈없는 이 친구들은 편안함과 따스함을 주기 때문이다. 작가로서 자신의 작품을 보고 행복한 미소를 짓는 사람들을 봤을 때 가장 행복하다는 그는 자신이 겪었던 어려움과 시행착오를 다른 장애인 작가들이 겪지 않도록 길잡이가 되는 것이 목표라고 힘주어 말했다.
이 작가의 ‘나팔꽃’을 보면 금이 간 질그릇에서 꽃을 피운 모습이 처연하면서도 강한 생명력이 느껴진다. 물질이 풍요로운 현대사회에서 모든 것이 넘쳐나는 것과 대비돼 부족한 듯 여백의 미를 주며 깨져 못 쓰게 됐다고 버릴 것이 아니라 옆에 두면 귀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존재 가치를 일깨워준다. 새파란 바탕은 생명의 역동성을 상징한다. 나팔꽃은 이른 아침에 활짝 피었다가 오후 태양이 가장 뜨거울 때가 지나면 시드는 속성을 지녀 ‘허무한 사랑’이 꽃말이지만 이 역시 절제된 사랑이 아닐까 싶다.

방귀희 한국장애예술인협회 대표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