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랙홀에 빠져드는 듯한 신비로움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블랙홀에 빠져드는 듯한 신비로움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작가 김미경 ‘영혼의 조화’
7남매 중 둘째 딸로 태어난 김미경 작가는 한 살 때 걸린 소아마비 후유증으로 오른쪽 다리에 보조기인 브레이스를 착용하고 있다. 여섯 살이 될 때까지 경북 영주의 외할머니 집에서 자랐다. 동네 아이들한테 놀림을 당했지만 외가에서 잘 보살펴줘 움츠러들지 않았다.
혼자 노는 시간이 많았지만 시골이라서 자연이 놀이터였다. 나무, 꽃, 새들과 친구 하며 느꼈던 감정들이 현재 작품 활동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초등학교 때 언니와 함께 피아노학원에 다녔는데 학원에 가기 싫어 땡땡이를 치다가 어머니한테 크게 혼나고 미술학원으로 옮겼다. 그는 그림 그리는 일이 너무 재미있어 미술학원에 열심히 다녔다.
중학교에 입학하면서 사춘기가 찾아왔다. 남들과 다르다는 생각 때문에 방황하며 방에 틀어박혀 모든 종류의 책을 읽었다. 소설, 위인전, 교양서와 세계 여러 곳을 소개하는 여행 잡지까지 읽으며 사춘기를 책과 함께 보냈다. 다양한 분야의 독서는 그의 작품은 물론 긍정적인 삶의 바탕이 됐다.
예원중학교를 거쳐 서울예술고등학교로 진학하며 화가의 꿈에 한 걸음 더 다가갔다. 아버지는 장애가 있는 딸의 미래를 염려해 전공을 정하는 데 갈등하지 않을 수 없었지만 예술적 재능을 키워주는 데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드디어 그가 원하는 홍익대학교 미대에 입학했는데 첫 미팅에서 만난 남자와 열렬하게 연애를 하다가 졸업 후 6개월 만에 결혼했다. 그는 연애하는 데도 거리낌이 없었다. 그런 당당함이 매력적이었다고 남편은 훗날 고백했다. 남편은 그보다 한 살 위인 경영학도, 그들은 캠퍼스 커플이다.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시댁에서 반대가 많았다고 합니다. 그래도 시어머니께서 저를 좋게 볼 수 있게 해달라고 기도를 많이 하셨다고 해요. 지금은 돌아가셨지만 시부모님은 저를 항상 지지해주셨어요.”
결혼 후 김 작가는 남편과 미국 유학을 떠났다. 오래전부터 유학을 준비했기 때문에 결혼으로 유학이 유보돼서는 안된다고 판단했다. 그리고 부부 가운데 어느 한쪽이 희생하는 유학도 원치 않았다. 그들은 함께 공부하는 유학 생활에 서로 동의했다.


미국 유학 통해 눈뜬 미술 세계
유학 생활은 장애로 인한 불편보다 현실적인 삶을 꾸려나가는 것이 힘들었다. 유학생도 별로 없던 시절이라 남편과 함께 개척 정신으로 부딪혔다. 고된 삶이었지만 이겨낼 수 있었던 것은 미국 유학을 통해 새로운 것을 배우며 그동안 알지 못했던 미술 세계에 눈뜰 수 있었기 때문이다.
김 작가는 6년간의 유학 생활을 마치고 1990년에 귀국했다. 그때가 서른 살이었다. 그 후 17년간 전국으로 강의를 다녔다. 걱정스레 강의를 맡겼던 대학 관계자들이 그의 성실성과 열정에 많은 격려를 해주었으나 전임교수 임용에는 번번이 실패했다.
강의를 마치고 집에 와서 저녁을 준비하고 밤 11시가 돼야 오롯이 자기 시간이 되기에 새벽 3~4시까지 그림을 그리느라고 잠을 몇 시간 자지 못할 정도로 치열하게 살았다. 국내 전시회뿐만 아니라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해외 전시회도 참여했다. 이런 열정적인 활동으로 2011년 시카고아트페어에 참가했을 때 <시카고 선타임스> 표지에 그의 작품이 소개돼 각국에서 온 화가들에게 부러움을 사기도 했다.
김 작가의 표현 기법은 아주 특이하다. 붓을 사용하지 않고 바닥에 깐 캔버스 위에 피그먼트와 미디엄으로 직접 제조한 물감을 부어 캔버스를 위아래, 각도에 따라 움직이며 제작한다. 색깔을 정해 각도를 맞춰 뿌리고 닦아내기도 하고 흘리기도 한다.
1985년생인 딸은 대학 시절 포켓볼 아마추어선수를 하다가 우리나라에서 파견 근무하던 미국인 남자와 사랑에 빠져 대학 2학년 때 결혼해 현재 미국에 살고 있다.
현업에서 은퇴한 남편은 현장 경험을 살려 강의를 하고 있는데 이제는 역할이 바뀌어 그림을 그리느라 작업실에서 시간을 보내는 아내를 기다리며 집안일을 돕는다. 남편은 언제나 그의 작품을 솔직하게 평가하는 훌륭한 관객이기도 하다.
이제 김 작가는 총총거리며 많은 일을 하지 않아도 되기에 여유롭게 그리고 싶은 그림을 그리며 화가라는 정체성에 장애인이라는 또 다른 정체성으로 작은 힘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영혼의 조화’는 보는 이에 따라 다르게 이해할 수 있다. 캔버스에 있는 색은 하양, 회색, 검정인데 하양과 검정 사이에 이렇게 여러 가지 색이 있었나 싶을 만큼 색상이 아주 다양하다. 그래서 칙칙하다거나 단조롭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 화폭에 무엇이 보이는지가 아니라 무엇이 형상화돼 있는지를 생각해야 한다.
가운데는 진하고 점점 흐려지면서 아주아주 세밀한 양털 같은 결이 퍼져가기 때문에 그곳을 따라가면 우리 상상 속에 있는 유토피아에 도착할 것 같다. 블랙홀에 빠져드는 듯한 이 느낌, 이것이 바로 신비로움이다.

방귀희 한국장애예술인협회 대표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