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부처 합동) 즉석밥 수요와 가구의 외식·급식 섭취량은 양곡 수급 정책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성자 정보
- 사실 작성
- 작성일
본문

< 주요 보도내용 >
10월 12일(일) 중앙일보와 10월 13일(월) 문화일보는 각각 「햇반이 쌀값 급등 불렀다? 1인당 쌀 소비 통계서 누락 논란」, 「쌀 수급정책 왜 어긋나나 했더니… 즉석밥·급식·외식 등 '통계 제외'」, 이라는 제목으로 국가데이터처의 「양곡소비량조사」에서 즉석밥 등 가공용 소비와 외식·급식 등 쌀 소비가 1인당 쌀 소비 통계에서 누락되면서 농업 수급 정책이 왜곡될 수 있다고 보도하였습니다.
< 국가데이터처 설명 >
국가데이터처에서 작성하고 있는 양곡소비량조사는 '가구' 부문과 '사업체' 부문 소비량으로 각각 구분하여 작성하고 있습니다.
이 중 가구부문 쌀 소비량 관련, 외식·급식을 '1인당 쌀 소비' 통계에서 0으로 처리한다는 내용은 사실이 아니며, 현재 작성·공표 중인 통계에는 외식, 급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향후, 국민의 식생활 변화를 반영하여 쌀소비량 통계를 개선해 나가겠습니다.
< 농림축산식품부 설명 >
정부는 '햇반' 등 즉석밥에 대한 쌀 소비량도 양곡 수급정책 수립 시 포함하고 있습니다.
즉석밥에 대한 쌀 소비량은 국가데이터처의 「양곡소비량조사」에서 '1인당 양곡 소비량'이 아닌 '사업체 부문 쌀 소비량'으로 발표됩니다. 이와 함께, 정부는 햅쌀 수요량을 추정할 때 식용·가공용·비축 등으로 분류하여 소비량을 추정하고 있고, 가공용 소비량은 통계청의 「양곡소비량조사」 중 '사업체 부분 쌀 소비량'을 토대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즉석밥 등 가공용 쌀 소비량이 정부 수급 전망에 누락되어 전체 쌀 소비량이 지나치게 적게 반영될 수 있다는 내용은 사실이 아닙니다.
정부는 시장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이로울 수 있도록 수급 관리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