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초·중순에 햅쌀이 본격적으로 수확되면서 쌀 가격은 안정될 전망
작성자 정보
- 사실 작성
- 작성일
본문

< 주요 보도내용 >
9월 24일(수) 한국경제는 「햅쌀 풀려도 뛴다... 쌀값 6만 5,000원 돌파」라는 제목으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쌀 소매가가 6만 5,028원/20kg을 기록했으며, 9월 중순부터 조생종 햅쌀이 풀리면 쌀 가격이 안정세를 찾을 것이라는 정부 예측이 빗나갔다고 보도하였습니다.
< 농림축산식품부 설명 >
현재 본격적인 햅쌀 수확이 이루어졌다고 보기 어렵고, 정부가 9월 중순부터 쌀 가격 안정세를 예측했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릅니다.
9월은 햅쌀 생산량 중 일부(조생종)가 출하되는 시기이며, 추석 연휴와 향후 기상 상황에 따라 수확 시기는 다소 변동이 있을 수 있으나, 햅쌀 생산량의 90%인 중만생종은 10월 초·중순부터 본격적으로 수확될 전망입니다. 중만생종은 지난해보다 약 5일 정도 이른 수확이 전망되고 중만생종의 본격적인 판매가 이루어지면서 산지쌀값이 안정화되고 소비자쌀값에도 연쇄적으로 반영될 것이라는 대다수 현장 및 전문가의 의견입니다.
정부는 현장의 원료곡(벼) 확보 어려움을 완화하고 쌀 수급 안정을 위해 정부양곡 5.5만 톤을 대여 중입니다. 지난 8.11일 발표한 3만 톤은 산지유통업체 공급을 완료하였고, 추가 2.5만 톤은 9.17일부터 산지유통업체에 공급 중이며, 최대한 빨리 공급을 완료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추진 중인 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하고, 시장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수급 관리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작성일 2025.09.25 11:32
-
다음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