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의 도시 비엔나…하이든, 모차르트 그리고 베토벤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클래식의 도시 비엔나…하이든, 모차르트 그리고 베토벤

작성자 정보

  • 칼럼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많은 사람이 살고 싶어하는 도시에 항상 꼽히는 곳, 그들만의 다양한 문화와 역사가 혼재하며 또한 그것을 지켜 나가는 곳, 고풍스러운 바로크 양식의 궁전과 고딕양식의 성당, 아돌프 로스의 근현대적인 건물 등이 도시의 심장부에 함께 하는 곳. 

바로 한때 유럽을 호령하던 합스부르크(Habsburg)가의 수도 ‘비엔나’를 지칭하는 것이다. 영어로는 비엔나, 자국어인 독일어로는 ‘빈(Wein)’이라 불리는 이 도시의 매력은 관광 대도시답게 다양하다. 

빈의 어원은 ‘빈도보나(Vindobona)’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로마시대 게르만족의 침략을 막기 위해 도나우 강가 주변으로 형성된 국경도시 빈도보나는 갈리아어로 ‘하얀기지’를 뜻한다. 한마디로 로마군대의 군영이었다.

또한 ‘빈도보나(Vindobona)’의 ‘Vin’은 빈(Wien)으로, ‘dobona’는 도나우(Donau)강으로, ‘Donau’의 ‘au’는 동쪽이라는 뜻의 독일어 ‘Oester’에서 유래해 ‘Osterreich’ 즉 ‘Austria’가 됐다고 여러 학자들의 의해 추측되고 있다. 

그렇다면 언제부터 비엔나는 유럽문화 예술의 중심으로 자리잡았을까? 아마 합스부르크가가 살기 시작한 시점인 1440년대부터라고 생각해 볼 수 있다. 유럽 여러 가문과의 혼맥으로 15세기 중반 신성로마제국의 패권을 거머쥔 합스부르크가가 빈을 실질적 수도로 삼았기 때문이다. 

합스부르크 가문의 호프부르크 왕궁(사진=필자 제공)합스부르크 가문의 호프부르크 왕궁(사진=필자 제공)

이후 비엔나는 오스만 투르크의 침략과 흑사병의 창궐, 나폴레옹의 침략 등 많은 부침을 겪었지만 유럽의 문화, 예술, 과학, 인문 등 여러 분야의 중심지로서 위상을 잃지 않았다. 

세계 1차대전이후 합스부르크가의 카를1세가 퇴위하며 가문의 시대는 막을 내렸지만 여전히 비엔나의 전통적이고 독자적인 문화적 저력은 시대를 뛰어넘어 유지되고 있다. 이런 비엔나를 한 단어로 표현하자면 무엇일까? 아마도 ‘클래식’이 아닐까 싶다.

◆ 클래식의 도시

고전을 뜻하는 단어 클래식은 영어로 ‘Classic’, 독일어로 ‘Klassik’으로 비슷한 발음이다. 비슷한 발음처럼 고전은 시대를 넘어 어디에나 존재하지만 아무도 알려고 하지 않는다는 우스개 소리가 있다. 

클래식은 무엇일까? 헨리 데이비드 소로는 이렇게 말했다. “구식은 모든 세대가 비웃지만, 클래식은 인류사와 함께 영속한다”고. 즉 클래식이란 단순히 고풍스럽고 오래된 고전이란 의미를 넘어 시간이 지나도 그 가치가 변하지 않는 것을 뜻한다고 할 수 있겠다. 

이러한 면에서 클래식이란 단어와 비엔나는 여러 속성들을 함께 공유하고 있다. 이 도시를 관광한다는 것은 곧 이 도시가 갖고 있는 변치 않는 가치를 느껴보는 것과도 같다. 

화려한 슈테판 성당 내부(사진=필자 제공)화려한 슈테판 성당 내부(사진=필자 제공)

850여년 전에 축성된 비엔나의 랜드마크 슈테판 대성당은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결혼식, 비발디와 모차르트의 장례식 등 많은 사건들과 함께 도시의 역사가 숨쉬고 있다. 

또한 프로이트를 비롯한 여러 지식인들과 예술가들이 드나들던 오래된 카페는 전통커피인 아인슈페너(Einspanner) 또는 멜랑쉬(Melange)를 한잔씩 마시며 100여년전 당시 분위기에 빠져보는 호사를 누리고 싶어한다. 

렘브란트와 루벤스를 비롯한 합스부르크가의 소장품부터 클림트와 쉴레, 코코슈카까지 그들만의 독특한 소장품과 미술세계는 역사라는 시간예술이 만들어낸 결과물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비엔나를 클래식의 도시답게 만드는 것은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비엔나의 중심거리인 ‘케른트너 슈트라세(Karntner Strasse)’, 우리나라로 말하자면 명동 또는 강남이라 할 수 있는 이 거리에는 음악이 끊임없이 흐르고 있다. 

허가 받은 몃몃 예술가들이 대중과 여행객들을 상대로 거리공연을 하는데 꽤 수준 높은 공연을 보여준다. 물론 꼭 클래식음악만 하는 건 아니지만 대부분의 거리 예술가들은 음대 학생이거나 프로 클래식 음악가들이다. 

또한 여름이면 시청 청사 앞에 커다란 스크린과 스피커를 설치하고 음악회를 보여주는 필름 페스티벌을 무료로 연다. 음악자체가 하나의 문화이고 도시의 상품인 것이다. 그렇다면 언제부터 대중들에게 비엔나는 클래식 음악의 고장으로 각인된 것일까?   

◆ 도시의 음악가들

중세 르네상스 이후 서양 음악은 종교와 함께 발전되어 왔다. 투르베르(Trouvere), 투르바두르(Troubadour) 같은 음유시인들도 활동했지만 음악의 이론과 체계, 악기의 발전 등은 종교와 함께 하였다고 볼 수 있다.

당시 종교는 국가와 가문을 결속시키고 서로의 유대감 강화를 통해 대중을 통치하는 수단이었다. 르네상스시절부터 바로크 시대까지 교회음악의 발전은 곧 대중음악의 발전으로 나타났는데 오페라나 협주곡 등이 서민들의 인기를 얻게 된 계기 역시 교회음악이라는 자양분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인구가 많은 곳은 큰 교회들이 있었고, 신성로마제국의 정통성을 주장한 합스부르크가의 수도였던 비엔나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드는 도시였다. 이런 역사적 배경을 통해 많은 음악가들의 왕래가 있었을 것이고 이는 자연스럽게 음악이 발전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추측 가능하다. 

메디치(Medici) 가문의 후원을 받았던 예술가들 또한 제국이 가진 힘의 균형 추에 따라 기회를 찾아 떠나기도 했을 것이다. 

이탈리아의 사제이자 작곡가인 비발디 또한 그런 인물 중 하나로 그가 살았던 장소는 현재 오페라 극장 맞은편인 자허 호텔(Sacher Hotels) 근방이었으며 생애 또한 이곳에서 마무리했다. 

로마 카톨릭을 국교로 삼은 합스부르크가의 수도는 종교를 통한 행사 이외에도 황제와 귀족들의 사교 모임 또한 아주 중요했다. 몇몇 귀족가문들은 개인 악사를 고용하여 음악회를 즐겼으며, 자연스럽게 사교음악 또한 발전하였던 것이다. 

헝가리의 명문 귀족 에스터하지 가문은 하이든이라는 교향곡의 아버지를 만들어냈고, 잘츠부르크 대주교 아래 답답한 생활에서 벗어나 사교를 통한 자유로운 음악 활동하고 싶었던 모차르트는 비엔나에서 전성기를 보냈다. 

그리고 이후 등장한 베토벤은 비엔나에서 겪은 삶의 궤적을 통해 위대해 질 수 있었다. 하이든과 모차르트 그리고 베토벤, 클래식 음악을 대표하는 이 세 명의 음악가들이 비엔나를 음악의 도시라 불리게 만든 바탕이 되어 준 것이다.                  

◆ 하이든과 모차르트 그리고 베토벤

하이든과 모차르트 베토벤은 모두 비엔나에서 서로 만난 적이 있는 인연들이다. 그 중심에는 가장 선배인 하이든이 있다. 

빈 중심가의 고풍스런 거리(사진=필자 제공)빈 중심가의 고풍스런 거리(사진=필자 제공)

하이든은 모차르트와 24년정도의 나이차이가 있었지만 우정을 나누었으며 베토벤과는 사제관계로 영향을 준 인물이다. 파파(아버지)라고 불리며 오케스트라 단원들과 여러 음악가들에게 존경을 받은 하이든은 모차르트의 천재성을 높이 샀다. 

한번은 현악사중주에 깊은 애착이 있는 하이든이 모차르트가 자신에게 헌정한 현악 사중주작품을 연주하는 이벤트가 있었다. 제1바이올린은 하이든이 연주하고, 2바이올린은 디터스도르프, 비올라는 모차르트가 자신의 작품을 연주하고 첼로는 반할이 연주하는 대단한 초연무대였다. 

자신에게 헌정된 모차르트 4중주 작품을 초연한 이후 하이든은 모차르트의 아버지 레오폴드에게 “모차르트는 내가 아는 어느 누구보다도 감각이 뛰어나고 작곡에 대한 깊은 통찰을 갖은 위대한 작곡가”라고 극찬했다. 

모차르트는 분명 선배작곡가인 하이든의 영향을 받았겠지만 하이든 역시 반음계적 화성과 불협화음이 등장한 모차르트의 전성기시절 음악을 연구하며 자신의 음악적 아이디어로 삼았음이 분명하다. 

음악평론가로 널리 알려진 제레미 시프먼에 의하면 하이든의 오라토리오 <천지창조>에서 혼돈을 나타내는 긴 서주는 모차르트의 현악사중주 19 C장조가 아니면 나오기 힘들었다고 말하고 있다. 

베토벤 역시 하이든과 사제지간으로 초창기 작품은 하이든의 영향력이 드러난다. 물론 베토벤이 바쁜 스승 하이든에게 불만을 가졌다는 이야기는 널리 알려져 있다. 

그가 바쁜 하이든을 대신해 모차르트를 시기 질투했다고 알려진 (사실과 다르지만) 안토니오 살리에리에게 성악작곡법을 배우고 여러 유명 선생들에게 과외를 받은 것 또한 사실이긴 하다. 

하지만 길지 않은 신포니아나 ‘디베르티멘토(divertimento)’의 주제를 바탕으로 4개악장의 음악적 프레임을 만들어나가서 발전시킨 부분, 정교한 선율의 전개기법 등은 베토벤이 하이든으로부터 받은 유산임에 틀림없다. 

베토벤은 피아노 소나타 중 세곡을 스승 하이든에게 헌정했다. 세계음악사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 하이든과 모차르트, 그리고 베토벤의 만남이 한 시대 비엔나라는 도시에서 이루어졌다는 것만으로도 도시가 갖는 매력은 충분하다. 

이들의 삶과 음악 그리고 만남이 한 도시 안에서 어우러지며 그들 음악을 더욱더 빛나게 만들어 주고 있기 때문이다.

김상균

◆ 김상균 바이올리니스트

서울대 음대 재학 중 오스트리아로 건너가 비엔나 국립음대와 클리블랜드 음악원 최고연주자과정 최우수 졸업. 이 후 Memphis 심포니, Chicago civic오케스트라, Ohio필하모닉 악장 등을 역임하고 London 심포니, Royal Flemisch 심포니 오디션선발 및 국내외 악장, 솔리스트, 챔버연주자로도 활발히 활동 중이다. eigenartig@naver.com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