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3~고1 학업성취도 세계 최고 수준 코로나19 손실 없었다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한국 중3~고1 학업성취도 세계 최고 수준 코로나19 손실 없었다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우리나라 학생들의 국제 학업성취도 점수가 모든 영역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학은 37개국 중 1~2위를 기록했다. 읽기는 1~7위, 과학은 2~5위로 조사됐다. 교육부에 따르면 OECD는 12월 5일 이 같은 내용의 ‘2022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 결과를 발표했다.
OECD는 만 15세 학생(중3~고1)의 수학·읽기·과학 과목의 성취와 그 추이를 국제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3년 주기로 PISA를 시행하고 있다. 2021년 실시할 예정이었던 2022년 조사는 코로나19로 한 해 연기됐다. 이번 조사에는 전 세계 81개국(OECD 회원국 37개국·비회원국 44개국) 약 69만 명이 참여했으며 우리나라는 186개교에서 6931명의 학생이 참여했다.
직전 조사인 PISA 2018 대비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읽기·과학의 평균 점수는 모두 상승했다. OECD 회원국의 평균 점수가 모든 영역에서 하락한 것과 대비되는 결과다.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평균 점수는 527점으로 OECD 국가 중 1∼2위, 읽기는 515점으로 1∼7위, 과학은 528점으로 2∼5위로 높은 성취를 보였다. OECD 비회원국을 포함한 전체 81개국 중에서도 수학 3∼7위, 읽기 2∼12위, 과학 2∼9위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국가별 차이가 발생한 원인에 대해 코로나19 기간 교육 방식의 차이를 꼽는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12월 5일 PISA 2022 국제 발표회에 참석해 “한국은 우수한 인터넷 환경으로 코로나19로 원격교육을 해야 했을 때도 학생과 교사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뤄졌다”면서 “교사들의 노력과 헌신으로 등교 중지 기간 학생들의 학습 손실이 적었다”고 밝혔다.
우리 학생들의 ‘상위’ 성취수준 비율도 모든 영역에서 높아졌다. 과목별 성취수준은 총 6단계로 5 수준 이상이면 상위로, 1 수준 이하면 하위로 본다. 구체적으로 수학은 21.4%에서 22.9%로, 읽기는 13.1%에서 13.3%로, 과학은 11.8%에서 15.7%로 각각 상승했다. 하위 성취수준은 수학(15.0→16.2%)은 높아졌으나 읽기(15.1→14.7%)와 과학(14.2→ 13.7%)은 떨어졌다.
이번 조사를 남녀 성별에 따라 분석하면 OECD 평균은 수학에서 남학생의 점수가 높고 읽기와 과학에서는 여학생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결과는 우리나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특히 수학과 과학의 경우 남녀 평균 점수 차가 10점 내외로 갈수록 줄어들고 있으나 읽기의 경우 20~30점 내외로 차이가 좁혀지지 않는 모습이다. 점수 변화를 살펴보면 2018년 대비 남학생의 수학·과학 평균 점수는 올랐지만 읽기 평균 점수는 떨어졌다. 여학생의 평균 점수는 모든 영역에서 상승했다.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박차 가할 것”
수학 과목에 대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불안감이 낮아졌다는 조사도 나왔다. PISA는 주기별로 수학, 읽기, 과학 중 하나를 주영역으로 설정해 교육맥락변인을 조사하는데 2022년 조사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불안’ 지수는 OECD 평균(0.17)보다 낮은 –0.05를 기록했다. 하지만 학생 간 성취수준 차이에 의한 ‘학교 내 분산 비율’은 98.1%로 OECD 평균(68.3%)보다 높았고 학교 간 성취수준 차이를 보여주는 ‘학교 간 분산 비율’ 역시 40.3%로 OECD 평균(31.6%)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렇다면 이 같은 학생·학교 간 학업 성취의 차이는 어디서 발생할까? PISA가 경제·사회·문화 지위 지표가 학생들의 수학 성취에서 차지하는 영향력(ESGS)을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은 그 영향력(12.6%)이 OECD 평균(15.5%)보다 적었다. ESGS는 부모의 직업과 교육 수준, 자산 등을 통해 산출한다. 즉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적은 부모의 교육 수준 등과는 관련성이 크지 않다는 뜻이다.
교육부는 “PISA 성취를 유지 또는 향상시키기 위해 국제적인 교육동향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사회정서역량 부문을 지속해서 관리하고 개선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에 추진 중이던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공교육 경쟁력 제고, 사교육 경감대책 등 다양한 방안의 추진 동력을 제고하는 좋은 기회로 생각하고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전했다.

조윤 기자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