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개가 품은 세월과 장인의 시간 녹여 과거와 현대 잇는다”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자개가 품은 세월과 장인의 시간 녹여 과거와 현대 잇는다”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11월 8일부터 11일까지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두바이 다운타운디자인(Downtown Design Dubai)’이 열렸다. 30여 개 국가, 250여 개의 브랜드 작가 및 디자이너가 참여하는 중동지역의 디자인·공예 분야 최대 규모 박람회다. 우리나라에서는 김준용·류지안·손대현·이상협·조성호·허상욱 등 여섯 작가의 작품 26점을 선보였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23년 1월 윤석열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 국빈 방문을 계기로 중동시장에 한국문화를 적극적으로 알리기 위해 이번 참가를 추진했다.
참가자들 중 류지안 작가는 윤석열 대통령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부부에게 선물한 달항아리 ‘더 문 화이트’의 제작자로 화제가 된 바 있다. 이번에도 달항아리를 포함한 7점을 전시했다. ‘더 문 화이트’는 여느 달항아리와는 다르게 보는 각도에 따라 저마다의 색을 비쳐 보석을 떠올리게 한다. 조개껍데기를 썰어낸 조각, ‘자개’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류 작가는 모든 작품의 공통 소재로 자개를 활용한다. ‘시간’으로 관통되는 그의 작품세계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소재다. 자개가 오랜 시간 바다에 잠겨 갖가지 빛을 내기까지 걸리는 시간, 자개를 일일이 손으로 부숴 붙이는 작업 과정이 모여 작품이 탄생한다. 그의 작품을 시간으로 설명할 수 있는 또 다른 이유는 과거와 현재를 잇는 작업이라는 점이다. 류 작가는 세공기법은 전통식을 적용하되 표현방식과 결과물은 현대예술을 추구한다. ‘더 문 화이트’의 경우 자동차나 요트를 만드는 소재 강화플라스틱(FRP)으로 빚어진 달항아리에 자개를 붙였다.
류 작가는 그의 작품에 대해 “흐른다”고 표현한다. 조각들이 전체를 이뤄 만든 빛이 역동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류 작가에게 자개 조각은 오늘날 그를 이룬 모든 시간과 관계를 의미한다.
‘고요 속에 품은 빛’ 전시회가 한창인 갤러리에서 류 작가를 만났다. 인터뷰 테이블 뒤로 전시된 작품들이 오묘한 빛을 뿜어내고 있었다.

2023 두바이 다운타운디자인에 7점을 출품했다. 중동 진출은 이번이 처음이었나?
2019년 처음으로 참가했다. 전시회 측에서 내 작품을 보고 먼저 연락을 해왔다. 그전까지 두바이는 생각하지 못한 시장이었기 때문에 기대 없이 가벼운 마음으로 갔는데 전시 반응이 생각보다 훨씬 좋았다. 좋은 반응 덕분에 2021년에도 참가할 수 있었다. 올해는 문화체육관광부를 통해 참가하게 됐다. 그곳을 경험해본 사람으로서 내 경험을 공유하면서 좋은 작가 분들과 함께할 수 있었다.

전시를 혼자 준비할 때와 차이점이 있었나?
이전에는 그림을 보내고 전시장에 거는 것까지 모든 걸 알아서 해야 했는데 이번에는 문체부의 도움이 컸다. 무엇보다 한국 작품들이 메인 구역에 있었다고 한다. 감격스러웠다.

류지안 작가 하면 ‘달항아리’가 먼저 떠오른다.
달항아리는 내 시그니처인 ‘Beyond the Ocean’ 시리즈 중 하나다. 처음부터 달항아리를 만들려고 한 것은 아니다. 시작은 바다였다. 형태가 달항아리일 뿐 그곳에 바다를 담았다. 밤바다, 반짝이는 윤슬(햇빛이나 달빛에 비쳐 반짝이는 물결), 섬을 감싸며 일렁이는 파도, 노을 지는 바다. 이런 것들을 떠올리다보니 달이 연상됐다. 달빛을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 자개 달항아리가 나왔다.

반짝이고 각각의 색을 내는 소재가 자개뿐인가?
내 모든 작품의 공통점은 정말 작은 조각이 모여 이뤄졌고 반짝인다는 거다. 자개 조각 하나하나가 쌓여 보석처럼 밝게 빛나듯 사람도 지난날의 생각과 경험으로 시행착오를 겪은 뒤 성숙해지지 않나. 과거는 마냥 흐르는 것이 아니라 쌓여서 오늘의 나를 만든다. 내 성격이 밝은 편이다. 작품은 작가를 따라간다는데 그래선지 어두운 것은 표현하고 싶지 않다. 작품을 통해 긍정적이고 활기찬 생명력을 전하고 싶다. 뭐든 고여 있으면 썩기도 하고 죽기도 하지 않나. 내 작품이 고이지 않고 계속 흘러가기를 바란다. 우리 인생도 그렇게 흐르다 찬란했으면 하는 마음을 보여주고 싶다.

자개를 선택한 이유가 단순히 다양한 빛을 내는 것만은 아닌 것 같다.
자개는 삶의 터전이 있는 재료다. 내가 자개를 좋아하는 건 자개가 시간을 품고 있기 때문이다. 자개는 언제 생겼을지 모르는 그 바다 안에서 오랜 세월 쌓인 층을 통해 빛을 발산한다. 다이아몬드도 세공에 따라 달라지듯 내가 자개를 어떻게 더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을지 연구하는 과정이 매력적이다.

어떤 빛을 어떻게 받느냐에 따라 작품이 달라 보이는 것도 흥미롭다.
내 작품은 자연광에 놓였을 때 제일 예쁘다. 바다에서 촬영한 적이 있는데 정말 아름다웠다. 휴대폰 카메라로 막 찍어도 너무 좋더라. 내가 감성적인 사람이 아닌데도 자개가 고향에 와서 좋은가 싶을 정도였다(웃음). 재료와 작품을 대할 때 어떤 생각을 갖느냐가 중요한 것 같다.



류 작가는 자개를 ‘내 인생’이라고 말한다. 나전칠기 명인(유철현 작가)인 아버지의 영향으로 태어난 순간부터 자개 틈에서 놀고 자랐다. 흔한 장난감과도 같았던 자개가 다르게 느껴진 건 미국 뉴욕에서 디자인 공부를 할 때였다. 재능이 많은 사람이 모인 그곳에서 류 작가는 ‘내가 잘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를 고민할 수밖에 없었다. 문득 자개를 떠올렸다. 한국에서는 전통공예 소재로 보는 자개를 글로벌 브랜드들은 하이엔드 주얼리나 시계 등에 들어가는 보석으로 여기고 있었다. 같은 자개를 다르게 보는 시각이 재밌었다고 한다. 류 작가는 그만의 방식으로 자개를 해석해보겠다는 마음으로 세공 기법부터 배우기 시작했다.
류 작가는 자개 자체에 머물지 않고 새로운 소재와 융합하기 위해 끈질기게 노력했다. 나무에 입혀보고 메탈에도 입혀보고 심지어 자동차나 요트를 만드는 FRP에도 자개를 붙여봤다. 흙으로 빚은 항아리에 자개를 더했다면 ‘더 문 화이트’는 나올 수 없었다. 류 작가는 융합에 한계가 있는 재료라고 해도 자신만의 방법을 찾아갈 것이라고 했다.
이제 자개 작품을 보면 류 작가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다. 사실 류 작가의 작품은 국빈용 단골 선물이었다. 지난 4월 조 바이든 대통령 부부에게 선물한 사진이 공개된 후 류 작가의 작품을 알아본 팬들이 누리소통망(SNS)을 통해 알리면서 ‘국빈 선물 달항아리 작가’라는 수식어가 붙게 된 것이다.

한 장인의 작업 영상을 찾아봤다. 자개를 하나하나 손으로 부수는 노고가 엄청나더라.
나는 직접 작업하지 않는다. 내가 공예가나 장인이 아니라고 말하는 이유다. 세공 기법을 배우긴 했지만 작업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기 위해서였다. 디자인 전공자로서 어떻게 하면 더 현대적이고 아름다운 작품을 할 수 있을지를 고민한다. 결국 내 작품에서 중요한 건 담고자 하는 이야기다. 내 작업은 각 분야의 장인 선생님들과 ‘협업’으로 이뤄진다. 내 나이보다 오랜 시간 기술을 익히신 분들이다. 그분들의 시간을 존경하며 그 시간도 작품에 녹이고 싶었다. 장인 선생님들과의 협업은 내 작품 안의 또 다른 이야기가 돼준다.

옛 방식에 익숙한 장인들과 협업하는 과정이 어렵진 않나?
함께 일한 지 10년 정도 됐는데 초반에는 힘들었다. 내가 원하는 색감이나 재료, 기법 등이 장인들에겐 낯설었던 것 같다. 이견 조율 과정에서 어려울 때가 있었지만 당연히 필요한 시간이라고 생각했다. 오히려 지금은 장인들이 “이런 색은 어떤가”, “더 새로운 걸 해봐라”라고 말한다.

결과물에 대한 만족도의 기준이 있나?
지금까지 만족을 느낀 적이 없다. 작품이 완성된 순간 ‘너무 좋다’는 생각이 들긴 하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더 잘하고 싶단 욕심이 생긴다. 예를 들어 자개를 오브제에 담았더니 만족스럽지 않아서 달항아리에 담았고 그것도 만족스럽지 않아서 큰 화판에 담게 됐다. 전에는 빛의 흐름을 표현했다면 이제는 반짝임을 극대화하려고 한다. 점점 새로운 걸 하고 싶어진다.

가장 기억에 남는 평가를 꼽는다면?
내가 어떤 생각을 하면서 이 작품을 만들었는지 알아줬을 때가 제일 기쁘다. 일렁거리는 바다를 표현한 작품이 있다. 계속 순환하는 에너지를 표현한 작품인데 정말 많은 분들이 “저 작품은 바다 속 어딘가에서 깎이고 깎인 것 같다. 바닷가에 있어도 어색하지 않을 것 같다”고 하시더라. 내 생각을 읽어주셔서 감사했다.

류지안 작가를 뭐라고 수식하면 될까?
현대미술가 혹은 현대자개예술가? 아티스트? 내 작업을 전통기법이라고 말할 순 없다. 끊음질, 타발법 등의 세공법을 쓰지만 자개 외에는 전통적이지 않다. 자개 자체로 충분히 빛나고 매력적이라고 생각했다. 자개를 어떤 틀에 스스로를 가두고 싶지 않다. 꼭 자개를 한다고 해서 전통을 계승한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내가 하는 방식이 후세대가 봤을 땐 전통이 될 수도 있겠지만 나는 지금 시대에 어울리는 미술을 하는 데 의의를 둔다.

앞으로 류지안의 시간은 어디로 흐를까?
10주년을 기점으로 더욱 활발하게 활동하고 싶다. 대형회화 작업을 하고 있고 설치미술도 꼭 해보고 싶다. 자개가 각도에 따라 반짝이는 모습을 공간적으로 표현하고 싶다. 그리고 ‘자개’ 하면 류지안이 떠오르면 좋겠다. 글로벌하게!

이근하 기자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