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지원사업 한눈에 볼 수 있게 AI 기반 플랫폼 구축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2700여 개 지원사업 정보 통합
중기 제출 서류도 평균 9개에서 4.4개로
스타트업 지원 ‘팁스’ 모델도 확대
정부가 중소기업 지원사업의 체감도를 높이기 위한 개선책을 내놨다. 정보 부족, 복잡한 절차, 평가위원 인식 미흡 등 중소기업의 불만을 반영한 것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11월 4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의 핵심은 중소기업 지원사업을 한눈에 확인하고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반 통합 플랫폼을 새로 구축하는 것이다. 또한 중소기업이 제출해야 하는 서류 부담을 줄여주고 제3자 부당개입 방지, 핵심기업 선별 등을 강화하는 내용이다.
먼저 정부는 ‘기업마당’과 ‘중소벤처24’를 하나로 통합해 2700여 개 지원사업 정보를 한곳에서 제공하고 21종의 확인·인증서도 함께 발급하는 통합 플랫폼을 구축한다. 또 플랫폼 로그인만으로 지원사업 신청까지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중기부 내 37개 신청 채널을 우선 연계하고 이후 타 부처 공공기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수많은 사업 공고를 일일이 살펴봐야 했던 문제도 AI로 해소된다. 앞으로는 AI가 기업의 업종·지역, 지원사업 참여 이력, 검색 기록 등을 분석해 기업별로 가장 적합한 지원사업을 자동 추천한다. 아울러 AI를 활용해 신청 기업과 지원사업 특성에 맞춘 사업계획서 초안 작성도 지원할 예정이다. 해외 수출 중소기업의 경우 맞춤형 수출국가와 관세 정보를 제공한다. 소상공인에게는 맞춤형 상권 분석 정보를, 제조기업에는 맞춤형 기술 공급기업 추천 등 지원 대상별 특화된 정보를 제공한다.
지원사업 신청 시 중소기업이 직접 제출해야 하는 서류도 평균 9개에서 4.4개로 감축된다. 사업자등록증, 재무제표, 중소기업 확인서 등 행정기관 발급서류는 행정정보공동이용, 공공마이데이터 서비스 등과 연계해 지원기관이 직접 확인하고 관련 연계율을 내년까지 96%까지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불법 중개인 등 제3자 개입 차단에도 힘쓴다. 정부는 13개 지방 중소벤처기업청과 7개 중기부 산하 공공기관에 제3자 부당개입 예방·신고 채널을 운영해 불법행위를 유형화하고 이에 대한 자료제출 요구권, 제재 규정도 함께 마련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벤처투자사(VC)가 선 투자 후 추천한 스타트업에 연계 지원하는 팁스(TIPS) 모델을 늘리고 현대차·LG 등 글로벌 대기업이 필요로 하는 스타트업을 선발해 함께 지원하는 ‘개방형 혁신 프로그램’도 확대할 계획이다.
백재호 기자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