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물 유통 구조 혁신! 6단계 → 4단계로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수산물 유통 구조 혁신! 6단계 → 4단계로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유통비용 줄이고 가격 안정
온라인 거래가능 품목 60개에서 134개로
대도시권 소비지에 전문 직매장 조성

수산물 소비량이 급증하는 겨울철을 앞두고 정부가 수산물 유통 구조 새판 짜기에 나섰다. 11월 4일 해양수산부는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이익을 누리는 신뢰 기반의 유통체계 구축’을 중심으로 유통 비용률 10% 절감, 주요 수산물 가격 변동성 25% 완화를 목표로 설정하고 4대 추진방향과 8대 추진과제를 발표했다.
이번 발표의 핵심은 ‘유통 과정 간소화’다. 현재 ‘생산자(어업인)→산지 위판장→산지 중도매인→소비지 도매시장→소비지 중도매인→소매상’ 등 6단계를 점차 ‘생산자→산지거점유통센터(FPC)→소비자분산물류센터(FDC)→소매상’의 4단계로 줄인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FPC와 FDC를 확충할 계획이다. 온라인 도매시장에서 거래 가능한 수산물 품목도 60개에서 134개로 늘리고 판매자 가입 요건도 완화한다. 판매자의 경우 기존에는 연간 20억 원 이상 거래 실적이 있어야 하고 산지 중도매인은 구매만 가능했으나 앞으로는 판매자 거래 규모 제한을 없애고 산지 중도매인도 판매·구매 모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대도시권에 수산물 전문 직매장을 설치해 산지 수산물 접근성도 높인다. 2025년 수도권 30곳을 시작으로 2026년에는 충청권 30곳까지 확대하고 이후 단계적으로 늘려나갈 예정이다. 도매시장 내에는 식당 등으로 실시간 배송이 가능한 체계를 구축하고 단순 가공·분산 시설도 마련해 시장에서 판매와 배송이 모두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된다.
기후변화에 맞춰 양식 품종을 바꾸거나 양식장을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경우 지원이 한층 확대된다. 해수부는 종자시설 30곳에 스마트·자동화 기술 도입을 지원하고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를 구축해 안정적인 물가 관리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수급 불안 해소를 위해 어획산 6종(고등어·갈치·오징어·명태·참조기·마른 멸치)과 양식산 4종(김·굴·전복·광어)의 경우 수급 예측모형을 개발할 예정이다.
아울러 유통 단계부터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수협 ‘바다로’ 시스템이 고도화되고 온라인 위판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체계가 마련된다. 또 ‘수산물 유통의 관리 및 지원에 관한 법률’ 하위법령 개정을 통해 대형 유통사와 양식장의 수산물 이력제 참여를 확대할 예정이다.

백재호 기자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