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아닌데 비만치료제… ‘뼈말라’유행 괜찮은가요?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할리우드 스타들이 주사형 비만치료제를 맞고 체중 감량에 성공했다는 뉴스가 심심치 않게 들려옵니다. 원래 당뇨병과 고도비만 환자를 위해 개발된 약물이 국내에도 도입돼 이제는 다이어트 필수템처럼 소비되고 있어요. 문제는 정상 체중인 사람들까지 이 약을 찾고 있다는 점인데요. 이런 현상의 배경에는 ‘뼈말라(뼈가 보이도록 마른 상태)’, ‘프로아나(Pro-ana, 거식증 찬양)’, ‘키빼몸(키에서 체중을 뺀 값이 클수록 좋다는 개념)’처럼 극단적으로 마른 체형을 미화하는 사회 분위기가 있어요. 정부가 이들 약물에 대한 규제에 나섰다고 하는데요. MZ세대는 비만치료제 오남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솔직한 이야기를 들어봤습니다.
참가자
강박(30세, 회사원)
민두부(29세, 회사원)
비부비부(32세, 회사원)
요거트(35세, 회사원)
아이스아메리카노(33세, 의료인)
Q. 주변에서 비만이 아닌데도 비만치료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나요?
강박
아직 제 주변에는 없어요. 하지만 친구들이 진지하게 사용을 고민하는 걸 봤어요. 솔직히 저도 고민이 됐지만 비만치료제는 식욕 억제가 아니라 배고픔을 덜 느끼게 해준다고 해서 큰 효과는 없을 것 같아 포기했어요.
비부비부
누리소통망을 보면 비만치료제를 사용한 사례가 너무 많더라고요. ‘처방받으러 일본까지 다녀왔다’거나 ‘비만치료제를 사용하고 뼈마름 된 썰’ 영상 같은 거요. 너무 유해하다고 생각했어요. 미디어를 통해 보이는 모습을 보고 오남용하게 될 것 같아요.
Q. ‘뼈말라’, ‘프로아나’, ‘키빼몸’ 등 마른 외모를 추구하는 사회 분위기가 내 몸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준 적이 있나요?
민두부
직장 동료가 병원에서 해당 치료제를 처방받아 사용하는 것을 봤어요. 저는 불필요한 약물 사용에 대해 부정적이어서 시도해볼 생각은 하지 않았어요. 요즘 주변이나 미디어에서 약물 사용에 대해 너무 쉽게 다루고 가볍게 생각하는 것 같아 걱정입니다.
아이스아메리카노
대학병원에서 비만 환자를 진료하고 있어요. 최근 여러 비만치료제가 출시되면서 사람들의 관심이 더욱 높아진 것 같아요. 비만까지는 아니고 과체중인 사람들의 문의도 꽤 많은 편이에요. 진입 장벽이 낮은 의원급의 경우 정상 체중인 사람도 많이 찾을 것 같아요. 누리소통망에서 후기를 많이 봤거든요.
비부비부
친구들 모두 다이어트에 대한 강박이 있어요. 밥도 편하게 못 먹고 살이 너무 쪄서 걱정이라고 입버릇처럼 말해요. 제가 보기엔 저체중인데도요. 무조건 뼈가 드러나게 말라야 예쁘다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특히 여자 아이돌한테 너무 심한 기준을 내세워요. 다리가 코끼리 같다고 욕하다가 살 빼고 나오면 지방흡입 자국을 찾겠다고 사진을 뒤지기도 하고요. 그런 사회 분위기가 대중한테까지 적용되는 것 같아요.
민두부
저도 다이어트에 대한 강박이 있는 것 같아요. 인바디에서 표준 범위에 속하지만 체지방량을 더 줄이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특히 연예인을 보면 더 살을 빼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요. 적당한 지방과 근육이 있어야 건강하다는 것을 알지만 건강한 몸과 마른 몸 중에 하나를 고르라면 옷태가 예쁜 마른 몸을 갖고 싶어요.
강박
음식을 먹을 때 행복하게 음식에 집중하지 못하고 칼로리를 계산하고 과식을 한 날엔 억지로 토하기도 해요. 성장기 때 통통했던 기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요. 사실 사진을 보면 그때도 지금도 그렇게 살찐 모습이 아닌데도요.
요거트
얼마 전 좋아하던 여성 아이돌 멤버가 몰라볼 정도로 살이 빠져 컴백한 것을 봤어요. 그전에도 마른 체형이었는데 다른 멤버들과 비교해서 악플 세례를 많이 받았다고 하더라고요. 어린 나이인데 건강이 걱정되네요.
Q. 외모·체형 압박을 줄이기 위해 사회가 어떻게 바뀌어야 할까요?
비부비부
일반인이 굳이 깡마른 몸을 선망하는 이유를 모르겠어요. 사회가 바뀌어야 한다고 백날 말은 하지만 오히려 더 심해지는 것을 체감하고 있어요.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모르겠지만 미디어 탓이 크다고 봐요. 국민 건강을 해칠 정도로 마른 몸을 조장하는 방송은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강박
저는 미디어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체형이 다양해져야 한다고 생각해요. 특히 통통한 출연자가 나오면 심한 악플이 쏟아지는데 비만치료제가 대중화되면 비만인을 혐오하는 사회 분위기가 더 심화될 것 같아요. 약이 있는데 왜 비만이냐는 말이 나올까봐 걱정되네요.
민두부
연예인처럼 마르지 않으면 ‘비만’이라는 시각이 바뀌어야 해요. 사람마다 맞는 체형이나 몸무게가 다르다고 생각해요. 무리하게 다이어트하면서 생리불순이나 미주신경성 실신 같은 건강 문제를 겪는 친구들을 많이 봤어요. 마른 몸이 아닌 건강한 몸을 추구하는 분위기가 만들어지면 좋겠어요.
* 어피티는 MZ 맞춤형 경제 콘텐츠를 뉴스레터에 담아 매일 아침 50만 구독자에게 보내는 MZ세대 대표 경제 미디어입니다.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