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뭐냐고? 행복을 주는 놀이지!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AI가 뭐냐고? 행복을 주는 놀이지!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노인 돌봄에도 AI
로봇의 기상 알림에 눈을 뜨고 로봇에 의지해 화장실을 다녀온다. 약 먹을 시간도 로봇이 매일 챙겨주니 잊을 염려가 없다. 왠지 기분이 다운된다 싶을 때 로봇이 말을 걸어온다. 인공지능(AI) 로봇은 이전 대화까지 기억해 내 기분을 살피고 대화를 이어간다. 로봇이 내 감정과 수면 상태, 신체리듬을 실시간 체크해 자녀들이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머지않은 미래, 초고령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 노인가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 될 것이다. 노인 인구는 급증하고 돌봄 인력은 부족한 가운데 그 틈새를 메워줄 대책으로 AI가 주목받고 있다. 그중에서 의미있는 현장을 찾았다.
‘경기도 1호점 AI 시니어 돌봄타운’에서 운영하는 ‘AI사랑방’이다. 경기 포천시 관인면에 있는 이곳은 경기도와 포천시가 조성해 2024년 12월 문을 열었다. 관인면의 노인 인구는 1192명으로 관인면 전체 인구의 47%를 차지해 도내 읍·면·동 중 노인 인구 비율이 가장 높다. 9월 초 찾아간 AI사랑방에는 어르신들이 삼삼오오 모여 있었다.
가장 먼저 테이블 크기의 스크린이 장착된 ‘스마트 터치 테이블’ 두 대가 눈에 띄었다. 학습과 놀이를 담당하는 두 기기는 모두 인지능력을 키우고 치매 예방을 돕는 것이 목적이다. 학습 목적의 ‘씽큐테이블’은 학습자가 문제를 풀면 행동 패턴을 분석하고 좌뇌와 우뇌의 균형, 여덟 개 영역의 시·지각적 인지력 등을 측정해 진단 결과를 알려준다. 놀이목적용은 인지훈련 게임, 인지자극 게임, 인지학습 게임 등 50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고 계속 업데이트할 수 있다.
문제풀이에 집중하고 있던 윤경희(81) 씨는 “색깔 맞추기, 그림 맞추기처럼 문제에 신경 쓰다 보면 치매 예방도 되는 것 같더라”고 말했다.
한쪽에 있는 ‘DDR 댄스매트’ 같은 ‘아하 리듬 매트’ 주변이 시끌벅적했다. 낙상사고 예방 훈련용인 매트는 40개의 사각형 블록으로 구성돼 있고 불빛이 나오는 블록을 따라 춤을 추듯 밟게 돼 있다.
한 어르신이 매트 위에서 팔다리를 흔들며 균형을 잡으려 애를 쓰고 있었다. 그 모습을 지켜보던 또래 어르신이 “그대로 멈춰라!”를 외치며 장난을 쳤다. 옆에서 지켜보는 최규분(82) 씨에게 “AI가 뭔지 아느냐”고 물었더니 “행복을 주는 놀이”라고 답하며 웃었다.
AI사랑방이 문을 연 이후 이곳에서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이경자(71) 씨는 “어르신들이 늘 즐거워하고 고마워하신다. 매트에서 운동하다 보면 다리에 힘도 생기고 낙상 방지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했다.
동작 인식 시스템과 카메라 감지 기술이 적용된 가상현실(VR) 운동학습 시스템도 있다. 큰 화면 속 가상공간에 이용자의 모습이 등장해 닭싸움, 눈금 맞추기, 단체 줄넘기, 꽃 심기, 칠교놀이 등 다양한 신체활동을 하게 돼 있다. 체력운동은 물론 놀이와 퀴즈를 통해 뇌 건강 및 인지 건강에도 도움을 준다.



“AI 인지자극 효과, 많은 자료에 나와”
최근 AI 기반 돌봄 진화 서비스의 치매 개선 효과에 대한 논문을 발표한 김희진 한양대학교병원 신경과 교수는 “AI 기반 인지자극은 분명 효과가 있다. 다만 개인별 지적 능력에 맞는 난이도 조절이 관건”이라며 “지적 능력에 따라 난이도의 차이를 둬야 흥미롭고 도전적인 과제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AI사랑방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용명숙 관인노인복지센터장은 “최근 노인 돌봄은 예방 중심의 건강관리, 비대면 정서 지원, 데이터 기반 맞춤 서비스 등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AI는 어르신의 건강과 감정을 파악해 보다 촘촘한 케어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여가생활 등 정서적 고립 해소를 위한 AI 활용이 확대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경기도는 노인돌봄 정책에 AI를 도입함으로써 선진국에서 추구하는 ‘에이징 인 플레이스(Aging in Place·노인이 자신이 살아온 집이나 지역사회에서 벗어나지 않고 여생을 보내는 것)’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돌봄 수요가 늘어나고 다양화되는 상황에서 재정과 인력의 한계를 AI로 대응하겠다는 취지다. 경기도청 관계자는 “올해 두 군데 시·군(화성시 화산동, 양평군 양서면)을 더 추진하고 있다”며 “올 하반기에 시작해서 선정된 상태고 현재 공간 조성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광주 기자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