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해·지진 등 대비 상반기 ‘안전한국훈련’ 시작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풍수해·지진 등 대비 상반기 ‘안전한국훈련’ 시작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5월 12~23일까지 103개 기관 주관
지역주민 훈련에 직접 참여
훈련 평가 결과 재난 대응 체계 반영

2025년 상반기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이 시작됐다. 행정안전부는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103개 기관 주관으로 5월 12일부터 23일까지 풍수해·지진 등 자연재난 대비를 중심으로 상반기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한다고 5월 11일 밝혔다.
최근 3년간 자연재난으로 특별재난 지역이 선포됐던 서울 관악구, 경기 파주시, 전북 익산시는 풍수해 훈련을 의무적으로 실시한다. 다만 산불 피해가 발생했던 경북 안동시와 의성군, 울산 울주군 지역은 피해 복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훈련이 취소 또는 연기됐다.
이번 훈련에선 현장 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양수기와 수중펌프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활용할 수 있는 장비를 실제로 가동했다. 또 전문가들과 함께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위험 요소를 발굴해 훈련 시나리오에 반영했다. 이와 함께 지역 주민이 대피 및 응급 복구 훈련에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어린이와 노약자 등 취약계층을 보호하는 조치도 함께 점검하고 있다.
행안부는 125명(제5기 재난대비훈련 중앙평가단)의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단을 통해 기관별 훈련 과정에 대한 컨설팅과 평가도 실시한다. 이 평가 결과를 토대로 개선이 필요한 사항은 재난 대응 체계에 반영하고 우수 사례는 관계기관과 공유한다.
주요 기관별 훈련 내용을 살펴보면 산림청은 충청남도, 금산군 등과 함께 산사태 재난에 대비해 산사태 예보발령에 따른 주민 대피훈련과 국민행동요령 교육을 진행한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과 함께 지진 발생 시 일어날 수 있는 댐 붕괴 상황에 대비한 훈련을 실시한다. 하천 하류 지역 주민 대피훈련과 함께 드론과 원격조정무인잠수정(ROV)을 활용한 피해 점검과 긴급 복구 훈련도 진행한다.
한국도로공사는 집중호우로 도로 비탈면이 유실되면 발생할 수 있는 차량 매몰, 또 연쇄 추돌과 기름 유출로 이어지는 복합 재난 상황에 대비한 훈련을 실시한다. 전라남도 곡성군과 한국석유공사는 낙뢰로 인한 석유비축기지 지상탱크 화재 발생과 확산 상황을 가정해 인근 주민 대피와 관계기관 협업 체계를 점검하게 된다.
오병권 행안부 자연재난실장은 “지난 4월 광주 남구 소재 아동병원에서 인명피해 없이 전원이 화재에 대피할 수 있었던 것은 평소 교육과 훈련을 통한 발빠른 대응 덕분”이라며 “재난 발생을 가정해 대응하는 훈련이 위급 상황에서 생명을 지키는 최선의 대비책”이라고 밝혔다.

조동진 기자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