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만에 나타난 ‘10대 괴물’ 스포츠계 흥분시킨 두 선수는 누구?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20년 만에 나타난 ‘10대 괴물’ 스포츠계 흥분시킨 두 선수는 누구?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2005년은 국내 스포츠계의 역사적인 한 해로 기록됐다. 수영에서 박태환, 피겨스케이팅에서 김연아가 동시에 출현한 해이기 때문이다. 박태환은 만 15세 6개월이던 2005년 3월, 제77회 동아수영대회 자유형 남자 200m에서 1분 50초 41로 한국 신기록을 세우며 혜성처럼 등장했다. 김연아는 만 15세 2개월이던 2005년 11월 27일, 체코에서 벌어진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우승하는 쾌거를 달성하며 ‘김연아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 두 스타는 이후 승승장구하며 올림픽 금메달까지 거머쥐었다. 그때까지만 해도 한국 선수가 수영과 피겨스케이팅에서 세계 최고 선수가 된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었다. 국내 스포츠계의 한 원로 인사는 “박태환과 김연아는 한국 스포츠의 돌연변이”라고 평가하기까지 했다.



역대 국내 수영 선수 최고 피지컬 ‘김영범’
이로부터 20년이 흐른 2025년, 한국 스포츠계는 다시 흥분에 휩싸였다. 수영의 김영범과 쇼트트랙의 임종언, 두 명의 ‘10대 괴물 선수’가 함께 등장했기 때문이다. 먼저 19세인 김영범은 3월 25일 열린 KB금융 코리아 스위밍 챔피언십 남자 자유형 100m 결승에서 47초 98의 기록으로 1위를 차지했다. 이 대회는 7월 싱가포르에서 개막하는 2025 세계수영선수권대회 국가대표 선발전을 겸했는데 김영범은 국제수영연맹 기준기록(48초 34)도 통과해 싱가포르행 티켓을 따냈다.
이날 결과가 특히 눈길을 끈 것은 김영범의 뒤를 이어 터치패드를 찍은 선수가 황선우(48초 41)였다는 점이다. 황선우는 서울체고 3학년이던 2021년 7월 열린 2020 도쿄하계올림픽 준결승에서 한국 기록이자 당시 아시아 기록(47초 56)을 세운 이 종목 국내 최강자였다. 더욱 놀라운 것은 김영범의 주 종목이 자유형이 아니라는 점이다. 김영범은 현재 남자 접영 100m 한국 기록(51초 65)을 갖고 있는데 2024년 6월 광주전국수영선수권대회 접영 100m에서는 하루에 두 번이나 한국 기록을 새로 쓰기도 했다.
자유형 100m에서 마땅한 적수가 없던 황선우에게 경쟁자가 생겼다는 것은 한국 수영에도 반가운 일이다. 황선우는 경기 후 김영범의 경기력에 대해 “시즌 초반인데도 엄청난 기록으로 좋은 모습을 보여줬다”면서 “후배가 이렇게 좋은 기록을 내는 걸 보니 더 열심히 해야겠다는 자극이 된다. 한국 수영이 더 올라가는 것 같아 뿌듯하다”고 말했다.
김영범은 최고의 체격까지 갖췄다. 키 195㎝, 윙스팬(팔을 벌렸을 때 양 손끝까지 거리) 216㎝. 수영 선수로서는 더없이 이상적인 조건이다. 과거 중국 수영의 간판스타였던 쑨양은 물론 미국과 유럽의 선수들에게도 체격에서 전혀 밀리지 않는다. 한국 수영 사상 이 정도의 피지컬을 갖춘 선수는 없었다. 그의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것도 이 때문이다.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도 제친 고교선수 ‘임종언’
김영범 등장의 흥분이 채 가라앉기도 전, 빙판에서도 ‘빅뉴스’가 전해졌다.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동계올림픽에 나갈 쇼트트랙 국가대표를 뽑는 대회에서 고교생 유망주 임종언이 1위로 태극마크를 단 것이다. 임종언은 4월 13일 끝난 국가대표 2차 선발전에서 남자 1500m 1위, 500m 3위를 기록했다. 1차 선발전에서는 남자 1500m 1위, 1000m 2위를 차지했는데 1·2차 선발전 종합 랭킹 포인트 102점을 따내 남자부 전체 1위로 꿈에 그리던 올림픽 출전권을 거머쥐었다. 그가 성인 대표팀에 뽑힌 건 이번이 처음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17세의 어린 나이로 쟁쟁한 선배들을 모두 제치고 1위를 차지했다는 점이다. 임종언에 이어 2위를 차지한 선수는 2022 베이징동계올림픽 남자 1500m 금메달리스트 황대헌이다. 최근 몇 년 동안 남자 쇼트트랙 최강자로 불렸던 박지원은 이번 대회에선 대표팀 선발조차 실패했다.
임종언의 등장이 더욱 반가운 것은 그가 기술과 체력은 물론 레이스 운영 능력까지 갖췄기 때문이다. 이번 대회의 백미는 1차 선발전 첫 레이스였던 남자 1500m다. 임종언은 레이스 중반까지 후미에서 기회를 엿보다가 아웃코스로 빠져나와 단숨에 선두를 꿰찬 뒤 전속력으로 질주했다. 임종언의 기세에 당황한 선수들은 뒤늦게 속도를 올렸지만 격차를 좁히지 못했다. 임종언은 “내 최대 강점은 체력”이라며 “코치님이 나 자신을 믿고 해보라고 했는데 체력이 버텨줘 좋은 결과가 나온 것 같다”고 소감을 말했다.
대이변을 일으킨 임종언의 눈은 이제 2026년 2월 개막하는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을 정조준하고 있다. 그가 넘어야 할 상대는 윌리엄 단지누(캐나다)다. 단지누는 2025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세계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 3개와 은메달 1개를 따낸 자타공인 세계 최고의 선수로 2024-2025 월드투어에서도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외국 선수 가운데 경쟁자를 꼽아달라는 말에 임종언은 “현재 국제대회에서 윌리엄 단지누가 월등한 기량을 펼치고 있어 그와 겨뤄보고 싶다”고 말했다. 또한 중국으로 귀화한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과의 경쟁도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는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임효준 선수가 금메달을 따는 모습을 보고 올림픽 출전의 꿈을 키웠다”며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올림픽에서 경쟁한다면 정말 좋을 것 같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두 선수를 모두 꺾을 자신 있느냐는 질문엔 “그저 열심히 준비하겠다”고 답했다.

권종오 SBS 기자
1991년 SBS에 입사해 30년 넘게 축구, 야구, 농구, 골프 등 모든 종목의 스포츠 경기 현장을 누볐다. SBS 유튜브 채널인 ‘스포츠머그’에서 ‘별별스포츠’ 코너를 진행하고 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