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연천현충원’ 첫 삽 2027년까지 5만 기 준공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총사업비 1298억 원, 95만 7000여㎡ 규모
산림 훼손 최소화한 환경친화적 국립묘지 조성
횡성·장흥 호국원 신설 등 안장수요 지속 대비
국립서울현충원과 국립대전현충원에 이은 세 번째 현충원인 국립연천현충원이 첫 삽을 떴다. 국가보훈부는 4월 24일 경기 연천군 신서면 국립연천현충원 조성사업 부지에서 착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착공식에는 강정애 보훈부 장관과 김덕현 연천군수, 보훈단체장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국립연천현충원은 경기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 일대 95만 7000여㎡(약 29만 평) 부지에 봉안당(2만 5000기)과 봉안담(2만 기), 자연장(5000기) 등 총 5만기 규모로 조성된다. 총사업비는 1298억 원으로 2027년 준공이 목표다.
국립연천현충원은 2018년 부지 선정 후 ‘국립묘지법’ 개정과 설계 및 인허가, 토지 보상 등을 거쳐 착공에 이르게 됐다. 특히 국립연천현충원 조성사업은 나무 벌목 등 산림 훼손을 최소화하고 기존의 논밭을 중심으로 공사를 진행하는 등 환경친화적으로 추진된다.
현충원 안장 대상자는 대통령과 순국선열, 애국지사, 전상군경, 공상군경 등이다. 현재 국립묘지 안장 대상자는 34만여 명에 달하지만 안장 여력은 11만 기로 23만여 기의 봉안 시설이 부족한 상황이다. 국립연천현충원 조성이 완료되면 수도권 거주 국가유공자 등의 원활한 안장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보훈부는 국립연천현충원과 국립횡성·장흥호국원(3만 3000기) 신규 조성을 비롯해 올해 국립영천·임실·이천호국원 봉안시설 확충 사업을 통해서도 10만여 기를 확보할 계획이다.
강정애 보훈부 장관은 “국가를 위해 헌신하신 분들의 마지막을 국가 차원에서 예우를 다해 모시기 위한 국립연천현충원의 착공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며 “국가보훈부는 국립연천현충원이 국가유공자분들을 품격있게 예우하는 ‘안장·추모 공간’은 물론 국민이 일상에서 즐겨 찾는 ‘보훈문화 공간’, 그리고 미래세대들이 호국영령의 나라사랑 정신을 배우는 ‘교육 공간’이 되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강정미 기자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