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공원’ 자체가 소통입니다”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최준영 법무법인 율촌 전문위원 인터뷰
“다른 수식어는 필요 없습니다. ‘용산공원’ 네 글자가 곧 소통이니까요. 시민들이 잔디밭에 앉아 대통령과 집무실을 바라볼 수 있으면 충분합니다.”
최준영(50) 법무법인 율촌 전문위원은 “시민 누구나 언제든 와서 누리고 즐기면 그 자체가 소통의 공간”이라며 “역사, 생태 같은 수식어를 끼워 넣거나 조형물 등으로 공원의 상징성을 강조하다 보면 정작 가장 중요한 소통의 의미를 퇴색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대 조경학과와 동 대학 환경대학원을 졸업한 최준영 전문위원은 공학박사로서 환경, 지역개발, 산업정책, 건축과 조경 등 다방면의 전문가다. 유튜브 채널 ‘지구본연구소’를 운영하며 세계 곳곳을 다방면으로 소개하는 등 글로벌한 시야를 자랑한다. 특히 도시에서 공원의 의미와 역할에 조예가 깊다. 윤석열 대통령이 용산 집무실 시대를 선언하며 시민과 소통을 넓히기 위해 집무실이 있는 국방부 청사를 중심으로 303만㎡ 규모로 용산공원 조성을 약속한 것을 높이 평가하는 까닭이다.
그는 “도심의 공원은 산업혁명 이후 도시 발전에 따라 등장한 산물로 공공 공원(퍼블릭 파크)이라는 공원 명칭에서 보듯 원래 왕족이나 귀족이 보유하고 있던 토지를 공공에 개방해 누구든지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한 데서 비롯됐다”며 “용산공원은 그 어떤 수식어나 조형물을 내세우지 않아도 서울 도심의 빼곡한 고층 건물 사이에 시민들의 휴식 공간을 더구나 소통을 위해 만들었다니 환영할 일”이라고 말했다.
‘모두의 공원’일 때 소통의 의미 두 배
1987년 민주화운동 이전까지 대통령과 집무실은 국민이 다가가기 힘든 대상이었다. 이후 대통령과 시민 사이의 거리가 좁혀졌지만 대통령은 여전히 무겁고 먼 존재였다. 용산시대 개막으로 이제 그 담장마저 허물어졌다.
최 전문위원은 “윤석열 대통령의 집무실 이전과 맞물려 용산공원을 조성하기로 한 것은 국민에게 한 걸음 더 다가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며 “용산공원을 어떻게 꾸밀 것인지보다는 또 하나의 새로운 소통 공간이 조성된 점, 그 자체로 ‘공원’의 의미가 있다는 점에 더 주목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전 정부에서는 용산공원 부지를 민족역사공원, 생태공원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추진했다. 여기에 집무실 이전으로 ‘소통’, ‘탈권위’ 의미까지 가미시켜야 하는 상황이다. 기존 계획 수정이냐, 재검토냐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일 수밖에 없다. 최 전문위원은 “전면 재수정할 필요까지는 없다”며 “역사, 생태, 공연, 체육, 휴식 등 따로 또 같이, 다양한 활동 안에서 시민들이 소통과 탈권위를 느낄 수 있게 만들면 된다”고 설명했다.
용산공원 조성계획에는 기존에 조성된 용산가족공원 외에 이미 반환됐거나 반환될 주한미군 기지 터까지 포함돼 있다. 이번 임시 개방을 계기로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주한미군 부대 내 플라타너스 가로수길, 미군 장교 숙소와 놀이터 등 조경과 건물이 주목받았다. 1960~1970년대 미국의 한적한 시골 마을을 옮겨놓은 듯한 이국적인 풍경 덕분에 벌써 누리소통망(SNS) 포토존, 서울의 명소로 떠올랐다. ‘굳이 다 헐어버릴 필요가…?’ 몇몇 시민은 안타까움을 표시하기도 한다.
최 전문위원은 “용산공원은 서울과는 전혀 다른, 역사의 흔적과 이국적인 모습이 남아 있기에 보존 가치가 높은 편”이라며 “생태적·미학적 가치에 배치될 수 있겠지만 용산공원을 특정 색깔로 칠해버리지 않아도 되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단기간에 완성된 공간의 형태를 만들기보다는 오랜 시간을 두고 자연스럽게 공원의 모습을 갖춰가는 것. 최 전문위원이 바라는 ‘소통’, ‘탈권위’를 지향하는 용산공원의 미래다. 그는 “서울숲공원이든, 일산호수공원이든, 분당중앙공원이든 공간마다 사연이 있지만 이를 인지하고 방문하는 시민은 거의 없다”며 “민족, 역사, 생태 등을 부여하는 게 의미가 있을 수 있겠으나 진정한 소통의 공원을 꾀한다면 인공적인 것은 배제한 넓은 공원, 즉 ‘시민을 위한 광장이나 캠퍼스’면 좋겠다”고 말했다.
“어떤 건축이든 조경이든 단기간에 오래되고 낡은 것을 새것으로 계획대로 순조롭게 진행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인식이 팽배합니다. 용산공원 조성 과정에서 가장 우려하는 점이죠. 일본, 미국 군대가 사용해 개발의 소용돌이에서 살아남았고, 그 자체가 역사의 현장이며 얽힌 사연이 많은 기존 용산공원만이 가진 차별성까지 없애면서 기존 공원의 판박이로 만드는 것은 지양했으면 합니다.”
대통령 집무실을 한눈에… 상징성 ‘충분’
최 전문위원은 “기존의 조경과 건물을 모두 철거하고 그곳에 기념관, 도서관, 공연장 등을 새로 지을 이유도 없다”고 말했다. 그 자체가 용산공원이 가진 개성과 특색을 무색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당장 모든 것을 갖춘 공간이라기보다는 최대한 자연스럽게 인공적인 것들을 배제하고 30~100년을 내다보고 천천히 자연스럽게 만들어가는 공원이길 바란다”고 했다.
더구나 공원은 시대에 따라, 시민들의 이용 유형과 요구 사항에 따라 바뀔 수 있다. 현재의 판단이 100% 옳거나 가치가 있으며 미래세대도 당연하게 환영할 것이라고 장담하기 힘들다. 일례로 여의도광장은 조성 30년 만인 1997년 식물원, 폭포식 정원, 마당놀이 공연장, 만남의 광장 등을 갖춘 대단위 공원으로 탈바꿈했다. 시민들의 변화된 요구를 반영한 결과다.
‘성급하지 말 것’, ‘쓸데없는 상징이나 시설물을 만들지 말 것’. 소통의 용산공원을 바라는 최 전문위원의 두 가지 바람이다.
“이미 용산공원은 대통령 집무실을 볼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상징성을 갖고 있어요. 더 나아가 진정한 소통을 위한 공원이 되려면 시민들의 요구를 반영해 100년에 걸쳐 변형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면 어떨까요? 이럴 때는 이런 활동, 저럴 때는 저런 주제가 있는 공간이 되는 용산공원, 그 자체가 소통의 역사이자 하나의 기록이 될 수 있어요.”
글 김미영 기자, 사진 곽윤섭 기자
[자료제공 :(www.korea.kr)]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