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얼빈 울린 총성의 순간 디지털로 생생하게 살아나다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안중근의사기념관 재개관
“탕, 탕, 탕.”
1909년 10월 26일 오전 9시경. 만주 하얼빈역에서 세 발의 총성이 울려퍼졌다. 일제의 한반도 침탈을 주도했던 이토 히로부미를 향해 안중근 의사가 쏜 총소리였다. 이토는 안 의사가 쏜 총에 맞아 사망했다.
안 의사는 이토를 처단한 후 곧바로 체포돼 일본 관헌에 넘겨졌다. 뤼순감옥에 수감된 안 의사는 일제의 형식적인 재판을 거쳐 사형을 선고받았고 1910년 3월 26일 31세 나이로 순국했다. 안 의사는 국권이 회복되면 유해를 조국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하지만 일제는 안 의사의 유해를 유가족에게 돌려주지 않고 비밀리에 형무소 뒷산에 매장했다. 안 의사의 유해는 광복 80주년을 맞은 현재까지도 어디에 묻혔는지 모른 채 조국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
제106주년 3·1절을 맞아 안 의사의 삶과 정신을 자세히 들여다보기 위해 서울 중구 남산공원에 있는 ‘안중근의사기념관(이하 기념관)’을 찾았다. 2010년 문을 연 기념관은 광복 80주년 3·1절을 맞아 디지털 전시물을 대폭 확대하는 등 재단장을 마치고 3월 1일 재개관했다.
국가보훈부는 2024년 10월부터 윤봉길의사기념관과 안중근의사기념관, 백범김구기념관의 디지털 전시공간 조성사업을 진행해왔다. 2월 24일에는 윤봉길의사기념관이 재개관했고 백범김구기념관은 4월 새롭게 문을 연다.
남산공원에서 만나는 안중근의 삶
수도권 전철 4호선 회현역에서 옛 남산 힐튼호텔 뒤편을 지나면 백범광장이 나온다. 백범광장에는 백범 김구 선생과 이시영 선생의 동상이 있다. 이곳에서 100여 개의 계단을 오르면 기념관이 나온다. 기념관이 있는 남산공원에선 독립운동과 관련된 인물과 공간을 자주 찾을 수 있다. 남산공원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식민 지배의 상징으로 건립한 조선신궁이 있던 자리다. 아픈 역사의 흔적 위에서 만나는 독립 영웅이 더욱 의미 있게 다가온다.
기념관 앞에는 재개관을 기념하는 현수막이 나부끼고 있었다. 안 의사 동상과 유묵(遺墨·생전에 남긴 글씨나 그림)을 새긴 기념비도 눈에 들어왔다. 가장 눈길을 끄는 건 유리로 된 12개의 직사각형 기둥을 이어놓은 듯한 건물이다. 이 건물은 1909년 안 의사와 함께 손가락을 잘라 ‘단지동맹(斷指同盟)’을 결성한 12인을 상징한다.
기념관 입구는 지하 1층에 있다. 기념관에 들어서면 로비에 있는 안 의사의 대형 동상과 마주하게 된다. 기존에는 안 의사의 좌상 뒤로 ‘대한독립’이라고 쓰인 태극기가 걸려 있었다. 안 의사가 11명의 항일투사와 단지동맹을 결성하고 왼손 약지를 잘라 혈서로 ‘대한독립’을 새긴 것이다. 지금은 이 태극기 대신 대형 발광다이오드(LED) 화면을 설치해 안 의사의 유묵과 영상 등을 송출하고 있다. 크기만으로도 압도되는 안 의사의 동상과 다양한 영상이 어우러져 웅장함이 느껴졌다.
독립운동과 단지동맹
이제는 전시실을 둘러볼 차례다. 지하 1층에 있는 제1전시실은 안 의사 출생 전후의 시대배경을 시작으로 어린 시절과 성장 과정, 안 의사 가문의 독립운동 등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돼 있다. 안 의사는 1879년에 태어났는데 당시 조선은 역사적인 전환기를 맞고 있었다. 1876년 강화도조약에 이어 임오군란(1882), 갑신정변(1884), 동학농민운동(1894), 청일전쟁(1894~1895), 을미사변(1895), 아관파천(1896), 러일전쟁(1904~1905) 등 역사적 사건이 연이어 일어났다. 러일전쟁이 끝나고 1905년 11월 17일 일본의 강요로 을사늑약이 체결되면서 대한제국은 사실상 일본의 식민지 상태에 빠지고 말았다. 안 의사는 이를 계기로 독립운동에 투신하게 된다.
이런 역사적 배경과 함께 안 의사의 가족 이야기도 볼 수 있다. 안 의사의 든든한 버팀목이었던 어머니, 조 마리아 여사는 하얼빈 의거 이후 사형선고를 받은 아들에게 “네가 항소한다면 그것은 일제에 목숨을 구걸하는 것”이라는 말을 전한 것으로 유명하다.
안 의사에 못지않게 독립운동에 헌신했던 어머니를 따라 안 의사의 두 동생 정근, 공근 역시 독립운동에 나섰다. 다른 친인척들도 대한민국임시정부와 한인애국단 등에서 활동한 것을 볼 수 있다. 안 의사 가문은 대한민국에서 독립유공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독립운동가의 명가로 평가받는다. 3대에 걸쳐 총 16명이 독립운동 공로를 인정받아 정부로부터 포상을 받았다.
전시는 1층에 있는 제2전시실로 이어진다. 이곳에선 독실한 천주교 신자였던 안 의사의 삶과 국내에서의 교육·계몽 활동, 국외 망명 이후의 의군 활동과 단지동맹에 관한 내용을 전시하고 있다. 가장 눈길을 끄는 건 1909년 11명의 항일투사와 단지동맹을 결성하는 장면을 재현한 화면이었다. 어두운 밤, 방 안에 모인 12명이 손가락을 잘라 대한독립을 맹세했던 순간을 드라마처럼 연출했다.
하얼빈역에서 걸려온 전화
2층에 있는 제3전시실은 안 의사의 하얼빈 의거에서 순국에 이르는 과정을 자세히 다루고 있다. 하얼빈 의거 계획 과정부터 의거 장면, 법정 투쟁과 뤼순감옥을 재현해놓은 공간들이 이어진다. 이토가 탄 기차가 하얼빈역에 들어오고 러시아 의장대를 사열하는 그를 저격하는 안 의사를 영상으로 볼 수 있다. 총소리가 울리는 순간 화면이 꺼지고 안 의사의 총에 쓰러진 이토와 주변 사람들을 재현한 모형 위로 조명이 켜진다. 디지털 화면과 모형을 활용한 드라마틱한 연출에 관람객들의 감탄이 이어졌다. 실제로 하얼빈 의거 장면을 찍은 영상과 안 의사가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권총 등도 볼 수 있어 실감나는 전시였다.
하얼빈 의거 30분 전, 거사를 앞두고 안 의사의 심경과 각오를 들어볼 수 있는 ‘하얼빈역에서 걸려온 전화’라는 코너도 인상적이었다. 1900년대 사용했을 법한 아날로그 전화를 들면 안 의사의 목소리가 들려온다. “지금 나는 이토를 기다리기 위해 하얼빈역 찻집에 있소. 이토를 제대로 알아보고 일을 거행할 수 있을지 걱정되오. 그러나 기회는 오직 이때뿐! (중략) 반드시 이 거사를 성공시켜 이 머나먼 외국 땅에서 당당하게 대한만세를 외칠 것이오. 아, 열차가 도착하고 있군. 이만 가보겠소.” 수화기 너머 두렵지만 반드시 거사를 성공시키겠다는 안 의사의 강한 의지가 느껴졌다.
이토를 저격한 15가지 이유를 당당하게 이야기하는 재판 장면도 놓치기엔 아쉽다. 기존의 전시와 달리 영상으로 연출해 안 의사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이어 사형선고를 받고도 뤼순감옥에서 저술한 자서전과 ‘동양평화론’ 등의 저술, 유언을 남기는 장면, 어머니와 형제들에게 남긴 유서 등 안 의사의 마지막 자취를 영상과 전시로 만날 수 있다.
제3전시실에서 나오면 기획전시실과 체험존이 이어진다. 기획전시실에선 서예가로도 탁월한 재능을 보였던 안 의사의 유묵을 볼 수 있는 특별전이 열리고 있다. 바로 옆 체험존에서는 인공지능(AI)으로 재현한 안 의사와 대화하기, 안중근 유묵 찍어보기, 엽서 만들기 등 다양한 체험도 해볼 수 있다.
강정미 기자
안중근의사기념관
주소 서울 중구 소월로 91
운영시간 월요일 휴무, 매주 화~일요일 오전 10시~오후 6시
관람료 무료 | 문의 (02)3789-1016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