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솔직히 이야기해 볼까요?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연봉, 솔직히 이야기해 볼까요?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연봉, 솔직히 이야기해 볼까요?
연봉은 직장인 누구에게나 중요한 문제지만 쉽게 꺼내기 어려운 주제이기도 해요. 친구들 사이에서도 연봉 이야기를 하는 게 조심스러울 때가 많고 회사에서도 연봉 협상이 투명하게 이뤄지지 않는 경우도 있거든요. 요즘은 연봉뿐만 아니라 워라밸, 복지, 근무환경 같은 요소도 직장 선택에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죠. 그래도 직장인 대부분은 여전히 연봉이 직장 만족도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말해요. 연봉 만족도는 생활 수준은 물론 일에 대한 성취감으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앞으로 커리어에도 큰 영향을 미치니까요. 이번 생생 MZ 톡에서는 지금 받고 있는 연봉에 대한 만족도부터 직장 선택에서 연봉 외에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까지 연봉에 관한 현실적인 이야기를 나눠봤어요.

참가자
독고(28세, PM)
안주(31세, 사무직)
프로도(35세, 회계직)
BOO(26세, 연구원)
네오(30세, 연구원)
HR(29세, 사무직)
HH(31세, 기술직)


Q. 현재 받고 있는 연봉에 대해 만족하나요?

독고
일하는 강도에 비례해서 받고 있다고 생각해요. 친구들 연봉과 비교해보면 평균 수준인 것 같은데 소비를 크게 하지 않아서 생활하는 데 큰 불편은 없어요. 거주비 80만 원 이상, 식비 25만 원, 용돈 60만 원 정도로 분배해서 생활하고 남은 돈은 저축해요.

프로도
“친구들과 비교하면 높지도 낮지도 않은 수준이에요. 업무 강도에 비해서는 적절한 연봉을 받고 있지만 부족하다고 느끼기는 해요. 내 집 마련의 꿈을 위해서는 가능하다면 더 일하는 한이 있더라도 많은 돈을 벌고 싶거든요.”

HR
“지금 연봉에 만족하지 못해요. 최근 회사에서 직급을 통일하면서 경력 불문 동일한 연봉을 받게 됐어요. 경력직들은 당연히 더 복잡한 업무를 맡고 실무적인 책임도 큰데 신입과 같은 대우를 받으니 허탈하더라고요.”

안주
지금 하는 업무 강도를 고려하면 만족하는 편이에요. 연봉이 높을수록 일도 많아지고 막중한 책임감이 따르기 때문에 현재의 워라밸과 복지를 고려하면 불만은 없어요.

BOO
연봉 만족도의 기준이 다를 텐데 다들 어떤 기준으로 평가하는지도 궁금하네요. 제 경우에는 현재의 연봉으로 제가 원하는 삶을 유지할 수 있는지가 가장 중요한 것 같아요. 저는 연령대·업계 평균에 비해 많이 받는 편이지만 만족스럽지는 않아요. 생활 수준을 높이고 싶다는 욕심이 들거든요. 좀 더 여유롭게 소비하고 저축도 안정적으로 하고 싶어요.

Q. 연봉 인상을 위해 협상을 했거나 이직을 고민해본 적이 있나요?

프로도
“지금 재직 중인 회사에서는 매년 연봉 협상을 진행해요. 그리고 제가 요구하는 사항이 어느 정도 반영돼요. 하지만 이전 회사에서는 직급별 연봉이 통일돼 있어서 협상이 불가능했죠. 결국 원하는 만큼 연봉 인상이 안돼 이직했어요.”

HR
“연봉 협상은커녕 일방적으로 통보를 받아요. 회사가 불경기를 이유로 협상을 거부했고 최저시급 상승률만큼만 연봉이 올랐어요. 회사가 직원을 충분히 존중하지 않는다고 느껴져서 이직을 준비 중이에요.”

안주
업무 강도와 연봉 둘 다 만족하지 못해서 이직했어요. 중소기업에 다니다가 지방 공기업으로 이직했는데 몸은 편해졌지만 연봉이 크게 오르지는 않아서 아쉽네요. 다만, 소득이 적어서 행복주택 거주 조건을 충족했고, 덕분에 마음에 드는 집에서 살고 있답니다.

네오
지금 회사에서는 연봉 협상의 기회조차 주지 않아요. 전년도 평가 결과에 따라 연봉이 통보되는 방식이라 이직을 고민해보긴 하는데 동종 업계에서 회사별 연봉 차이가 크지 않아 망설이고 있어요.

Q. 직장을 고를 때 월급 외 중요하게 보는 요소는 무엇인가요?

BOO
처음에는 연봉만 높으면 만족스러울 거라고 생각했는데 복지가 얼마나 잘 갖춰져 있는지도 중요한 요소라고 느껴요.
특히 유연근무제나 교육비 지원 같은 복지 혜택은 업무 부담도 줄이고 개인 성장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하게 생각해요.

독고
“저는 연차를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분위기인지가 중요해요. 연 2~3회 해외여행을 가고 취미생활과 운동도 꾸준히 하는데 회사 때문에 제 여가활동을 포기하고 싶지는 않아요. 그리고 식대 지원은 필수예요. 돈 벌러 가서 돈 쓰는 느낌이거든요.”

프로도
“저는 직주근접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요. 같은 조건이라면 연봉이 500만 원 낮더라도 걸어서 출퇴근할 수 있는 회사를 선택할 거예요. 구내식당도 중요한 조건이에요. 회사 복지 차원에서 자사몰 포인트를 월 10만 원씩 받고 있는데 생필품을 구매할 수 있어서 매우 만족스러워요.”

HH
직장을 고를 때는 기본 근무 환경이 얼마나 잘 관리되고 있는지를 먼저 봐요. 특히 휴게실이나 화장실 상태부터 확인하는 편이에요. 기본적인 시설조차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곳은 다른 부분에서도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거든요. 직원 복지를 신경 쓰지 않는 기업은 업무 환경도 좋지 않을 확률이 높으니까요.

*어피티는 MZ 맞춤형 경제 콘텐츠를 뉴스레터에 담아 매일 아침 50만 구독자에게 보내는 MZ세대 대표 경제 미디어입니다.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