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곳당 10년간 1000억 투자 대학부설연구소 키운다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국가연구소 사업 9월부터 본격 시행
국내 대학 연구 역량 획기적 개선
세계 최초·최고 수준 연구소 육성 목표
세계적 수준의 연구를 선도할 4곳의 대학부설연구소를 선정해 1곳당 10년간 약 1000억 원을 지원하는 ‘국가연구소(National Research Lab 2.0)’ 사업이 본격 시행된다. 2월 10일 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대학의 연구 역량과 연구지원체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며 국가연구소 사업 추진 계획을 구체적으로 밝혔다.
부처·학문·주체 간 경계 허물기
국가연구소 사업은 국내 대학의 글로벌 연구 경쟁력이 뒤처지고 학령인구 감소와 해외 인재 유출 등으로 혁신적 연구생태계 구축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마련됐다. 해외 대학의 경우 우수한 대학연구소를 거점으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융복합·대형 연구에 매진해 혁신적 연구 성과를 내고 있는 반면 국내 대학은 융복합 연구 수행이 부족하고 대규모 연구를 위한 임계규모 이상의 연구소 기반이 미비하다. 2024년 한국연구재단이 발표한 ‘우리나라 대학 연구소 전임연구원 현황’에 따르면 전임연구원이 없는 곳이 43%에 달한다.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가 모여 연구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다. 연구비 지원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부처별로 지원이 분산돼 대형·융복합 연구 수행이 어렵다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이에 교육부와 과기정통부는 국가연구소 사업의 기획부터 추진, 성과 관리까지 전반에 걸쳐 협업한다는 방침이다. 양 부처는 세계 최초·최고 수준의 연구를 선도하는 대학부설연구소를 육성하겠다는 목표 아래 ▲세계 최고 지향 ▲벽 허물기 ▲연구 시스템 혁신 등의 추진 전략을 내놨다.
먼저 탁월한 연구를 이끌 대학부설연구소를 선정해 장기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부처·학문·주체 간의 경계를 허물어 연구소의 지속가능한 운영과 발전을 위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병행하고 대학 내 학과 및 외부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활성화한다. 대학별 자율적 투자를 보장해 연구·인력·시설 등을 패키지 형태로 지원하고 각 대학의 발전 전략과 연계해 독창적인 연구 혁신 시스템을 구축한다.
지원 대상은 이공 분야 대학부설 연구소다. 기존 연구소를 재편하거나 신설해 신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연구소 역량 및 발전계획, 대학의 연구소 육성 의지 등을 평가해 2025년 선정된 연구소는 9월부터 사업을 시작한다. 연구소는 올해부터 매년 4곳씩 3년간(2025~2027년) 12곳을 선정할 계획이다. 해마다 연구소별로 100억 원 이내(교육부 50%, 과기정통부 50%)에서 지원할 예정이나 사업 시행 첫해인 올해는 사업이 하반기부터 시작되는 점을 감안해 50억 원을 지원한다.
국가연구소는 대학본부 소속 직할 연구소로 운영된다. 겸임 교원 및 전임연구원, 행정지원 인력 및 장비 엔지니어, 박사후연구원 등으로 인력을 구성한다. 교육부와 과기정통부는 이번 사업 추진에 맞춰 기존 연구소 지원과 집단연구 사업도 계속 지원한다. 교육부는 ‘대학 연구혁신 프로젝트(URI)’를 추진하고 과기정통부는 연구 주제별·집단별 맞춤형 지원체계를 더욱 고도화해나간다.
이근하 기자
[자료제공 :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