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는 쌀 해결하고 건강 챙기고 가루쌀빵이 나섰다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남는 쌀 해결하고 건강 챙기고 가루쌀빵이 나섰다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2022년 우리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은 56.7㎏으로 1963년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30년 전인 1992년(112.9㎏)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한국인은 밥심으로 산다’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다. 쌀 소비량이 줄어드는데도 국내 쌀 공급량은 여전하다. 어쩔 수 없이 남는 쌀이 많아진다. 쌀 가격이 계속 떨어지는 이유다.
반면 빵이나 라면과 같은 밀 소비량은 꾸준히 늘고 있다. 2022년 국민 1인당 밀 소비량은 36.9㎏으로 쌀 소비량의 절반이 넘는다. 문제는 국내 밀 자급률이 1%에 불과하다는 사실이다. 부족한 밀은 수입에 의존한다. 매년 수입되는 밀은 200만 톤에 달한다. 전쟁이나 환율 상승으로 가격이 올라도 부르는 값에 밀을 사와야 하는 실정이다. 이는 물가에 바로 영향을 미친다.
쌀 공급 과잉과 밀 자급률 향상이란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가루쌀’이다. 가루쌀은 물에 불리지 않고 바로 빻아 가루로 만들 수 있는 쌀로 밀가루를 대체하기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일반 쌀을 재배하는 논에서 그대로 키울 수 있고 재배 기간도 3개월 반밖에 걸리지 않아 이모작이 가능하다. 기존 논을 기반으로 활용이 가능해 농민의 부담이 적다.
재배와 가공이 쉬운 가루쌀로 각종 식품류를 제조하면 자연스럽게 밀 수입이 줄고 국내 식량 자급률도 높일 수 있다. 정부가 가루쌀 재배와 가공에 본격 시동을 건 이유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3년 가루쌀 전문재배단지 육성과 가루쌀을 활용한 고품질 제품 개발 등 가루쌀 산업 활성화에 107억 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이를 통해 2027년까지 수입 밀가루 수요의 10%를 가루쌀로 대체한다는 계획이다.



삼양식품·SPC…가루쌀 상품화 본격화
정부는 우선 가루쌀 생산에 힘을 쏟고 있다. 2022년 100헥타르(㏊)에 불과했던 가루쌀 재배면적을 2000㏊로 확대, 전문 생산단지를 조성했다. 2024년에는 이 규모가 1만㏊로 더 늘어난다. 농식품부는 2026년까지 4만 2000㏊ 규모의 가루쌀 전문 생산단지를 조성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2027년까지 가루쌀 20만 톤을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농식품부는 가루쌀 재배단지로 선정된 경영체에 단지 공동운영과 재배 확대에 필요한 교육·컨설팅을 지원하고 발전 가능성이 높은 경영체에는 공동육묘장, 농기계 등 가루쌀 생산 확대에 필요한 시설·장비를 지원했다.
2023년 생산되는 가루쌀 1만 톤으로 본격적인 상품화에 나섰다. 농식품부는 이를 위해 지난 3월 신제품 개발에 참여할 식품업체 15개사와 제품 19개를 선정했다. 면, 빵, 과자류 등이 신제품 개발 품목으로 농심, 삼양식품, 하림산업, SPC삼립, 해태제과, 풀무원 등 다양한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아울러 쌀가루 산업의 소비판로를 확대하기 위해 ‘가루쌀빵 신메뉴 품평회’를 열고 가루쌀로 빵을 만드는 동네빵집(제과업체) 19곳을 선정, 시상과 함께 소비 확대에 나섰다. 농식품부는 2023년 15개 식품기업의 19개 가루쌀 제품 개발과 동네빵집 19곳의 45개 새로운 메뉴 개발을 지원하고 있는 만큼 2024년에는 가루쌀 수요가 더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여름철에 가루쌀을 재배하면 1㏊당 100만 원, 밀이나 조사료까지 함께 심으면 최대 총 250만 원을 지원하는 ‘전략작물직불제’를 지난 1월부터 시행 중이다. 제도 시행에 따라 논에서 밀, 논콩, 가루쌀 등 전략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인, 농업법인에 총 1121억 원을 지원한다. 아울러 농업직불제 확대 개편을 통해 직불금 관련 예산을 2023년 2조 8000억 원에서 단계적으로 확대해 2027년 5조 원까지 늘리기로 했다.

‘가루쌀빵지순례’ 기획도
최근에는 소비자들이 가루쌀로 만든 빵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가루쌀 팝업스토어’와 ‘가루쌀과 함께하는 건강한 빵지순례’ 행사도 열었다. 지난 8월 17~19일 서울 서초구 신세계백화점 강남점 지하 1층 식품관에서 열린 가루쌀빵 팝업스토어가 그것이다. 대전 성심당 등 지역의 유명 베이커리를 비롯해 가루쌀빵을 만드는 21개 업체의 가루쌀빵 45종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자리였다. 이곳에서 처음 가루쌀빵을 접했다는 정혜영(39) 씨는 “밀가루로 만든 빵과 식감이나 맛이 큰 차이가 없다”며 “종류도 다양하고 맛도 좋아서 기회가 되면 자주 사먹고 싶다”고 말했다.
팝업스토어가 아니라도 소비자들이 가루쌀빵을 접할 수 있도록 빵지순례 행사도 기획했다. 8월 17일부터 4주간 전국 21개 빵집에서 가루쌀빵을 구매한 뒤 누리소통망(SNS)에 후기나 댓글을 남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상품을 지급하는 이벤트를 진행했다. 가루쌀빵을 판매하는 빵집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빵지순례 지도도 만들었다. 지도를 보며 가루쌀빵지순례를 떠나도 좋겠다. 건강하고 맛있는 빵을 찾아 떠나는 색다른 순례다.



1. 서울
그랜드 하얏트 서울 더 델리

서울 용산구 소월로 322
망고코코넛롤, 약과피낭시에, 연유쌀바게트,
초콜릿쌀바브카 등

하이그라운드제빵소
서울 강북구 삼양로181길 161
클래식미(米)브레드, 가루미르빵, 쌀쉬폰,
홍국슈크림빵, 우리쌀소금빵 등

Cafe&Bakery뚜르몽드
서울 노원구 노원로 43
가나슈초코롤케이크, 화이트쌀쉬폰카스텔라,
쌀누룽지파이, 영양찹쌀빵 등

2. 인천
까레몽베이커리
인천 남동구 예술로 172
쌀한과쿠키, 쌀몽블랑, 쌀베이글, 인천주악 등

토모루
인천 남동구 논고개로 87
피스타치오카스텔라, 고구마쌀빵, 쌀꽈배기,
단호박쌀빵 등

3. 경기
홍종흔베이커리
경기 오산시 외삼미로 162-32
휘난세크로캉, 쿡살라미할라피뉴, 쌀소금빵, 먹물피자빵 등

이학순베이커리
경기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252
벌꿀카스텔라, 우리쌀캄파뉴, 쇼콜라카스텔라 등

삐에스몽테제빵소
경기 수원시 권선구 오목천로 149
구운쌀도넛과 다양한 글레이즈, 고르곤쌀빵, 구운쌀케이크, 소금빵 등

에센브로트 프리미엄 베이커리
경기 의정부시 오목로 219
쌀BAP마들렌, 배쌀카스텔라, 쌀앙버터 등

브래드팩토리망캄 율동점
경기 성남시 분당구 새마을로 107
말차카스텔라, 에그치즈식빵

4. 충남
하루베이커리
충남 아산시 용화로 48번길 4-10
카레도넛, 생크림팥도넛 등

5. 세종
세종명가쌀빵
세종시 다솜1로 184
쌀복숭아빵, 까망쌀빵, 통무화과쌀빵, 밤식빵 등

6. 충북
진천쌀빵 미잠미과
충북 진천군 이월면 미리실길 125
쌀육해공, 쌀카스텔라, 쌀눈쌀식빵, 쌀크로와상 등

바누아투과자점
충북 청주시 흥덕구 복대동 292-18
요거트쌀카스텔라, 쌀레몬케이크, 구운쌀꽈배기 등

7. 대전
성심당 본점
대전 중구 대종로480번길 15
쌀쉬폰, 김치볶음빵, 초코미마들렌, 마라미고로케 등

하레하레베이커리카페 도안점
대전 서구 원도안로 26번길 13
쑥설기, 쌀치즈카스텔라, 밀크노아, 푹신푹신쌀빵 등

콜마르브레드
대전 유성구 죽동로297번길 12
쌀카스텔라, 쌀휘낭시에, 쌀마들렌, 쌀치즈퐁당,
쌀과일바구니 등

8. 광주
브레드세븐 일곡점
광주 북구 설죽로 506-4
쌀콩쌀콩, 누룽지소금빵 등

9. 경남
김태민발효쌀빵
경남 진주시 남강로309번길 44
쇼콜라카스텔라, 용암비스켓 등

10. 대구
르배
대구 수성구 화랑로8길 11-11
허니쌀카스텔라, 쌀크림치즈팥빵 등

11. 부산
라이스베이커리
부산 기장군 정관읍 구연로 22
쌀보리카스텔라, 쌀크림치즈파운드, 귀리쌀건강빵 등

강정미 기자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