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초혼연령 남성 33.7세·여성 31.3세…전년보다 상승
작성자 정보
- 증권 작성
- 작성일
본문
지난해 1인 가구가 전년 대비 4.7% 증가한 750만 2000가구로 집계됐다. 남성은 30대(22.0%)·여성은 60대(18.3%)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초혼 건수는 지난해 14만 8000건으로 전년 대비 0.6% 감소, 특히 평균초혼 연령은 남성 33.7세, 여성 31.3세로 전년 대비 각각 0.3세, 0.2세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가족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을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조사는 제28회 양성평등주간을 기념해 변화된 사회상을 반영한 남녀의 모습을 부문별 통계로 살펴보기 위해 이뤄졌다.
◆ 1인 가구 4.7% 증가…평균초혼 연령 남성 33.7세·여성 31.3세
2023년 전체 인구는 5155만 8000명으로, 전년 대비 0.1%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로는 50대 남성(16.7%)과 여성(16.5%)이 가장 많고, 전년 대비 80세 이상의 증가율이 남성 8.7%, 여성 6.3%로 가장 높았다.
2023년 여성이 가구주인 가구는 746만 7000가구로 전체 가구의 34.2%이고, 전년 대비 0.5%p 증가했다.
지난해 1인 가구는 750만 2000가구로 일반 가구의 34.5%이며, 2021년 대비 33만 6000가구(4.7%)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남성 1인 가구는 30대(22.0%), 여성은 60대(18.3%)가 가장 많았고 65세 이상의 노인 1인 가구는 197만 4000가구로 2021년 대비 8.2% 증가했다.
아울러 지난해 맞벌이 가구는 584만 6000가구로 유배우 가구 중 46.1%이었으며, 40대(55.2%)와 50대(55.2%)에서 비율이 높았다.
한부모 가구는 지난해 기준 149만 4000가구로 일반 가구의 6.9%이며 감소 추세로 나타났다. 여성 한부모 가구는 112만 9000가구로, 전체 한부모 가구의 75.6% 차지하고 비율이 증가 추세다.
또 지난해 다문화 가구 가구원은 115만 1000명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했고 그중 여성 가구원이 52.6%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초혼 건수는 지난해 14만 8000건으로 2021년 대비 0.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평균초혼 연령은 남성 33.7세, 여성 31.3세로, 2021년 대비 각 0.3세, 0.2세씩 상승했다.
지난해 이혼 건수는 9만 3000건으로 2021년 대비 8.4% 감소했고, 20년 이상 함께 한 부부의 이혼 비중이 36.7%로 가장 높았다.
◆ 지난해 15~64세 여성 고용률 60.0%…2010년 이후 최고
지난해 15~64세 여성 고용률은 60.0%로, 2010년(52.7%) 대비 7.3%p 상승해 처음으로 60%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34세 여성 고용률(68.5%)이 2010년 대비 15.5%p,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여성 실업률은 3.1%로 2010년 대비 0.2%p, 남성 실업률은 2.7%로 1.3%p 감소했다. 경제활동참가율의 남녀 차이가 18.9%p로, 2010년 대비 4.7%p 줄었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고용기간 1년 이상) 비율은 지난해 남성 57.6%, 여성 53.6%로 2010년 대비 남성 9.6%p, 여성 19.1%p 증가했다. 비정규직 근로자 비율은 여성 46.0%, 남성 30.6%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5.4%p 높았다.
여성 저임금근로자(중위임금의 2/3 미만인 자) 비율은 지난해 22.8%, 남성은 11.8%로 나타났고 2010년 대비 여성은 17.0%p, 남성은 4.4%p 줄었다.
아울러 1만 8113원인 여성 임금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은 남성(2만 5886원)의 70.0% 수준으로, 2010년 대비 8.4%p 개선됐다.
여성 취업자 중 300인 이상 규모 사업체에 취업한 비율은 지난해 8.4%로, 2010년(5.6%) 대비 2.8%p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여성 취업자 중 10인 미만 규모 사업체 취업 비율은 50.8%로 남성 취업자 중 비율 48.6%보다 2.2%p 높았다.
이와 함께 지난해 육아휴직자는 약 13만 1000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10만 5000명) 대비 남성은 1만 6000명, 여성은 1만 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육아휴직자는 3만 8000명으로 1.7배 증가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활용한 근로자는 지난해 1만 9000명으로, 2019년(5600명) 대비 3.4배 증가했다. 남성(29.4%)과 여성(20.9%) 모두 1000명 이상 규모 사업장에서 사용 비율이 높았다.
또 지난해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근로자는 남성(17.3%)과 여성(14.4%) 모두 2019년 대비 5.0%p 이상 증가했고, 여성은 시차출퇴근제(33.7%), 남성은 탄력근무제(30.7%) 활용률이 가장 높았다.
◆ 여성 가구주 가구 근로·사업소득 비율↑…국민연금 여성 수급자도↑
지난해 여성 가구주 가구소득은 3652만 원으로, 전년 대비 9.1% 증가했으나 남성 가구주 가구소득 7344만 원에 비해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 가구주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 비율은 58.5%로 전년 대비 2.0%p 증가했고, 공적이전소득 비율은 14.7%로 전년 대비 1.6%p 감소했다.
여성 가구주 가구(2억 5000만 원)와 남성 가구주 가구(5억 2000만 원)의 순자산은 2021년 대비 각각 9.9%, 11.0% 증가했다.
지난해 노령연금 수급자 중 여성 비율은 2010년 대비 6.6%p 증가했고, 유족연금 수급자는 1.8%p 감소했다. 2021년 고용보험 피보험자 중 여성 비율은 43.9%로, 2010년 대비 6.2%p 증가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 건강보험 직장가입률은 2010년 대비 여성은 16.7%p, 남성은 7.8%p 증가했다. 기초생활수급자는 235만 9000명으로 2010년 대비 1.6배 증가했으며, 기초생활수급자 중 여성의 비율은 55.7%로 남성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한편 지난해 규모가 1000명 이상인 민간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은 12.4%로, 2018년(10.1%) 대비 2.3%p 증가했다.
4급 이상 국가공무원 중 여성 비율의 경우 23.2%로, 2018년 대비 1.4배 늘었다.
◆ 2021년 성폭력 3만 2080건…가사분담 ‘아내 전적 책임’ 비율↓
2021년 성폭력 검거 건수는 2만 9013건으로 2020년 대비 8.9% 증가했고, 검거인원은 3만 2137명으로 198명 감소했다.
또 2021년 사이버 성폭력 발생 건수는 4349건으로 2020년 대비 482건 줄었고, 불법 촬영물 발생 건수는 2020년 대비 513건 증가했다.
교제 폭력 범죄자 수는 2021년 1만 975명으로 2020년 대비 7.7% 감소했고, 스토킹 검거 건수는 542건으로 2020년 대비 12.7% 증가했다.
2021년 폭력 상담 건수는 86만 건으로 2020년 대비 9.7% 증가했고, 그중 가정폭력 상담이 6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2021년 여성의 기대수명은 86.6년, 남성의 기대수명은 80.6년으로, 2010년 대비 여성은 3.0년, 남성은 3.8년 증가했다.
2021년 일반건강검진 중 정신건강(우울증) 검사의 경우 ‘우울 증상이 없음’으로 판정받은 남성은 82.4%, 여성은 76.7%인 것으로 집계됐다.
2021년 산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33.4세로, 2010년 대비 2.1세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해 불임 치료 환자는 약 25만 2000명으로 2017년 대비 20.9% 증가했으며, 난임 시술 이용자 중 여성 비율은 54.2%로 2017년 대비 4.4%p 감소했다.
이 밖에도 지난해 기준 가사분담을 ‘아내가 전적으로 책임진다’는 응답이 여성(23.7%)과 남성(18.2%) 모두에서 2020년 대비 각 1.4%p, 2.9%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일과 가정생활 중 ‘가정생활을 우선시한다’는 응답은 30대 여성(25.4%)과 남성(23.7%)이 가장 높았고, ‘일을 우선시한다’는 응답이 여성은 19~29세(33.6%), 남성은 50대(42.9%)에서 가장 높았다.
김현숙 여가부 장관은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통계를 기반으로 현장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국민의 일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문의: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국 성별영향평가과(02-2100-6181)
[자료제공 :(www.korea.kr)]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