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초혼연령 남성 33.7세·여성 31.3세…전년보다 상승 > 정책소식 | 정보모아
 
정책소식

평균 초혼연령 남성 33.7세·여성 31.3세…전년보다 상승

작성자 정보

  • 증권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btn_textview.gif

지난해 1인 가구가 전년 대비 4.7% 증가한 750만 2000가구로 집계됐다. 남성은 30대(22.0%)·여성은 60대(18.3%)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초혼 건수는 지난해 14만 8000건으로 전년 대비 0.6% 감소, 특히 평균초혼 연령은 남성 33.7세, 여성 31.3세로 전년 대비 각각 0.3세, 0.2세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가족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을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조사는 제28회 양성평등주간을 기념해 변화된 사회상을 반영한 남녀의 모습을 부문별 통계로 살펴보기 위해 이뤄졌다.

여성가족부.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1인 가구 4.7% 증가…평균초혼 연령 남성 33.7세·여성 31.3세

2023년 전체 인구는 5155만 8000명으로, 전년 대비 0.1%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대별로는 50대 남성(16.7%)과 여성(16.5%)이 가장 많고, 전년 대비 80세 이상의 증가율이 남성 8.7%, 여성 6.3%로 가장 높았다.

2023년 여성이 가구주인 가구는 746만 7000가구로 전체 가구의 34.2%이고, 전년 대비 0.5%p 증가했다.

지난해 1인 가구는 750만 2000가구로 일반 가구의 34.5%이며, 2021년 대비 33만 6000가구(4.7%) 증가했다. 연령대별로 남성 1인 가구는 30대(22.0%), 여성은 60대(18.3%)가 가장 많았고 65세 이상의 노인 1인 가구는 197만 4000가구로 2021년 대비 8.2% 증가했다.

아울러 지난해 맞벌이 가구는 584만 6000가구로 유배우 가구 중 46.1%이었으며, 40대(55.2%)와 50대(55.2%)에서 비율이 높았다.

한부모 가구는 지난해 기준 149만 4000가구로 일반 가구의 6.9%이며 감소 추세로 나타났다. 여성 한부모 가구는 112만 9000가구로, 전체 한부모 가구의 75.6% 차지하고 비율이 증가 추세다.

또 지난해 다문화 가구 가구원은 115만 1000명으로 전년 대비 2.8% 증가했고 그중 여성 가구원이 52.6%로 절반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집계됐다.

초혼 건수는 지난해 14만 8000건으로 2021년 대비 0.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평균초혼 연령은 남성 33.7세, 여성 31.3세로, 2021년 대비 각 0.3세, 0.2세씩 상승했다.

지난해 이혼 건수는 9만 3000건으로 2021년 대비 8.4% 감소했고, 20년 이상 함께 한 부부의 이혼 비중이 36.7%로 가장 높았다.

◆ 지난해 15~64세 여성 고용률 60.0%…2010년 이후 최고

지난해 15~64세 여성 고용률은 60.0%로, 2010년(52.7%) 대비 7.3%p 상승해 처음으로 60%에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34세 여성 고용률(68.5%)이 2010년 대비 15.5%p,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여성 실업률은 3.1%로 2010년 대비 0.2%p, 남성 실업률은 2.7%로 1.3%p 감소했다. 경제활동참가율의 남녀 차이가 18.9%p로, 2010년 대비 4.7%p 줄었다.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고용기간 1년 이상) 비율은 지난해 남성 57.6%, 여성 53.6%로 2010년 대비 남성 9.6%p, 여성 19.1%p 증가했다. 비정규직 근로자 비율은 여성 46.0%, 남성 30.6%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15.4%p 높았다.

여성 저임금근로자(중위임금의 2/3 미만인 자) 비율은 지난해 22.8%, 남성은 11.8%로 나타났고 2010년 대비 여성은 17.0%p, 남성은 4.4%p 줄었다.

아울러 1만 8113원인 여성 임금근로자의 시간당 임금은 남성(2만 5886원)의 70.0% 수준으로, 2010년 대비 8.4%p 개선됐다.

여성 취업자 중 300인 이상 규모 사업체에 취업한 비율은 지난해 8.4%로, 2010년(5.6%) 대비 2.8%p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여성 취업자 중 10인 미만 규모 사업체 취업 비율은 50.8%로 남성 취업자 중 비율 48.6%보다 2.2%p 높았다.

이와 함께 지난해 육아휴직자는 약 13만 1000명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10만 5000명) 대비 남성은 1만 6000명, 여성은 1만 명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육아휴직자는 3만 8000명으로 1.7배 증가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를 활용한 근로자는 지난해 1만 9000명으로, 2019년(5600명) 대비 3.4배 증가했다. 남성(29.4%)과 여성(20.9%) 모두 1000명 이상 규모 사업장에서 사용 비율이 높았다.

또 지난해 유연근무제를 활용한 근로자는 남성(17.3%)과 여성(14.4%) 모두 2019년 대비 5.0%p 이상 증가했고, 여성은 시차출퇴근제(33.7%), 남성은 탄력근무제(30.7%) 활용률이 가장 높았다.

◆ 여성 가구주 가구 근로·사업소득 비율↑…국민연금 여성 수급자도↑

지난해 여성 가구주 가구소득은 3652만 원으로, 전년 대비 9.1% 증가했으나 남성 가구주 가구소득 7344만 원에 비해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 가구주 가구소득 중 근로소득 비율은 58.5%로 전년 대비 2.0%p 증가했고, 공적이전소득 비율은 14.7%로 전년 대비 1.6%p 감소했다.

여성 가구주 가구(2억 5000만 원)와 남성 가구주 가구(5억 2000만 원)의 순자산은 2021년 대비 각각 9.9%, 11.0% 증가했다.

지난해 노령연금 수급자 중 여성 비율은 2010년 대비 6.6%p 증가했고, 유족연금 수급자는 1.8%p 감소했다. 2021년 고용보험 피보험자 중 여성 비율은 43.9%로, 2010년 대비 6.2%p 증가했다.

이와 함께 지난해 건강보험 직장가입률은 2010년 대비 여성은 16.7%p, 남성은 7.8%p 증가했다. 기초생활수급자는 235만 9000명으로 2010년 대비 1.6배 증가했으며, 기초생활수급자 중 여성의 비율은 55.7%로 남성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다.

한편 지난해 규모가 1000명 이상인 민간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은 12.4%로, 2018년(10.1%) 대비 2.3%p 증가했다.

4급 이상 국가공무원 중 여성 비율의 경우 23.2%로, 2018년 대비 1.4배 늘었다.

◆ 2021년 성폭력 3만 2080건…가사분담 ‘아내 전적 책임’ 비율↓

2021년 성폭력 검거 건수는 2만 9013건으로 2020년 대비 8.9% 증가했고, 검거인원은 3만 2137명으로 198명 감소했다.

또 2021년 사이버 성폭력 발생 건수는 4349건으로 2020년 대비 482건 줄었고, 불법 촬영물 발생 건수는 2020년 대비 513건 증가했다.

교제 폭력 범죄자 수는 2021년 1만 975명으로 2020년 대비 7.7% 감소했고, 스토킹 검거 건수는 542건으로 2020년 대비 12.7% 증가했다.

2021년 폭력 상담 건수는 86만 건으로 2020년 대비 9.7% 증가했고, 그중 가정폭력 상담이 6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2021년 여성의 기대수명은 86.6년, 남성의 기대수명은 80.6년으로, 2010년 대비 여성은 3.0년, 남성은 3.8년 증가했다.

2021년 일반건강검진 중 정신건강(우울증) 검사의 경우 ‘우울 증상이 없음’으로 판정받은 남성은 82.4%, 여성은 76.7%인 것으로 집계됐다.

2021년 산모의 평균 출산연령은 33.4세로, 2010년 대비 2.1세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해 불임 치료 환자는 약 25만 2000명으로 2017년 대비 20.9% 증가했으며, 난임 시술 이용자 중 여성 비율은 54.2%로 2017년 대비 4.4%p 감소했다.

이 밖에도 지난해 기준 가사분담을 ‘아내가 전적으로 책임진다’는 응답이 여성(23.7%)과 남성(18.2%) 모두에서 2020년 대비 각 1.4%p, 2.9%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일과 가정생활 중 ‘가정생활을 우선시한다’는 응답은 30대 여성(25.4%)과 남성(23.7%)이 가장 높았고, ‘일을 우선시한다’는 응답이 여성은 19~29세(33.6%), 남성은 50대(42.9%)에서 가장 높았다.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인포그래픽=여성가족부)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인포그래픽=여성가족부)

김현숙 여가부 장관은 “2023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통계를 기반으로 현장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국민의 일상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문의: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국 성별영향평가과(02-2100-6181)


[자료제공 :icon_logo.gif(www.korea.kr)]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