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운맛의 행복
작성자 정보
- 공감 작성
- 작성일
본문
여름이다. 무덥고 습한 여름이 절정에 달하면 몸도 마음도 늘어진다. 아무것도 하기 싫고 오로지 쉬고 싶다. 입맛도 없어 왠지 자극적인 음식이 당긴다. 그럴 때 한국인은 매운맛을 찾는다. 다섯 가지 맛을 뜻하는 오미(五味)에는 단맛, 짠맛, 신맛, 쓴맛, 매운맛이 포함되지만 사실 매운맛은 맛이 아니다. 매운맛만 받아들이는 고유한 수용체가 없기 때문이다. 매운맛은 통증을 느끼는 감각인 통감을 자극하기에 맛이 아니라 고통이다.
심리학자 폴 로진이 ‘매운맛은 정말 맛있는 것일까’라는 질문을 가지고 흥미로운 실험을 했다. 그는 매운맛을 좋아하는 사람과 싫어하는 사람들에게 매운맛을 내는 성분 캅사이신을 과자에 발라서 줬다. 처음에는 약한 매운맛으로 시작해서 사람들이 도저히 못 먹겠다고 거절할 때까지 캅사이신의 양을 늘렸다. 그리고 실험이 모두 끝난 후 사람들에게 어느 정도의 매운맛 단계를 선호하는지 물었다. 매운맛을 싫어하는 사람은 맵지 않은 단계를 골랐을 것이고 매운맛을 좋아하는 사람은 매운 단계를 골랐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하지만 결과는 예상과 달랐다. 평소에 매운맛을 좋아하든 싫어하든 상관없이 두 그룹 다 ‘자신이 견딜 수 있었던 가장 매운 단계’의 맛을 꼽았다.
다시 말하지만 매운맛은 고통이다. 동물은 고통을 싫어하고 피하려 한다. 단것을 삼키고 쓴 것을 뱉는 것은 동물의 정상적인 본능이다. 하지만 인간은 평범한 동물이 아니다. 인간은 부정적인 경험인 고통을 즐길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다. 그렇기에 일부러 롤러코스터를 타고 공포영화를 보며 매운맛을 찾는다. 일부러 숨이 가쁘게 달리고 마라톤을 한다. 마라톤은 고통스럽다. 특히 결승점이 다가오는 35㎞ 지점은 마라톤 선수에게 ‘한계’로 인식된다. 그런데 그때 우리 몸에서는 엔도르핀(endorphin)이 분비된다. 엔도르핀은 쾌감을 이끈다. 엔도르핀은 말 그대로 몸 내부(endogenous)의 모르핀(morphin)인 것이다.
인간은 견딜 수 있는 고통을 통해 고통을 버텨낸 자신에 대해 자부심을 가지게 된다. 힘들게 목표에 도달하면서 성취감을 느낀다. 우리의 인체 또한 극심한 고통이 찾아올 때 오히려 엔도르핀을 분비하면서 고통을 참는 것을 넘어서 즐거움으로 바꿔주기도 한다.
몸과 마음이 축 처지는 여름이다. 더위에 지칠 무렵이면 이열치열(以熱治熱)이라는 단어가 떠오르기도 할 것이다. 복날을 맞이해 뜨거운 삼계탕을 먹으면서 더위에 맞서는 방법이다. 힘든 일을 극복하는 방법도 마찬가지다.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가 있을 때에도 맞서 도전하는 것이 삶의 즐거움을 찾는 방법이 될 것이다.
양성관 의정부백병원 가정의학과 전문의
빛나는 외모만큼 눈부신 마음을 가진 의사. 글쓰기 플랫폼 ‘브런치’에서 200만 건의 조회수를 기록한 작가이기도 하다. 히틀러의 주치의〉를 비롯해 7권의 책을 썼다. 의사가 아니라 작가로 돈을 벌어서 환자 한 명당 진료를 30분씩 보는 게 꿈이다.
[자료제공 :(www.korea.kr)]
관련자료
-
링크
-
이전
-
다음